블로그 이미지
좋은느낌/원철
이것저것 필요한 것을 모아보렵니다.. 방문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calenda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Notice

    2008. 7. 1. 15:20 개발/Java

    현재 프로젝트가 개발은 Tomcat으로, 서버는 JEUS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런 환경을 제가 만든건 아니고 ㅡ.; EJB개발하는것도 아닌데 JEUS가 너무 무거우니 간단하게 그냥 tomcat가자는 다른분의 의견이 받아들여진 것이었죠.

     

    Servlet spec 2.4를 기준으로 작업을 하니 웬만한건 양쪽다 먹는데 JNDI datasource를 가져오는 부분의 방법이 서로 틀리더군요.

     

    Spring에서 datasource정의하는 부분도 JEUS, Tomcat용으로 따로 사용을 하곤 했죠.

    이건 그냥 Spring 설정파일 바꾸는거니 그런대로 할만 했습니다.

     

    그러다가 Spring+Ibatis조합을 안통하고 그냥 JDBC 코딩을 해야 될 상황이 생겼는데 이때는 무지하게 귀찮아지더군요. 컴파일을 새로해야 되니 너무 귀찮아서요.

     

    Liferay라는 오픈소스를 보다 정답을 찾았죠. Server의 종류를 알아내는 방법이 있더군요.

    ClassLoader.getSystemClassLoader().loadClass();을 이용하더군요.

    허접한 개발자라 몰랐습니다. 이런방법이 있을줄..

     

    다음은 그 클래스 소스입니다.

     

    package com.test;

     

    public class ServerDetector {

     

                   public static final String JEUS_CLASS = "/jeus/server/JeusServer.class";

     

                   public static final String JEUS_ID = "jeus";

     

                   public static final String GERONIMO_CLASS = "/org/apache/geronimo/system/main/Daemon.class";

     

                   public static final String GERONIMO_ID = "geronimo";

     

                   public static final String GLASSFISH_CLASS = "/com/sun/appserv/ClassLoaderUtil.class";

     

                   public static final String GLASSFISH_ID = "glassfish";

     

                   public static final String JBOSS_CLASS = "/org/jboss/Main.class";

     

                   public static final String JBOSS_ID = "jboss";

     

                   public static final String JETTY_CLASS = "/org/mortbay/jetty/Server.class";

     

                   public static final String JETTY_ID = "jetty";

     

                   public static final String JONAS_CLASS = "/org/objectweb/jonas/server/Server.class";

     

                   public static final String JONAS_ID = "jonas";

     

                   public static final String OC4J_CLASS = "oracle.oc4j.util.ClassUtils";

     

                   public static final String OC4J_ID = "oc4j";

     

                   public static final String ORION_CLASS = "/com/evermind/server/ApplicationServer.class";

     

                   public static final String ORION_ID = "orion";

     

                   public static final String PRAMATI_CLASS = "/com/pramati/Server.class";

     

                   public static final String PRAMATI_ID = "pramati";

     

                   public static final String RESIN_CLASS = "/com/caucho/server/resin/Resin.class";

     

                   public static final String RESIN_ID = "resin";

     

                   public static final String REXIP_CLASS = "/com/tcc/Main.class";

     

                   public static final String REXIP_ID = "rexip";

     

                   public static final String SUN7_CLASS = "/com/iplanet/ias/tools/cli/IasAdminMain.class";

     

                   public static final String SUN7_ID = "sun7";

     

                   public static final String SUN8_CLASS = "/com/sun/enterprise/cli/framework/CLIMain.class";

     

                   public static final String SUN8_ID = "sun8";

     

                   public static final String TOMCAT_BOOTSTRAP_CLASS = "/org/apache/catalina/startup/Bootstrap.class";

     

                   public static final String TOMCAT_EMBEDDED_CLASS = "/org/apache/catalina/startup/Embedded.class";

     

                   public static final String TOMCAT_ID = "tomcat";

     

                   public static final String WEBLOGIC_CLASS = "/weblogic/Server.class";

     

                   public static final String WEBLOGIC_ID = "weblogic";

     

                   public static final String WEBSPHERE_CLASS = "/com/ibm/websphere/product/VersionInfo.class";

     

                   public static final String WEBSPHERE_ID = "websphere";

                  

     

                   private static ServerDetector _instance = new ServerDetector();

     

                   private String _serverId;

     

                   private Boolean _jeus;

     

                   private Boolean _geronimo;

     

                   private Boolean _glassfish;

     

                   private Boolean _jBoss;

     

                   private Boolean _jetty;

     

                   private Boolean _jonas;

     

                   private Boolean _oc4j;

     

                   private Boolean _orion;

     

                   private Boolean _pramati;

     

                   private Boolean _resin;

     

                   private Boolean _rexIP;

     

                   private Boolean _sun7;

     

                   private Boolean _sun8;

     

                   private Boolean _tomcat;

     

                   private Boolean _webLogic;

     

                   private Boolean _webSphere;   

                  

                   private ServerDetector() {

                   }       

                  

     

                   public static String getServerId() {

                                  ServerDetector sd = _instance;

     

                                  if (sd._serverId == null) {

                                                   if (ServerDetector.isJeus()) {

                                                                  sd._serverId = JEUS_ID;

                                                   }

                                                   else if (ServerDetector.isGeronimo()) {

                                                                  sd._serverId = GERONIMO_ID;

                                                   }

                                                   else if (ServerDetector.isGlassfish()) {

                                                                  sd._serverId = GLASSFISH_ID;

                                                   }

                                                   else if (ServerDetector.isJBoss()) {

                                                                  sd._serverId = JBOSS_ID;

                                                   }

                                                   else if (ServerDetector.isJOnAS()) {

                                                                  sd._serverId = JONAS_ID;

                                                   }

                                                   else if (ServerDetector.isOC4J()) {

                                                                  sd._serverId = OC4J_ID;

                                                   }

                                                   else if (ServerDetector.isOrion()) {

                                                                  sd._serverId = ORION_ID;

                                                   }

                                                   else if (ServerDetector.isPramati()) {

                                                                  sd._serverId = PRAMATI_ID;

                                                   }

                                                   else if (ServerDetector.isResin()) {

                                                                  sd._serverId = RESIN_ID;

                                                   }

                                                   else if (ServerDetector.isRexIP()) {

                                                                  sd._serverId = REXIP_ID;

                                                   }

                                                   else if (ServerDetector.isSun7()) {

                                                                  sd._serverId = SUN7_ID;

                                                   }

                                                   else if (ServerDetector.isSun8()) {

                                                                  sd._serverId = SUN8_ID;

                                                   }

                                                   else if (ServerDetector.isWebLogic()) {

                                                                  sd._serverId = WEBLOGIC_ID;

                                                   }

                                                   else if (ServerDetector.isWebSphere()) {

                                                                  sd._serverId = WEBSPHERE_ID;

                                                   }

                                                   else if (ServerDetector.isWebSphere()) {

                                                                  sd._serverId = WEBSPHERE_ID;

                                                   }

                                                   if (ServerDetector.isJetty()) {

                                                                  if (sd._serverId == null) {

                                                                                  sd._serverId = JETTY_ID;

                                                                  }

                                                                  else {

                                                                                  sd._serverId += "-" + JETTY_ID;

                                                                  }

                                                   }

                                                   else if (ServerDetector.isTomcat()) {

                                                                  if (sd._serverId == null) {

                                                                                  sd._serverId = TOMCAT_ID;

                                                                  }

                                                                  else {

                                                                                  sd._serverId += "-" + TOMCAT_ID;

                                                                  }

                                                   }

                                                  

                                                   System.out.println("Detected server ===========================> " + sd._serverId);

                                                  

                                                   if (sd._serverId == null) {

                                                                  throw new RuntimeException("Server is not supported");

                                                   }

                                  }

     

                                  return sd._serverId;

                   }

     

                   public static boolean isJeus() {

                                  ServerDetector sd = _instance;

     

                                  if (sd._jeus == null) {

                                                   sd._jeus = _detect(JEUS_CLASS);

                                  }

     

                                  return sd._jeus.booleanValue();

                   }       

                  

                   public static boolean isGeronimo() {

                                  ServerDetector sd = _instance;

     

                                  if (sd._geronimo == null) {

                                                   sd._geronimo = _detect(GERONIMO_CLASS);

                                  }

     

                                  return sd._geronimo.booleanValue();

                   }

     

                   public static boolean isGlassfish() {

                                  ServerDetector sd = _instance;

     

                                  if (sd._glassfish == null) {

                                                   sd._glassfish = _detect(GLASSFISH_CLASS);

                                  }

     

                                  return sd._glassfish.booleanValue();

                   }

     

                   public static boolean isJBoss() {

                                  ServerDetector sd = _instance;

     

                                  if (sd._jBoss == null) {

                                                   sd._jBoss = _detect(JBOSS_CLASS);

                                  }

     

                                  return sd._jBoss.booleanValue();

                   }

     

                   public static boolean isJetty() {

                                  ServerDetector sd = _instance;

     

                                  if (sd._jetty == null) {

                                                   sd._jetty = _detect(JETTY_CLASS);

                                  }

     

                                  return sd._jetty.booleanValue();

                   }

     

                   public static boolean isJOnAS() {

                                  ServerDetector sd = _instance;

     

                                  if (sd._jonas == null) {

                                                   sd._jonas = _detect(JONAS_CLASS);

                                  }

     

                                  return sd._jonas.booleanValue();

                   }

     

                   public static boolean isOC4J() {

                                  ServerDetector sd = _instance;

     

                                  if (sd._oc4j == null) {

                                                   sd._oc4j = _detect(OC4J_CLASS);

                                  }

     

                                  return sd._oc4j.booleanValue();

                   }

     

                   public static boolean isOrion() {

                                  ServerDetector sd = _instance;

     

                                  if (sd._orion == null) {

                                                   sd._orion = _detect(ORION_CLASS);

                                  }

     

                                  return sd._orion.booleanValue();

                   }

     

                   public static boolean isPramati() {

                                  ServerDetector sd = _instance;

     

                                  if (sd._pramati == null) {

                                                   sd._pramati = _detect(PRAMATI_CLASS);

                                  }

     

                                  return sd._pramati.booleanValue();

                   }

     

                   public static boolean isResin() {

                                  ServerDetector sd = _instance;

     

                                  if (sd._resin == null) {

                                                   sd._resin = _detect(RESIN_CLASS);

                                  }

     

                                  return sd._resin.booleanValue();

                   }

     

                   public static boolean isRexIP() {

                                  ServerDetector sd = _instance;

     

                                  if (sd._rexIP == null) {

                                                   sd._rexIP = _detect(REXIP_CLASS);

                                  }

     

                                  return sd._rexIP.booleanValue();

                   }

     

                   public static boolean isSun() {

                                  if (isSun7() || isSun8()) {

                                                   return true;

                                  }

                                  else {

                                                   return false;

                                  }

                   }

     

                   public static boolean isSun7() {

                                  ServerDetector sd = _instance;

     

                                  if (sd._sun7 == null) {

                                                   sd._sun7 = _detect(SUN7_CLASS);

                                  }

     

                                  return sd._sun7.booleanValue();

                   }

     

                   public static boolean isSun8() {

                                  ServerDetector sd = _instance;

     

                                  if (sd._sun8 == null) {

                                                   sd._sun8 = _detect(SUN8_CLASS);

                                  }

     

                                  return sd._sun8.booleanValue();

                   }

     

                   public static boolean isTomcat() {

                                  ServerDetector sd = _instance;

     

                                  if (sd._tomcat == null) {

                                                   sd._tomcat = _detect(TOMCAT_BOOTSTRAP_CLASS);

                                  }

     

                                  if (sd._tomcat == null) {

                                                   sd._tomcat = _detect(TOMCAT_EMBEDDED_CLASS);

                                  }

     

                                  return sd._tomcat.booleanValue();

                   }

     

                   public static boolean isWebLogic() {

                                  ServerDetector sd = _instance;

     

                                  if (sd._webLogic == null) {

                                                   sd._webLogic = _detect(WEBLOGIC_CLASS);

                                  }

     

                                  return sd._webLogic.booleanValue();

                   }

     

                   public static boolean isWebSphere() {

                                  ServerDetector sd = _instance;

     

                                  if (sd._webSphere == null) {

                                                   sd._webSphere = _detect(WEBSPHERE_CLASS);

                                  }

     

                                  return sd._webSphere.booleanValue();

                   }

     

                   private static Boolean _detect(String className) {

                                  try {

                                                   ClassLoader.getSystemClassLoader().loadClass(className);

     

                                                   return Boolean.TRUE;

                                  }

                                  catch (ClassNotFoundException cnfe) {

                                                   ServerDetector sd = _instance;

     

                                                   Class c = sd.getClass();

     

                                                   if (c.getResource(className) != null) {

                                                                  return Boolean.TRUE;

                                                   }

                                                   else {

                                                                  return Boolean.FALSE;

                                                   }

                                  }

                   }

    }

    posted by 좋은느낌/원철
    2008. 6. 30. 17:51 개발/Java

    출철 : http://msinterdev.org/blog/entry/APIsForJAVA

    pistosApi

    http://pistos.pe.kr/javadocs/main.do


    JConfig

    http://www.jconfig.org/

    JConfig와 Spring - http://www.zonic-temple.org/blog.jz?fn=jconfig_spring


    displayTag - http://openframework.or.kr/displaytag/ (번역)

                      http://displaytag.sourceforge.net/


    프레임워크  및 자바 기술 관련 아티클

    http://julymon.enbee.com/


    Appfuse Wiki

    http://raibledesigns.com/wiki/


    오픈소스 프레임워크 네이버카페 - 위키 페이지

    http://openframework.or.kr

    Appfuse 한국어 번역 위키 역시 같이 있음


    그중 XmlBeans 번역 - http://openframework.or.kr/JSPWiki/Wiki.jsp?page=XMLBeans

          Groovy JDBC 번역 - http://openframework.or.kr/JSPWiki/Wiki.jsp?page=Groovyjdbcprogramming

          마소Groovy - http://openframework.or.kr/JSPWiki/Wiki.jsp?page=Groovy

          JMeter Start 페이지 - http://openframework.or.kr/JSPWiki/Wiki.jsp?page=Jmeterstartpage

          등등의 좋은 번역물및 포스트 다수


    Spring 카페

    http://cafe.naver.com/springframework.cafe


    서영아빠님 블로그

    http://blog.naver.com/ecogeo.do


    오픈시드닷넷

    http://www.OpenSeed.net


    좋은 자료들(장윤기님)

    http://www.javamania.pe.kr


    박영록님 블로그

    http://youngrok.com/wiki/wiki.php


    이종하님의 홈페이지

    http://eclipse.new21.org/phpBB2/index.php

    IT 거버넌스

    http://itgs.egloos.com/


    MyJavaPack

    http://www.open-centric.com/myjavapack/index.html


    물개선생님 블로그

    http://openseed.net/seal/


    토비님 블로그

    http://toby.epril.com/index.php


    서민구님

    http://mkseo.pe.kr/frame.htm

    이희승님


    김형준님

    http://jaso.co.kr/tatter/index.php


    써니님(개발에 대한 탁월한 지혜와 식견)

    http://sunnykwak.egloos.com


    우하하님

    http://woohaha.egloos.com/


    아키텍트로 계시는 투덜이님 블로그

    http://agrumpy.egloos.com/


    숏달님 블로그

    http://nicejay.egloos.com/


    이글루스 siegzion님..(개발자)

    http://siegzion.egloos.com/



    엠파스  쪽박님 블로그(Spring등 관련 )

    http://blog.empas.com/blackcomb7


    POSA및 주옥같은 정리[케빈님]

    http://kevinheo.cafe24.com/

    http://blog.naver.com/kyeongwook94


    최범균님 강좌페이지

    http://javacan.madvirus.net/main/content/contentCategory.jsp


    자바아티클 및 관련글 번역

    http://blog.empas.com/kkamdung/list.html?c=212880




    =================================================================

    좋은 컨텐츠를 포스팅 하시는 분들의 블로그들

    =================================================================

    뚱가님의 블로그[오픈소스와 J2SE관련 번역글및 포스트]

    http://blog.naver.com/toongas


    Ajax강의/컬럼 과 다른(자바관련등) 자료들

    http://blog.naver.com/jinoxst


    굿현님의 블로그

    http://goodhyun.com/


    이동국님의 블로그 중 iBatis SQLMap 관련

    http://openframework.or.kr/blog/?cat=4


    이글루스의 serenic - Spring등 오픈소스 관련 좋은 포스트

    http://serenic.egloos.com/


    개발관련

    http://blog.empas.com/kkamdung


    http://blog.empas.com/naruma


    건호랩님의 블로그 - 자바 관련 팁

    http://blog.naver.com/devstory


    한기아빠님 블로그 - 웹서비스등

    http://blog.naver.com/junghyun


    자바 강의 자료

    http://blog.naver.com/skyymj106

    =================================================================







    이클립스 튜토리얼 프로젝트의 한글 서비스

    https://eclipse-tutorial.dev.java.net/


    http://ubuntu.or.kr/wiki.php - 우분투 한국어 위키

    Ubuntu Linux - Welcome to Ubuntu Linux => 오리지날 홈

    * KLDP 비비에스

    http://bbs.kldp.org/


    * 오픈소스 프로젝트 지원

    http://kldp.net/


    mail 관련

    http://www.vipan.com/htdocs/javamail.html


    * DB관련

    오라클어드민

    http://blog.naver.com/kddasang.do

    Pro*C관련

    http://hobak.emailkorea.net/hobak/proc/

    오라클 technical bulletin

    http://211.106.111.113:8880/bulletin/list.jsp


    * 웹관련

    일모리님 블로그

    http://ilmol.com/wp/


    js 퍼포먼스 테스트

    http://www.umsu.de/jsperf/


    자바스크립트 정리잘된 블로그(쎄이님)

    http://blog.naver.com/tear230



    자바스크립트 관련 레퍼런스& 소스 사이트

    http://jsguide.net/

    http://www.cginjs.com

    http://java.up2.co.kr/

    코리아인터넷닷컴 자바스크립트

    안광해의 자바월드

    이용석의 자바스크립트와 다이나믹 HTML


    자바및 자바스크립트 정리노트

    http://www.javaclue.org/index.jsp ( 자바클루)








    Oracle관련 사이트

    SQL tip & 참고자료들 블로그 : http://blog.naver.com/orapybubu

    -----------------------------------------------------------------------------------

    JVM tunniing Blog -> http://blog.chosun.com/blog.screen?blogId=155&menuId=36901



    거장들

    ------------------------------------------------------------------------------------

    마틴파울러

    http://www.martinfowler.com/



    레퍼런스 사이트

    -------------------------------------------------------------------------------------

    http://www.ambysoft.com : OR 매핑 또는 Agile Modeling 관련 많은 컬럼이 있습니다.


    http://www.theserverside.com/talks/




    고급 아티클

    http://www.theserverside.com: 설명이 필요 없는 사이트 입니다. 자바 또는 엔터프라이즈 애플리케이션 개발자라면 반드시 매일 또는 매주 한번 이상은방문해봐야 하는 사이트 입니다. 초급에서 중급, 고급 기술로 넘어가기 위해서는 여기 올라오는 컬럼 또는 과거의 컬럼을 가능한많이 읽어 보고 이해해야 합니다.


    http://www.onjava.com : oreilly에서 운영하는 사이트로 자바 관련 기술 컬럼들이 많이 있습니다.


    Tips[도움이 될만한 유틸들]

    xml formatter

    http://homepage.ntlworld.com/wayne_grant/xmlformatter.html


    Tools관련

    posted by 좋은느낌/원철
    2008. 6. 30. 17:47 개발/Java
    출처 : http://msinterdev.org/blog/archive/200804?TSSESSIONmsinterdevorgblog=7701d2cc7e6ea2d431e379532dd3888d

    서블렛 + JDBC 연동시 코딩 고려사항 -제2탄-
    [JDBC Connection Pooling]

    최근수정일자 : 2001.01.19
    최근수정일자 : 2001.03.20(샘플예제추가)
    최근수정일자 : 2001.10.22(디버깅을 위한 로직추가)
    최근수정일자 : 2001.10.29(Oracle JDBC2.0 샘플추가)
    최근수정일자 : 2001.11.08(윤한성님 도움 OracleConnectionCacheImpl 소스수정)
    최근수정일자 : 2001.11.09(Trace/Debugging을 위한 장문의 사족을 담)

    5. JDBC Connection Pooling 을 왜 사용해야 하는가 ?

     Pooling 이란 용어는 일반적인 용어입니다. Socket Connection Pooling, Thread
     Pooling, Resource Pooling 등 "어떤 자원을 미리 Pool 에 준비해두고 요청시 Pool에
     있는 자원을 곧바로 꺼내어 제공하는 기능"인 거죠.

     JDBC Connection Pooling 은 JDBC를 이용하여 자바에서 DB연결을 할 때, 미리 Pool에
     물리적인 DB 연결을 일정개수 유지하여 두었다가 어플리케이션에서 요구할 때 곧바로
     제공해주는 기능을 일컫는 용어입니다. JDBC 연결시에, (DB 종류마다, 그리고 JDBC
     Driver의 타입에 따라 약간씩 다르긴 하지만 ) 대략 200-400 ms 가 소요 됩니다. 기껏
     0.2 초 0.4 초 밖에 안되는 데 무슨 문제냐 라고 반문할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위 시간은 하나의 연결을 시도할 때 그러하고, 100 - 200개를 동시에 연결을
     시도하면 얘기가 완전히 달라집니다.

     아래는 직접 JDBC 드라이버를 이용하여 연결할 때와 JDBC Connection Pooling 을 사용
     할 때의 성능 비교 결과입니다.


     ------------------------------------------------------------------
     테스트 환경
     LG-IBM 570E Notebook(CPU:???MHz , MEM:320MB)
     Windows NT 4.0 Service Pack 6
     IBM WebSphere 3.0.2.1 + e-Fixes
     IBM HTTP Server 1.3.6.2
     IBM UDB DB2 6.1

     아래에 첨부한 파일는 자료를 만들때 사용한 JSP소스입니다. (첨부파일참조)

     [HttpConn.java] 간단한 Stress Test 프로그램


     아래의 수치는 이 문서 이외에는 다른 용도로 사용하시면 안됩니다. 테스트를 저의
     개인 노트북에서 측정한 것이고, 또한 테스트 프로그램 역시 직접 만들어한 것인
     만큼, 공정성이나 수치에 대한 신뢰를 부여할 수는 없습니다.
     그러나 JDBC Connection Pooling 적용 여부에 따른 상대적인 차이를 설명하기에는
     충분할 것 같습니다.

     테스트 결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매번 직접 JDBC Driver 연결하는 경우
     java HttpConn http://localhost/db_jdbc.jsp -c <동시유저수> -n <호출횟수> -s 0

     TOTAL( 1,10)  iteration=10 ,  average=249.40 (ms),   TPS=3.93
     TOTAL(50,10)  iteration=500 , average=9,149.84 (ms), TPS=4.83
     TOTAL(100,10)  iteration=1000 , average=17,550.76 (ms), TPS=5.27
     TOTAL(200,10)  iteration=2000 , average=38,479.03 (ms), TPS=4.89
     TOTAL(300,10)  iteration=3000 , average=56,601.89 (ms), TPS=5.01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DB Connection Pooing 을 사용하는 경우
     java HttpConn http://localhost/db_pool_cache.jsp -c <동시유저수> -n <호출횟수> -s 0

     TOTAL(1,10)  iteration=10 , average=39.00 (ms), TPS=23.26
     TOTAL(1,10)  iteration=10 , average=37.10 (ms), TPS=24.33
     TOTAL(50,10)  iteration=500 , average=767.36 (ms), TPS=45.27
     TOTAL(50,10)  iteration=500 , average=568.76 (ms), TPS=61.26
     TOTAL(50,10)  iteration=500 , average=586.51 (ms), TPS=59.79
     TOTAL(50,10)  iteration=500 , average=463.78 (ms), TPS=67.02
     TOTAL(100,10)  iteration=1000 , average=1,250.07 (ms), TPS=57.32
     TOTAL(100,10)  iteration=1000 , average=1,022.75 (ms), TPS=61.22
     TOTAL(200,10)  iteration=1462 , average=1,875.68 (ms), TPS=61.99
     TOTAL(300,10)  iteration=1824 , average=2,345.42 (ms), TPS=61.51

     NOTE: average:평균수행시간, TPS:초당 처리건수
     ------------------------------------------------------------------

     즉, JDBC Driver 를 이용하여 직접 DB연결을 하는 구조는 기껏 1초에 5개의 요청을
     처리할 수 있는 능력이 있는 반면, DB Connection Pooling 을 사용할 경우는 초당
     60여개의 요청을 처리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12배의 성능향상을 가져온거죠. (이 수치는 H/W기종과 측정방법, 그리고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다르게 나오니 이 수치자체에 너무 큰 의미를 두진 마세요)


     주의: 흔히 "성능(Performance)"을 나타낼 때, 응답시간을 가지고 얘기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러나 응답시간이라는 것은 ActiveUser수가 증가하면 당연히 그에 따라
      느려지게 됩니다. 반면 "단위시간당 처리건수"인 TPS(Transaction Per Second) 혹은
      RPS(Request Per Second)는 ActiveUser를 지속적으로 끌어올려 임계점을 넘어서면,
      특정수치 이상을 올라가지 않습니다. 따라서 성능을 얘기할 땐 평균응답시간이 아니라
      "단위시간당 최대처리건수"를 이야기 하셔야 합니다.
      성능(Performance)의 정의(Definition)은 "단위시간당 최대처리건수"임을 주지하세요.
      성능에 관련한 이론은 아래의 문서를 통해, 함께 연구하시지요.
      [강좌]웹기반시스템하에서의 성능에 대한 이론적 고찰
      http://www.javaservice.net/~java/bbs/read.cgi?m=resource&b=consult&c=r_p&n=1008701211

     PS: IBM WebSphere V3 의 경우, Connection 을 가져올 때, JNDI를 사용하게 되는데
       이때 사용되는 DataSource 객체를 매번 initialContext.lookup() 을 통해 가져오게
       되면, 급격한 성능저하가 일어납니다.(NOTE: V4부터는 내부적으로 cache를 사용하여
       성능이 보다 향상되었습니다)
       DataSource를 매 요청시마다 lookup 할 경우 다음과 같은 결과를 가져왔습니다.

       java HttpConn http://localhost/db_pool.jsp -c <동시유저수> -n <호출횟수> -s 0

       TOTAL(1,10)  iteration=10 , average=80.00 (ms), TPS=11.61
       TOTAL(50,10)  iteration=500 , average=2,468.30 (ms), TPS=16.98
       TOTAL(50,10)  iteration=500 , average=2,010.43 (ms), TPS=18.18
       TOTAL(100,10)  iteration=1000 , average=4,377.24 (ms), TPS=18.16
       TOTAL(200,10)  iteration=1937 , average=8,991.89 (ms), TPS=18.12

       TPS 가 18 이니까 DataSource Cache 를 사용할 때 보다 1/3 성능밖에 나오지 않는 거죠.



    6. JDBC Connection Pooling 을 사용하여 코딩할 때 고려사항

     JDBC Connecting Pooling은 JDBC 1.0 스펙상에 언급되어 있지 않았습니다. 그러다보니
     BEA WebLogic, IBM WebSphere, Oracle OAS, Inprise Server, Sun iPlanet 등 어플리케
     이션 서버라고 불리는 제품들마다 그 구현방식이 달랐습니다.
     인터넷에서 돌아다니는 Hans Bergsten 이 만든 DBConnectionManager.java 도 그렇고,
     JDF 에 포함되어 있는 패키지도 그렇고 각자 독특한 방식으로 개발이 되어 있습니다.
     
     JDBC를 이용하여 DB연결하는 대표적인 코딩 예를 들면 다음과 같습니다.
     
     ------------------------------------------------------------------
     [BEA WebLogic Application Server]

        import java.sql.*;

        // Driver loading needed.
        static {
          try {
            Class.forName("weblogic.jdbc.pool.Driver").newInstance();          
          }
          catch (Exception e) {
            ...
          }
        }

        ......

        Connection conn = null;
        Statement stmt = null;
        try {
          conn = DriverManager.getConnection("jdbc:weblogic:pool:<pool_name>", null);
          stmt = conn.createStatement();
          ResultSet rs = stmt.executeQuery("select ....");
          while(rs.next()){
            .....
          }
          rs.close();
        }
        catch(Exception e){
          .....
        }
        finally {
          if ( stmt != null ) try{stmt.close();}catch(Exception e){}
          if ( conn != null ) try{conn.close();}catch(Exception e){}
        }


     ------------------------------------------------------------------
     IBM WebSphere Application Server 3.0.2.x / 3.5.x

        /* IBM WebSphere 3.0.2.x for JDK 1.1.8 */
        //import java.sql.*;
        //import javax.naming.*;
        //import com.ibm.ejs.dbm.jdbcext.*;
        //import com.ibm.db2.jdbc.app.stdext.javax.sql.*;

        /* IBM WebSphere 3.5.x for JDK 1.2.2 */
        import java.sql.*;
        import javax.sql.*;
        import javax.naming.*;

        // DataSource Cache 사용을 위한 ds 객체 static 초기화
        private static DataSource ds = null;
        static {
          try {
            java.util.Hashtable props = new java.util.Hashtable();
            props.put(Context.INITIAL_CONTEXT_FACTORY,
                      "com.ibm.ejs.ns.jndi.CNInitialContextFactory");
            Context ctx = null;
            try {
              ctx = new InitialContext(props);
              ds = (DataSource)ctx.lookup("jdbc/<data_source_name>");
            }
            finally {
              if ( ctx != null ) ctx.close();
            }
          }
          catch (Exception e) {
           ....
          }
        }

        .....   

        Connection conn = null;
        Statement stmt = null;
        try {
          conn = ds.getConnection("userid", "password");
          stmt = conn.createStatement();
          ResultSet rs = stmt.executeQuery("select ....");
          while(rs.next()){
            .....
          }
          rs.close();
        }
        catch(Exception e){
          .....
        }
        finally {
          if ( stmt != null ) try{stmt.close();}catch(Exception e){}
          if ( conn != null ) try{conn.close();}catch(Exception e){}
        }

     ------------------------------------------------------------------
     IBM WebSphere Application Server 2.0.x
     
        import java.sql.*;
        import com.ibm.servlet.connmgr.*;


        // ConnMgr Cache 사용을 위한 connMgr 객체 static 초기화

        private static IBMConnMgr connMgr = null;
        private static IBMConnSpec    spec = null;
        static {
          try {
            String poolName = "JdbcDb2";  // defined in WebSphere Admin Console
            spec = new IBMJdbcConnSpec(poolName, false,  
                  "com.ibm.db2.jdbc.app.DB2Driver",
                  "jdbc:db2:<db_name>",   // "jdbc:db2://ip_address:6789/<db_name>",
                  "userid","password");                    
            connMgr = IBMConnMgrUtil.getIBMConnMgr();
          }
          catch(Exception e){
            .....
          }
        }

        .....

        IBMJdbcConn cmConn = null; // "cm" maybe stands for Connection Manager.
        Statement stmt = null;
        try {
          cmConn = (IBMJdbcConn)connMgr.getIBMConnection(spec);    
          Connection conn = jdbcConn.getJdbcConnection();
          stmt = conn.createStatement();
          ResultSet rs = stmt.executeQuery("select ....");
          while(rs.next()){
            .....
          }
          rs.close();
        }
        catch(Exception e){
          .....
        }
        finally {
          if ( stmt != null ) try{stmt.close();}catch(Exception e){}
          if ( cmConn != null ) try{cmConn.releaseIBMConnection();}catch(Exception e){}
        }
        // NOTE: DO NOT "conn.close();" !!


     ------------------------------------------------------------------
     Oracle OSDK(Oracle Servlet Development Kit)

        import java.sql.*;
        import oracle.ec.ctx.*;


        .....
        
        oracle.ec.ctx.Trx trx = null;
        Connection conn = null;
        Statement stmt = null;
        try {
          oracle.ec.ctx.TrxCtx ctx = oracle.ec.ctx.TrxCtx.getTrxCtx();
          trx = ctx.getTrx();
          conn = trx.getConnection("<pool_name>");
          stmt = conn.createStatement();
          ResultSet rs = stmt.executeQuery("select ....");
          while(rs.next()){
            .....
          }
          rs.close();
        }
        catch(Exception e){
          .....
        }
        finally {
          if ( stmt != null ) try{stmt.close();}catch(Exception e){}
          if ( conn != null ) try{ trx.close(conn,"<pool_name>");}catch(Exception e){}
        }
        // NOTE: DO NOT "conn.close();" !!


     ------------------------------------------------------------------
     Hans Bergsten 의 DBConnectionManager.java

        import java.sql.*;

        .....
        
        db.DBConnectionManager connMgr = null;
        Connection conn = null;
        Statement stmt = null;
        try {
          connMgr = db.DBConnectionManager.getInstance();
          conn = connMgr.getConnection("<pool_name>");
          stmt = conn.createStatement();
          ResultSet rs = stmt.executeQuery("select ....");
          while(rs.next()){
            .....
          }
          rs.close();
        }
        catch(Exception e){
          .....
        }
        finally {
          if ( stmt != null ) try{stmt.close();}catch(Exception e){}
          if ( conn != null ) connMgr.freeConnection("<pool_name>", conn);
        }
        // NOTE: DO NOT "conn.close();" !!

     ------------------------------------------------------------------
     JDF 의 DB Connection Pool Framework

        import java.sql.*;
        import com.lgeds.jdf.*;
        import com.lgeds.jdf.db.*;
        import com.lgeds.jdf.db.pool.*;


        private static com.lgeds.jdf.db.pool.JdbcConnSpec spec = null;
        static {
          try {
            com.lgeds.jdf.Config conf = new com.lgeds.jdf.Configuration();
            spec =  new com.lgeds.jdf.db.pool.JdbcConnSpec(
                 conf.get("gov.mpb.pbf.db.emp.driver"),
                 conf.get("gov.mpb.pbf.db.emp.url"),
                 conf.get("gov.mpb.pbf.db.emp.user"),
                 conf.get("gov.mpb.pbf.db.emp.password")
              );
          }
          catch(Exception e){
            .....
          }
        }

        .....

        PoolConnection poolConn = null;
        Statement stmt = null;
        try {
          ConnMgr mgr = ConnMgrUtil.getConnMgr();
          poolConn = mgr.getPoolConnection(spec);
          Connection conn = poolConnection.getConnection();
          stmt = conn.createStatement();
          ResultSet rs = stmt.executeQuery("select ....");
          while(rs.next()){
            .....
          }
          rs.close();
        }
        catch(Exception e){
          .....
        }
        finally {
          if ( stmt != null ) try{stmt.close();}catch(Exception e){}
          if ( poolConn != null ) poolConn.release();
        }
        // NOTE: DO NOT "conn.close();" !!

     ------------------------------------------------------------------


     여기서 하고픈 얘기는 DB Connection Pool 을 구현하는 방식에 따라서 개발자의 소스도
     전부 제 각기 다른 API를 사용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프로젝트를 이곳 저곳 뛰어 본 분은 아시겠지만, 매 프로젝트마나 어플리케이션 서버가
     다르고 지난 프로젝트에서 사용된 소스를 새 프로젝트에 그대로 적용하지 못하게 됩니다.
     JDBC 관련 API가 다르기 때문이죠.
     같은 제품일지라도 버전업이 되면서 API가 변해버리는 경우도 있습니다. 예를 들면,
     IBM WebSphere 버전 2.0.x에서 버전 3.0.x로의 전환할 때, DB 연결을 위한 API가
     변해버려 기존에 개발해둔 400 여개의 소스를 다 뜯어 고쳐야 하는 것과 같은 상황이
     벌어질 수도 있습니다.
     닷컴업체에서 특정 패키지 제품을 만들때도 마찬가지 입니다. 자사의 제품이 어떠한
     어플리케이션 서버에서 동작하도록 해야 하느냐에 따라 코딩할 API가 달라지니 소스를
     매번 변경해야만 하겠고, 특정 어플리케이션 서버에만 동작하게 하려니 마켓시장이
     좁아지게 됩니다.
     IBM WebSphere, BEA WebLogic 뿐만 아니라 Apache JServ 나 JRun, 혹은 Tomcat 에서도
     쉽게 포팅하길 원할 것입니다.

     이것을 해결하는 방법은 우리들 "SE(System Engineer)"만의 고유한 "Connection Adapter
     클래스"를 만들어서 사용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개발자의 소스는 이제 항상 다음과 같은 유형으로 코딩되면 어떻겠습니까 ?


        -----------------------------------------------------------
        .....
        ConnectionResource resource = null;
        Statement stmt = null;
        try {
          resource = new ConnectionResource();
          Connection conn = resource.getConnection();

          stmt = conn.createStatement();
          ResultSet rs = stmt.executeQuery("select ....");
          while(rs.next()){
            .....
          }
          rs.close();
        }
        catch(Exception e){
          .....
        }
        finally {
          if ( stmt != null ) try{stmt.close();}catch(Exception e){}
          if ( resource != null ) resource.release();
        }
        // NOTE: DO NOT "conn.close();" !!
        -----------------------------------------------------------



     이 때 ConnectionResource 는 다음과 같은 형식으로 누군가 한분이 만들어 두면 되겠죠.

        -----------------------------------------------------------
        import java.sql.*;
        public class ConnectionResource
        {
          private java.sql.Connection conn = null;
          public ConnectionResource() throws Exception {
             ......
             conn =  ..... GET Connection by Connection Pooling API
          }
          public Connection getConnection() throws Exception {
             return conn;
          }
          public void release(){
             // release conn into "Connection Pool"
             .......
          }
        }
        -----------------------------------------------------------



      예를 들어 IBM WebSphere Version 3.0.2.x 의 경우를 든다면 다음과 같이 될 겁니다.

      -----------------------------------------------------------
      package org.jsn.connpool;
      /*
       * ConnectionResource V 1.0
       * JDBC Connection Pool Adapter for IBM WebSphere V 3.0.x/3.5.x
       * Author: WonYoung Lee, javaservice@hanmail.net, 011-898-7904
       * Last Modified : 2000.11.10
       * NOTICS: You can re-distribute or copy this source code freely,
       *         you can NOT remove the above subscriptions.
      */

      /* IBM WebSphere 3.0.2.x for JDK 1.1.8 */
      //import java.sql.*;
      //import javax.naming.*;
      //import com.ibm.ejs.dbm.jdbcext.*;
      //import com.ibm.db2.jdbc.app.stdext.javax.sql.*;

      /* IBM WebSphere 3.5.x for JDK 1.2.2 */
      import java.sql.*;
      import javax.sql.*;
      import javax.naming.*;

      public class ConnectionResource
      {
         private static final String userid = "userid";
         private static final String password = "password"
         private static final String datasource = "jdbc/<data_source_name>";
         private static DataSource ds = null;

         private java.sql.Connection conn = null;

         public ConnectionResource() throws Exception {
           synchronized ( ConnectionResource.class ) {
             if ( ds == null ) {
               java.util.Hashtable props = new java.util.Hashtable();
               props.put(Context.INITIAL_CONTEXT_FACTORY,
                  "com.ibm.ejs.ns.jndi.CNInitialContextFactory");
               Context ctx = null;
               try {
                 ctx = new InitialContext(props);
                 ds = (DataSource)ctx.lookup("jdbc/<data_source_name>");
               }
               finally {
                 if ( ctx != null ) ctx.close();
               }
             }
           }
           conn =  ds.getConnection( userid, password );
         }
         public Connection getConnection() throws Exception {
            if ( conn == null ) throw new Exception("Connection is NOT avaiable !!");
            return conn;
         }
         public void release(){
            // release conn into "Connection Pool"
            if ( conn != null ) try { conn.close(); }catch(Excepton e){}
            conn = null;
         }
       }
       -----------------------------------------------------------
              


     
      만약 Hans Bersten 의 DBConnectionManager.java 를 이용한 Connection Pool 이라면
      다음과 같이 만들어 주면 됩니다.

       -----------------------------------------------------------
       package org.jsn.connpool;
       import java.sql.*;
       public class ConnectionResource
       {
          private String poolname = "<pool_name>";
          private Connection conn = null;
          private db.DBConnectionManager connMgr = null;

          public ConnectionResource() throws Exception {
             connMgr = db.DBConnectionManager.getInstance();
             conn =  connMgr.getConnection(poolname);
          }
          public Connection getConnection() throws Exception {
             if ( conn == null ) throw new Exception("Connection is NOT avaiable !!");
             return conn;
          }
          public void release(){
             if ( conn != null ) {
               // Dirty Transaction을 rollback시키는 부분인데, 생략하셔도 됩니다.
               boolean autoCommit = true;
               try{ autoCommit = conn.getAutoCommit(); }catch(Exception e){}
               if ( autoCommit == false ) {
                 try { conn.rollback(); }catch(Exception e){}
                 try { conn.setAutoCommit(true); }catch(Exception e){}
               }

               connMgr.freeConnection(poolname, conn);
               conn = null;
             }
          }
       }
       -----------------------------------------------------------


      또, Resin 1.2.x 의 경우라면 다음과 같이 될 겁니다.
      -----------------------------------------------------------
      package org.jsn.connpool;
      /*
       * ConnectionResource V 1.0
       * JDBC Connection Pool Adapter for Resin 1.2.x
       * Author: WonYoung Lee, javaservice@hanmail.net, 011-898-7904
       * Last Modified : 2000.10.18
       * NOTICS: You can re-distribute or copy this source code freely,
       *         you can NOT remove the above subscriptions.
      */
      import java.sql.*;
      import javax.sql.*;
      import javax.naming.*;
      public class ConnectionResource
      {
         private static final String datasource = "jdbc/<data_source_name>";
         private static final String userid = "userid";
         private static final String password = "password"
         private static DataSource ds = null;

         private java.sql.Connection conn = null;

         public ConnectionResource() throws Exception {
            synchronized ( ConnectionResource.class ) {
              if ( ds == null ) {
                Context env = (Context) new InitialContext().lookup("java:comp/env");
                ds = (DataSource) env.lookup(datasource);
              }
            }    
            conn =  ds.getConnection( userid, password );
         }
         public Connection getConnection() throws Exception {
            if ( conn == null ) throw new Exception("Connection is NOT avaiable !!");
            return conn;
         }
         public void release(){
            // release conn into "Connection Pool"
            if ( conn != null ) try { conn.close(); }catch(Excepton e){}
            conn = null;
         }
       }
       -----------------------------------------------------------


      Oracle 8i(8.1.6이상)에서 Oracle의 JDBC 2.0 Driver 자체가 제공하는 Connection
      Pool을 이용한다면 다음과 같이 될 겁니다.
      -----------------------------------------------------------
      package org.jsn.connpool;
      /*
       * ConnectionResource V 1.0
       * JDBC Connection Pool Adapter for Oracle JDBC 2.0
       * Author: WonYoung Lee, javaservice@hanmail.net, 011-898-7904
       * Last Modified : 2001.10.29
       * NOTICS: You can re-distribute or copy this source code freely,
       *         but you can NOT remove the above subscriptions.
      */
      import java.sql.*;
      import javax.sql.*;
      import oracle.jdbc.driver.*;
      import oracle.jdbc.pool.*;

      public class ConnectionResource
      {
         private static final String dbUrl = "jdbc:oracle:thin@192.168.0.1:1521:ORCL";
         private static final String userid = "userid";
         private static final String password = "password"
         private static OracleConnectionCacheImpl oraclePool = null;
         private static boolean initialized = false;

         private java.sql.Connection conn = null;

         public ConnectionResource() throws Exception {
            synchronized ( ConnectionResource.class ) {
              if ( initialized == false ) {
                DriverManager.registerDriver (new oracle.jdbc.driver.OracleDriver());
                oraclePool = new OracleConnectionCacheImpl();
                oraclePool.setURL(dbUrl);
                oraclePool.setUser(userid);
                oraclePool.setPassword(password);
                oraclePool.setMinLimit(10);
                oraclePool.setMaxLimit(50);
                //oraclePool.setCacheScheme(OracleConnectionCacheImpl.FIXED_WAIT_SCHEME);
                // FIXED_WAIT_SCHEME(default), DYNAMIC_SCHEME, FIXED_RETURN_NULL_SCHEME
                //oraclePool.setStmtCacheSize(0); //default is 0

                initialized = true;
              }
            }    
            conn = oraclePool.getConnection();
         }
         public Connection getConnection() throws Exception {
            if ( conn == null ) throw new Exception("Connection is NOT avaiable !!");
            return conn;
         }
         public void release(){
            // release conn into "Connection Pool"
            if ( conn != null ) try { conn.close(); }catch(Exception e){}
            conn = null;
         }
       }
       -----------------------------------------------------------

      또한 설령 Connection Pool 기능을 지금을 사용치 않더라도 향후에 적용할 계획이
      있다면, 우선은 다음과 같은 Connection Adapter 클래스를 미리 만들어 두고 이를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향후에 이 클래스만 고쳐주면 되니까요.
      Oracle Thin Driver를 사용하는 경우입니다.

      -----------------------------------------------------------
      import java.sql.*;
      public class ConnectionResource
      {
         private static final String userid = "userid";
         private static final String password = "password"
         private static final String driver = "oracle.jdbc.driver.OracleDriver"
         private static final String url = "jdbc:oracle:thin@192.168.0.1:1521:ORCL";
         private static boolean initialized = false;

         private java.sql.Connection conn = null;

         public ConnectionResource() throws Exception {
            synchronized ( ConnectionResource.class ) {
              if ( initialized == false ) {
                  Class.forName(driver);
                  initialized = true;
              }
            }
            conn = DriverManager.getConnection( url, userid, password );
         }
         public Connection getConnection() throws Exception {
            if ( conn == null ) throw new Exception("Connection is NOT avaiable !!");
            return conn;
         }
         public void release(){
            if ( conn != null ) try { conn.close(); }catch(Excepton e){}
            conn = null;
         }
       }
       -----------------------------------------------------------

     
     프로그램의 유형이나, 클래스 이름이야 뭐든 상관없습니다. 위처럼 우리들만의 고유한
     "Connection Adapter 클래스"를 만들어서 사용한다는 것이 중요하고, 만약 어플리케이션
     서버가 변경된다거나, DB Connection Pooling 방식이 달라지면 해당 ConnectionResource
     클래스 내용만 살짝 고쳐주면 개발자의 소스는 전혀 고치지 않아도 될 것입니다.

     NOTE: ConnectionResource 클래스를 만들때 주의할 것은 절대 Exception 을 클래스 내부에서
       가로채어 무시하게 하지 말라는 것입니다. 그냥 그대로 throw 가 일어나게 구현하세요.
       이렇게 하셔야만 개발자의 소스에서 "Exception 처리"를 할 수 있게 됩니다.

     NOTE2: ConnectionResource 클래스를 만들때 반드시 package 를 선언하도록 하세요.
       IBM WebSphere 3.0.x 의 경우 JSP에서 "서블렛클래스패스"에 걸려 있는 클래스를
       참조할 때, 그 클래스가 default package 즉 package 가 없는 클래스일 경우 참조하지
       못하는 버그가 있습니다. 통상 "Bean"이라 불리는 클래스 역시 조건에 따라 인식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클래스 다지인 및 설계 상으로 보더라도 package 를 선언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NOTE3: 위에서  "userid", "password" 등과 같이 명시적으로 프로그램에 박아 넣지
       않고, 파일로 관리하기를 원한다면, 그렇게 하셔도 됩니다.
       JDF의 Configuration Framework 을 참조하세요.


     PS: 혹자는 왜 ConnectionResource 의 release() 메소드가 필요하냐고 반문할 수도 있습
       니다. 예를 들어 개발자의 소스가 다음처럼 되도록 해도 되지 않느냐라는 거죠.

        -----------------------------------------------------------
        .....
        Connection conn = null;
        Statement stmt = null;
        try {
          conn = ConnectionResource.getConnection(); // <---- !!!

          stmt = conn.createStatement();
          .....
        }
        catch(Exception e){
          .....
        }
        finally {
          if ( stmt != null ) try{stmt.close();}catch(Exception e){}
          if ( conn != null ) try{conn.close();}catch(Exception e){} // <---- !!!
        }
        -----------------------------------------------------------

      이렇게 하셔도 큰 무리는 없습니다. 그러나, JDBC 2.0 을 지원하는 제품에서만
      conn.close() 를 통해 해당 Connection 을 실제 close() 시키는 것이 아니라 DB Pool에
      반환하게 됩니다. BEA WebLogic 이나 IBM WebSphere 3.0.2.x, 3.5.x 등이 그렇습니다.
      그러나, 자체제작된 대부분의 DB Connection Pool 기능은 Connection 을 DB Pool에
      반환하는 고유한 API를 가지고 있습니다. WebSphere Version 2.0.x 에서는
      cmConn.releaseIBMConnection(), Oracle OSDK 에서는 trx.close(conn, "<pool_name">);
      Hans Bersten 의 DBConnectionManager 의 경우는
      connMgr.freeConnection(poolname, conn); 등등 서로 다릅니다. 이러한 제품들까지
      모두 지원하려면 "release()" 라는 우리들(!)만의 예약된 메소드가 꼭 필요하게 됩니다.

      물론, java.sql.Connection Interface를 implements 한 별도의 MyConnection 을 만들어
      두고, 실제 java.sql.Connection 을 얻은 후 MyConnection의 생성자에 그 reference를
      넣어준 후, 이를 return 시에 넘기도록 하게 할 수 있습니다. 이때, MyConnection의
      close() 함수를 약간 개조하여 DB Connection Pool로 돌아가게 할 수 있으니까요.


     PS: 하나 이상의 DB 를 필요로 한다면, 다음과 같은 생성자를 추가로 만들어서 구분케
      할 수도 있습니다.

      -----------------------------------------------------------
      ....
      private String poolname = "default_pool_name";
      private String userid = "scott";
      private String password = "tiger";
      public ConnectionResource() throws Exception {
        initialize();
      }
      public ConnectionResource(String poolname) throws Exception {
        this.poolname = poolname;
        initialize();
      }
      public ConnectionResource(String poolname,String userid, String passwrod)
      throws Exception
      {
        this.poolname = poolname;
        this.userid = userid;
        this.password = password;
        initialize();
      }
      private void initialize() throws Exception {
        ....
      }
      ...
      -----------------------------------------------------------



    -------------------------------------------------------------------------------
    2001.03.20 추가
    2001.10.22 수정
    2001.11.09 수정(아래 설명을 추가함)

    실 운영 사이트의 장애진단 및 튜닝을 다녀보면, 장애의 원인이 DataBase 연결개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Connection Pool 에서 더이상 가용한 연결이 남아 있지 않아
    발생하는 문제가 의외로 많습니다. 이 상황의 십중팔구는 개발자의 코드에서 Pool로
    부터 가져온 DB연결을 사용하고 난 후, 이를 여하한의 Exception 상황에서도 다시
    Pool로 돌려보내야 한다는 Rule 를 지키지 않아서 발생한 문제가 태반입니다.
    이름만 말하면 누구나 알법한 큼직한 금융/뱅킹사이트의 프로그램소스에서도 마찬가지
    입니다.
    문제는 분명히 어떤 특정 응용프로그램에서 DB Connection 을 제대로 반환하지 않은
    것은 분명한데, 그 "어떤 특정 응용프로그램"이 꼭집어 뭐냐 라는 것을 찾아내기란
    정말 쉽지 않습니다. 정말 쉽지 않아요. 1초당 수십개씩의 Request 가 다양하게 들어
    오는 상황에서, "netstat -n"으로 보이는 TCP/IP 레벨에서의 DB연결수는 분명히 증가
    하고 있는데, 그 수십개 중 어떤 것이 문제를 야기하느냐를 도저히 못찾겠다는 것이지요.
    사용자가 아무도 없는 새벽에 하나씩 컨텐츠를 꼭꼭 눌러 본들, 그 문제의 상황은
    대부분 정상적인 로직 flow 에서는 나타나지 않고, 어떤 특별한 조건, 혹은 어떤
    Exception 이 발생할 때만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이런 방법으로는 손발과 눈만 아프게
    되곤 합니다.

    따라서, 애초 부터, 이러한 상황을 고려하여, 만약, 개발자의 코드에서 실수로 DB연결을
    제대로 Pool 에 반환하지 않았을 때, 그 개발자 프로그램 소스의 클래스 이름과 함께
    Warnning 성 메세지를 남겨 놓으면, 되지 않겠느냐는 겁니다.

    Java 에서는 java.lang.Object 의 finalize() 라는 기막힌 메소드가 있습니다. 해당
    Object instance의 reference 가 더이상 그 어떤 Thread 에도 남아 있지 않을 경우
    JVM의 GC가 일어날 때 그 Object 의 finalize() 메소드를 꼭 한번 불러주니까요.

    계속 반복되는 얘기인데, 아래 글에서 또한번 관련 의미를 찾을 수 있을 것입니다.
    Re: DB Connection Pool: Orphan and Idle Timeout
    http://www.javaservice.net/~java/bbs/read.cgi?m=devtip&b=servlet&c=r_p&n=1005294960

    아래는 이것을 응용하여, Hans Bergsten 의 DBConnectionManager 를 사용하는
    ConnectionAdapter 클래스를 만들어 본 샘플입니다. Trace/Debuging 을 위한 몇가지
    기능이 첨가되어 있으며, 다른 ConnectionPool을 위한 Connection Adapter 를 만들때도
    약간만 수정/응용하여 사용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


    /**
     * Author : Lee WonYoung, javaservice@hanmail.net
     * Date   : 2001.03.20, 2001.10.22
     */

    import java.util.*;
    import java.sql.*;
    import java.io.*;
    import java.text.SimpleDateFormat;

    public class ConnectionResource
    {
        private boolean DEBUG_MODE = true;
        private String DEFAULT_DATASOURCE = "idb";  // default db name
        private long GET_CONNECTION_TIMEOUT = 2000; // wait only 2 seconds if no
                                                    // avaiable connection in the pool
        private long WARNNING_MAX_ELAPSED_TIME = 3000;

        private SimpleDateFormat df = new SimpleDateFormat("yyyyMMdd/HHmmss");
        private db.DBConnectionManager manager = null;
        private Connection conn = null;
        private String datasource = DEFAULT_DATASOURCE;
        private String caller = "unknown";
        private long starttime = 0;

        private static int used_conn_count = 0;
        private static Object lock = new Object();

        // detault constructor
        public ConnectionResource()
        {
            manager = db.DBConnectionManager.getInstance();
        }

        // For debugging, get the caller object reference
        public ConnectionResource(Object caller_obj)
        {
            this();
            if ( caller_obj != null )
                caller = caller_obj.getClass().getName();
        }

        public Connection getConnection()  throws Exception
        {
            return getConnection(DEFAULT_DATASOURCE);
        }

        public Connection getConnection(String datasource)  throws Exception
        {
            if ( conn != null ) throw new Exception
                ("You must release the connection first to get connection again !!");

            this.datasource = datasource;
            // CONNECTION_TIMEOUT is very important factor for performance tuning
            conn = manager.getConnection(datasource, GET_CONNECTION_TIMEOUT);
            synchronized( lock ) { ++used_conn_count; }
            starttime = System.currentTimeMillis();
            return conn;
        }

        // you don't have to get "connection reference" as parameter,
        // because we already have the referece as the privae member variable.
        public synchronized void release() throws Exception {  
            if ( conn == null ) return;
            // The following is needed for some DB connection pool.
            boolean mode = true;
            try{
                mode = conn.getAutoCommit();
            }catch(Exception e){}
            if ( mode == false ) {
                try{conn.rollback();}catch(Exception e){}
                try{conn.setAutoCommit(true);}catch(Exception e){}
            }
            manager.freeConnection(datasource, conn);
            conn = null;
            int count = 0;
            synchronized( lock ) { count = --used_conn_count; }
            if ( DEBUG_MODE ) {
                long endtime = System.currentTimeMillis();
                if ( (endtime-starttime) > WARNNING_MAX_ELAPSED_TIME ) {
                    System.err.println(df.format(new java.util.Date()) +
                        ":POOL:WARNNING:" + count +
                        ":(" + (endtime-starttime) + "):" +
                        "\t" + caller
                    );
                }
            }
        }
        // finalize() method will be called when JVM's GC time.
        public void finalize(){
            // if "conn" is not null, this means developer did not release the "conn".
            if ( conn != null ) {
                System.err.println(df.format(new java.util.Date()) +
                    ":POOL:ERROR connection was not released:" +
                    used_conn_count + ":\t" + caller
                );
                release();
            }
        }
    }

    -------------------------------------------------------------------------------

    위의 Connection Adaptor 클래스를 Servlet 이나 JSP에서 사용할 때는 다음과 같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사용법: DB Transaction 처리가 필요치 않을 때...


    ConnectionResource resource = null;
    Connection conn = null;
    Statement stmt = null;
    try{
        // For debugging and tracing, I recommand to send caller's reference to
        // the adapter's constructor.
        resource = new ConnectionResource(this); // <--- !!!
        //resource = new ConnectionResource();

        conn = resource.getConnection();
        // or you can use another database name
        //conn = resource.getConnection("other_db");

        stmt = conn.createStatement();
        ResultSet rs = stmt.executeQuery("select ...");
        while(rs.next()){
            .....
        }
        rs.close();

    }
    //catch(Exception e){
    //    // error handling if you want
    //    ....
    //}
    finally{
        if ( stmt != null ) try{stmt.close();}catch(Exception e){}
        if ( conn != null ) resource.release(); // <--- !!!
    }

    -------------------------------------------------------------------------------
    사용법: Transaction 처리가 필요할 때.

    ConnectionResource resource = null;
    Connection conn = null;
    Statement stmt = null;
    try{
        // For debugging and tracing, I recommand to send caller's reference to
        // the adapter's constructor.
        resource = new ConnectionResource(this);
        //resource = new ConnectionResource();

        conn = resource.getConnection();
        // or you can use another database name
        //conn = resource.getConnection("other_db");

        conn.setAutoCommit(false); // <--- !!!

        stmt = conn.createStatement();
        stmt.executeUpdate("update ...");
        stmt.executeUpdate("insert ...");
        stmt.executeUpdate("update ...");
        stmt.executeUpdate("insert ...");
        stmt.executeUpdate("update ...");
        
        int affected = stmt.executeUpdate("update....");
        // depends on your business logic,
        if ( affected == 0 )
            throw new Exception("NoAffectedException");
        else if ( affected > 1 )
            throw new Exception("TooManyAffectedException:" + affected);

        conn.commit(); //<<-- commit() must locate at the last position in the "try{}"
    }
    catch(Exception e){
        // if error, you MUST rollback
        if ( conn != null ) try{conn.rollback();}catch(Exception e){}

        // another error handling if you want
        ....
        throw e; // <--- throw this exception if you want
    }
    finally{
        if ( stmt != null ) try{stmt.close();}catch(Exception e){}
        if ( conn != null ) resource.release(); // <-- NOTE: autocommit mode will be
                                                //           initialized
    }
    -----------------------------------------------------------------

    PS: 더 깊이있는 내용을 원하시면 다음 문서들을 참조 하세요...
        JDF 제4탄 - DB Connection Pool
        http://www.javaservice.net/~java/bbs/read.cgi?m=jdf&b=framework&c=r_p&n=945156790

        JDF 제5탄 - DB Connection Resource Framework
        http://www.javaservice.net/~java/bbs/read.cgi?m=jdf&b=framework&c=r_p&n=945335633

        JDF 제6탄 - Transactional Connection Resource Framework
        http://www.javaservice.net/~java/bbs/read.cgi?m=jdf&b=framework&c=r_p&n=945490586


    PS: IBM WebSphere의 JDBC Connection Pool 에 관심이 있다면 다음 문서도 꼭 참조
     하세요...
        Websphere V3 Connection Pool 사용법
        http://www.javaservice.net/~java/bbs/read.cgi?m=appserver&b=was&c=r_p&n=970209527
        WebSphere V3 DB Connection Recovery 기능 고찰
        http://www.javaservice.net/~java/bbs/read.cgi?m=appserver&b=was&c=r_p&n=967473008

    ------------------------
    NOTE: 2004.04.07 추가
    그러나, 2004년 중반을 넘어서는 이 시점에서는, ConnectionResource와 같은 Wapper의
    중요성이 별로 높이 평가되지 않는데, 그 이유는 Tomcat 5.0을 비롯한 대부분의 WAS(Web
    Application Server)가 자체의 Connection Poolinig기능을 제공하며, 그 사용법은 다음과
    같이 JDBC 2.0에 준하여 모두 동일한 형태를 띠고 있기 때문입니다.

    InitialContext ctx = new InitialContext();
    DataSource ds = (DataSoruce)ctx.lookup("java:comp/env/jdbc/ds");
    Connection conn = ds.getConnection();
    ...
    conn.close();

    결국 ConnectionResource의 release()류의 메소드는 Vendor별로, JDBC Connection Pool의
    종류가 난무하던 3-4년 전에는 어플리케이션코드의 Vendor종속성을 탈피하기 위해 의미를
    가졌으나, 지금은 굳이 필요가 없다고 보여 집니다.

    단지, caller와 callee의 정보, 즉, 응답시간을 추적한다거나, close() 하지 않은
    어플리케이션을 추적하는 의미에서의 가치만 남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것도,
    IBM WebSphere v5의 경우, 개발자가 conn.close() 조차 하지 않을 지라도 자동을 해당
    Thread의 request ending시점에 "자동반환"이 일어나게 됩니다.)

    ---------------------
    2005.01.21 추가
    JDBC Connection/Statement/ResultSet을 close하지 않은 소스의 위치를 잡아내는 것은
    실제 시스템 운영 중에 찾기란 정말 모래사장에서 바늘찾기 같은 것이었습니다.
    그러나, 제니퍼(Jennifer2.0)과 같은 APM을 제품을 적용하시면, 운영 중에, 어느 소스의
    어느 위치에서 제대로 반환시키지 않았는지를 정확하게 찾아줍니다.
    뿐만 아니라, 모든 SQL의 수행통계 및 현재 수행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이 어떤 SQL을
    수행중인지 실시간으로 확인되니, 성능저하를 보이는 SQL을 튜닝하는 것 등, 많은 부분들이
    명확해져 가고 있습니다. 이젠 더이상 위 글과 같은 문서가 필요없는 세상을 기대해 봅니다.

    -------------------------------------------------------  
      본 문서는 자유롭게 배포/복사 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 문서의 저자에 대한 언급을 삭제하시면 안됩니다
    ================================================
      자바서비스넷 이원영
      E-mail: javaservice@hanmail.net
      PCS:011-898-7904
    ================================================
    posted by 좋은느낌/원철
    2008. 6. 30. 17:46 개발/Java
    출처 : http://msinterdev.org/blog/archive/200804?TSSESSIONmsinterdevorgblog=7701d2cc7e6ea2d431e379532dd3888d

    자바서비스.넷  에 있는 예전 글 입니다.
    요즘엔 iBatis 니 Spring 이니 하는 것 들을 이용하기 때문에 별도로 커넥션을 관리 할 일이 없어지긴 하고 있지만, 기본 개념을 모른체로 하다보니 잘못 된 접근을 하는 경우가 발생하여 다시 한번 점검해 봅니다.


    최초작성일자: 2000/09/05 16:19:47
    최근 수정일 : 2001.01.27
    최근 수정일 : 2001.03.12(nested sql query issue)
    최근 수정일 : 2001.03.13(transaction)
    최근 수정일 : 2001.03.20(instance variables in JSP)
    최근 수정일 : 2001.04.03(문맥수정)
    최근 수정일 : 2002.02.06("close 할 땐 제대로..." 추가사항첨가)
    최근 수정일 : 2002.02.25("transaction관련 추가")
    최근 수정일 : 2002.06.11(PreparedStatement에 의한 ResultSet close 이슈)
    최근 수정일 : 2002.06.18(PreparedStatement관련 추가)
    최근 수정일 : 2002.12.30(Instance Variable 공유 1.2 추가)


    다들 아실법한 단순한 얘깁니다만, 아직 많은 분들이 모르시는 것 같아 다시한번
    정리합니다. 아래의 각각의 예제는 잘못 사용하고 계시는 전형적인 예들입니다.

    1. 서블렛에서 instance variable 의 공유

    1.1 서블렛에서 instance variable 의 공유 - PrintWriter -

      다음과 같은 코드를 생각해 보겠습니다.

     import java.io.*;
     import javax.servlet.*;
     import javax.servlet.http.*;

     public class CountServlet extends HttpServlet {
         private PrintWriter out = null; // <-------------- (1)
     
         public void doGet(HttpServletRequest req, HttpServletResponse res)  
             throws ServletException, IOException
         {
             res.setContentType("text/html");
             out = res.getWriter();
             for(int i=0;i<20;i++){
                 out.println("count= " + (i+1) + "<br>");  // <---- (2)
                 out.flush();
                 try{Thread.sleep(1000);}catch(Exception e){}
             }
        }
      }

     위의 CountServlet.java 를 컴파일하여 돌려 보면, 1초간격으로 일련의 숫자가 올라가는
     것이 보일 겁니다.(서블렛엔진의 구현방식에 따라 Buffering 이 되어 20초가 모두 지난
     후에서 퍽 나올 수도 있습니다.)
     혼자서 단일 Request 를 날려 보면, 아무런 문제가 없겠지만, 이제 브라우져 창을 두개 이상
     띄우시고 10초의 시간 차를 두시면서 동시에 호출해 보세요... 이상한 증상이 나타날
     겁니다. 먼저 호출한 창에는 10 까지 정도만 나타나고, 10초 뒤에 호출한 창에서는 먼저
     호출한 창에서 나타나야할 내용들까지 덤으로 나타나는 것을 목격할 수 있을 겁니다.

     이는 서블렛의 각 호출은 Thread 로 동작하여, 따라서, 각 호출은 위의 (1) 에서 선언한
     instance variable 들을 공유하기 때문에 나타나는 문제입니다.

     위 부분은 다음과 같이 고쳐져야 합니다.

      public class CountServlet extends HttpServlet {
         //private PrintWriter out = null;
     
         public void doGet(HttpServletRequest req, HttpServletResponse res)  
             throws ServletException, IOException
         {
             PrintWriter out = null; // <--- 이 쪽으로 와야죠 !!!
             res.setContentType("text/html");
             out = res.getWriter();
             for(int i=0;i<20;i++){
                 out.println("count= " + (i+1) + "<br>");  // <---- (2)
                 out.flush();
                 try{Thread.sleep(1000);}catch(Exception e){}
             }
        }
      }

     국내 몇몇 Servlet 관련 서적의 일부 예제들이 위와 같은 잘못된 형태로 설명한
     소스코드들이 눈에 띕니다. 빠른 시일에 바로 잡아야 할 것입니다.

     실제 프로젝트 환경에서 개발된 실무시스템에서도, 그러한 책을 통해 공부하신듯, 동일한
     잘못된 코딩을 하고 있는 개발자들이 있습니다. 결과적으로 테스트 환경에서는 나타나지
     않더니만, 막상 시스템을 오픈하고나니 고객으로 부터 다음과 같은 소리를 듣습니다.
     "내 데이타가 아닌데 남의 데이타가 내 화면에 간혹 나타나요. refresh 를 누르면 또,
     제대로 되구요" .....
     

    1.2 서블렛에서 instance variable 의 공유

     앞서의 경우와 의미를 같이하는데, 다음과 같이 하면 안된다는 얘기지요.

      public class BadServlet extends HttpServlet {
         private String userid = null;
         private String username = null;
         private int hitcount = 0;
     
         public void doGet(HttpServletRequest req, HttpServletResponse res)  
             throws ServletException, IOException
         {
             res.setContentType("text/html");
             PrintWriter out = res.getWriter();
             userid = request.getParameter("userid");
             username = request.getParameter("username");
             hitcount = hitcount + 1;
             ....
        }
      }

     새로운 매 HTTP 요청마다 userid/username변수는 새롭게 할당됩니다. 문제는 그것이 특정
     사용자에 한하여 그러한 것이 아니라, BadServlet의 인스턴스(instance)는 해당
     웹컨테이너(Web Container)에 상에서 (예외경우가 있지만) 단 하나만 존재하고, 서로 다른
     모든 사용자들의 서로 다른 모든 요청들에 대해서 동일한 userid/username 및 count 변수를
     접근하게 됩니다. 따라서, 다음과 같이 메소드 안으로 끌어들여 사용하여야 함을 강조합니다.

      public class BadServlet extends HttpServlet {
         //private String userid = null; // <---- !!
         //private String username = null; // <---- !!
         private int hitcount = 0;
     
         public void doGet(HttpServletRequest req, HttpServletResponse res)  
             throws ServletException, IOException
         {
             res.setContentType("text/html");
             PrintWriter out = res.getWriter();
             String userid = request.getParameter("userid"); // <---- !!
             String username = request.getParameter("username"); // <---- !!

             //또한, instance 변수에 대한 접근은 적어도 아래처럼 동기화를 고려해야...
             synchronized(this){ hitcount = hitcount + 1; }
             ....
        }
      }


    1.3 서블렛에서 instance variable 의 공유  - DataBase Connection -

     public class TestServlet extends HttpServlet {
         private final static String drv = "oracle.jdbc.driver.OracleDriver";
         private final static String url = "jdbc:orache:thin@210.220.251.96:1521:ORA8i";
         private final static String user = "scott";
         private final static String password = "tiger";

         private ServletContext context;
         private Connection conn = null;  <--- !!!
         private Statement stmt = null; <------ !!!
         private ResultSet rs = null; <------ !!!
     
         public void init(ServletConfig config) throws ServletException {
             super.init(config);
             context = config.getServletContext();
             try {
                 Class.forName(drv);
             }
             catch (ClassNotFoundException e) {
                 throw new ServletException("Unable to load JDBC driver:"+ e.toString());
             }
         }
         public void doGet(HttpServletRequest req, HttpServletResponse res)  
             throws ServletException, IOException, SQLException
         {
             String id = req.getParameter("id");
             conn = DriverManager.getConnection(url,user,password);   ---- (1)
             stmt = conn.createStatement();  ---------- (2)
             rs = stmt.executeQuery("select .... where id = '" + id + "'"); ----- (3)
             while(rs.next()) { ----------- (4)
                ......  --------- (5)
             }  
             rs.close();  -------- (6)
             stmt.close();  ---- (7)
             conn.close();  --- (8)
             .....
        }
      }

      위에서 뭐가 잘못되었죠? 여러가지가 있겠지만, 그 중에 하나가 java.sql.Connection과
      java.sql.Statment, java.sql.ResultSet을 instance variable 로 사용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이 서블렛은 사용자가 혼자일 경우는 아무런 문제를 야기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여러사람이
      동시에 이 서블렛을 같이 호출해 보면, 이상한 증상이 나타날 것입니다.
      그 이유는 conn, stmt, rs 등과 같은 reference 들을 instance 변수로 선언하여 두었기
      때문에 발생합니다.  서블렛은 Thread로 동작하며 위처럼 instance 변수 영역에 선언해 둔
      reference 들은 doGet(), doPost() 를 수행하면서 각각의 요청들이 동시에 공유하게 됩니다.

      예를 들어, 두개의 요청이 약간의 시간차를 두고 비슷한 순간에 doGet() 안으로 들어왔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A 라는 요청이 순차적으로 (1), (2), (3) 까지 수행했을 때, B 라는 요청이 곧바로 doGet()
      안으로 들어올 수 있습니다. B 역시 (1), (2), (3) 을 수행하겠죠...
      이제 요청 A 는 (4) 번과 (5) 번을 수행하려 하는데, 가만히 생각해 보면, 요청B 로 인해
      요청A에 의해 할당되었던 conn, stmt, rs 의 reference 들은 바뀌어 버렸습니다.
      결국, 요청 A 는  요청 B 의 결과를 가지고 작업을 하게 됩니다. 반면, 요청 B 는
      요청 A 의 의해 rs.next() 를 이미 수행 해 버렸으므로, rs.next() 의 결과가 이미 close
      되었다는 엉뚱한 결과를 낳고 마는 거죠...
      다른 쉬운 얘기로 설명해 보면, A, B 두사람이 식탁에 앉아서 각자 자신이 준비해 온 사과를
      하나씩 깎아서 식탁 위의 접시에 올려 놓고 나중에 먹어려 하는 것과 동일합니다. A 라는
      사람이 열심히 사과를 깎아 접시에 담아둘 때, B 라는 사람이 들어와서 A가 깎아둔 사과를
      버리고 자신이 깎은 사과를 대신 접시에 담아 둡니다. 이제 A라는 사람은 자신이 깎아서
      담아 두었다고 생각하는 그 사과를 접시에서 먹어버립니다. 곧이어 B라는 사람이 자신의
      사과를 접시에서 먹어려 하니 이미 A 가 먹고 난 후 였습니다. 이는 접시를 두 사람이
      공유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문제잖습니까.
      마찬가지로 서블렛의 각 Thread는 instance variable 를 공유하기 때문에 동일한 문제들을
      발생하게 됩니다.

      따라서 최소한 다음처럼 고쳐져야 합니다.

     public class TestServlet extends HttpServlet {
         private final static String drv = "...";
         private final static String url = "....";
         private final static String user = "...";
         private final static String password = "...";

         private ServletContext context;
     
         public void init(ServletConfig config) throws ServletException {
             super.init(config);
             context = config.getServletContext();
             try {
                 Class.forName(drv);
             }
             catch (ClassNotFoundException e) {
                 throw new ServletException("Unable to load JDBC driver:"+ e.toString());
             }
         }
         public void doGet(HttpServletRequest req, HttpServletResponse res)  
             throws ServletException, IOException, SQLException
         {
             Connection conn = null;  <----- 이곳으로 와야죠..
             Statement stmt = null; <-------
             ResultSet rs = null; <---------

             String id = req.getParameter("id");
             conn = DriverManager.getConnection(url,user,password);
             stmt = conn.createStatement();
             rs = stmt.executeQuery("select ..... where id = '" + id + "'");
             while(rs.next()) {
                ......  
             }  
             rs.close();
             stmt.close();
             conn.close();
             .....
         }
      }


    1.4 JSP에서 Instance Variable 공유

     JSP에서 아래처럼 사용하는 경우가 위의 경우와 동일한 instance 변수를 공유하는 경우가
     됩니다.
       ---------------------------------------------------------
       <%@ page session=.... import=.... contentType=........ %>
       <%!
           Connection conn = null;
           Statement stmt = null;
           ResultSet rs = null;
           String userid = null;
       %>
       <html><head></head><body>
       <%
           ........
           conn = ...
           stmt = .....

           uesrid = ......
       %>
       </body></html>
       ---------------------------------------------------------

       마찬가지로 위험천만한 일이며, 여러 Thread 에 의해 그 값이 변할 수 있는 변수들은
       <%! ... %> 를 이용하여 선언하시면 안됩니다. 이처럼 instance 변수로 사용할 것은
       다음 처럼, 그 값이 변하지 않는 값이거나, 혹은 공유변수에 대한 특별한 관리를
       하신 상태에서 하셔야 합니다.

       <%!  private static final String USERID = "scott";
            private static final String PASSWORD = "tiger";
       %>

       JSP에서의 이와 같은 잘못된 유형도, 앞선 서블렛의 경우처럼 일부 국내 JSP관련
       서적에서 발견됩니다.  해당 서적의 저자는 가능한 빨리 개정판을 내셔서 시정하셔야
       할 것입니다. 해당 책은 출판사나 책의 유형, 그리고 글자체로 추정건데, 초보자가
       쉽게 선택할 법한 책인 만큼 그 파급력과 영향력이 너무 큰 듯 합니다.
     
       이와 같은 부분이 실 프로젝트에서 존재할 경우, 대부분 시스템 오픈 첫날 쯤에
       문제를 인식하게 됩니다. Connection reference 가 엎어쳐지므로 Pool 에 반환이
       일어나지 않게 되고, 이는 "connection pool"의 가용한 자원이 부하가 얼마 없음에도
       불구하고 모자라는 현상으로 나타나며, 때론 사용자의 화면에서는 엉뚱한 다른
       사람의 데이타가 나타나거나, SQLException 이 나타납니다.

       NOTE: 어떻게하란 말입니까? 각 호출간에 공유되어서는 안될 변수들은 <%! ...%> 가
       아니라, <% ... %> 내에서 선언하여 사용하란 얘깁니다. JSP가 Pre-compile되어
       Servlet형태로 변환될 때, <%! ... %>는 서블렛의 instance variable로 구성되는 반면,
       <% ... %>는 _jspService() 메소드 내의 method variable로 구성됩니다.



    2. 하나의 Connection을 init()에서 미리 연결해 두고 사용하는 경우.

     public class TestServlet extends HttpServlet {
         private final static String drv = "oracle.jdbc.driver.OracleDriver";
         private final static String url = "jdbc:orache:thin@210.220.251.96:1521:ORA8i";
         private final static String user = "scott";
         private final static String password = "tiger";

         private ServletContext context;
         private Connection conn = null;  <--- !!!
     
         public void init(ServletConfig config) throws ServletException {
             super.init(config);
             context = config.getServletContext();
             try {
                 Class.forName(drv);
                 conn = DriverManager.getConnection(url,user,password);
             }
             catch (ClassNotFoundException e) {
                 throw new ServletException("Unable to load JDBC driver:"+ e.toString());
             }
             catch (SQLException e) {
                 throw new ServletException("Unable to connect to database:"+ e.toString());
             }
         }
         public void doGet(HttpServletRequest req, HttpServletResponse res)  
             throws ServletException, IOException, SQLException
         {
             Statement stmt = null;
             ResultSet rs = null;
             String id = req.getParameter("id");
             stmt = conn.createStatement();
             rs = stmt.executeQuery("select ..... where id = '" + id + "'");
             while(rs.next()) {
                ......  
             }  
             rs.close();
             stmt.close();
             .....
         }
         public void destroy() {
             if ( conn != null ) try {conn.close();}catch(Exception e){}
         }     
      }

     위는 뭐가 잘못되었을 까요?  서블렛당 하나씩 java.sql.Connection 을 init()에서 미리
     맺어 두고 사용하는 구조 입니다.

     얼핏 생각하면 아무런 문제가 없을 듯도 합니다. doGet() 내에서 별도의 Statement와
     ResultSet 을 사용하고 있으니, 각 Thread는 자신만의 Reference를 갖고 사용하게 되니까요.

     이 구조는 크게 세가지의 문제를 안고 있습니다. 하나는 DB 연결자원의 낭비를 가져오며,
     두번째로 수많은 동시사용자에 대한 처리한계를 가져오고, 또 마지막으로 insert, update,
     delete 와 같이 하나 이상의 SQL문장을 수행하면서 단일의 Transaction 처리를 보장받을
     수 없다는 것입니다.

     1) DB 자원의 낭비

       위의 구조는 서블렛당 하나씩 java.sql.Connection 을 점유하고 있습니다. 실 프로젝트에서
       보통 서블렛이 몇개나 될까요? 최소한 100 개에서 400개가 넘어 갈 때도 있겠죠?
       그럼 java.sql.Connection에 할당 되어야 할 "DB연결갯수"도 서블렛 갯수 많큼 필요하게
       됩니다. DB 연결 자원은 DB 에서 설정하기 나름이지만, 통상 maximum 을 셋팅하기
       마련입니다. 그러나 아무런 요청이 없을 때도 400 여개의 DB연결이 연결되어 있어야 한다는
       것은 자원의 낭비입니다.
        
     2) 대량의 동시 사용자 처리 불가.

       또한, 같은 서블렛에 대해 동시에 100 혹은 그 이상의 요청이 들어온다고 가정해 보겠습
       니다. 그럼 같은 java.sql.Connection 에 대해서 각각의 요청이 conn.createStatement() 를
       호출하게 됩니다.
       문제는 하나의 Connection 에 대해 동시에 Open 할 수 있는 Statement 갯수는 ( 이 역시
       DB 에서 셋팅하기 나름이지만 ) maximum 제한이 있습니다. Oracle 의 경우 Default는 50
       입니다. 만약 이 수치 이상을 동시에 Open 하려고 하면 "maximum open cursor exceed !"
       혹은 "Limit on number of statements exceeded"라는 SQLExceptoin 을 발생하게 됩니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보세요.

       public class DbTest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Exception {
            Class.forName("jdbc driver...");
            Connection conn = DriverManager.getConnection("url...","id","password");
            int i=0;
            while(true) {
               Statement stmt = conn.createStatement();
               System.out.println( (++i) + "- stmt created");
            }
         }
       }

       과연 몇개 까지 conn.createStement() 가 수행될 수 있을까요? 이는 DB에서 설정하기 나름
       입니다. 중요한 것은 그 한계가 있다는 것입니다.
       또한 conn.createStatement() 통해 만들어진 stmt 는 java.sql.Connection 의 자원이기
       때문에 위처럼 stmt 의 reference 가 없어졌다고 해도 GC(Garbage Collection)이 되지
       않습니다.


      3) Transaction 중복현상 발생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서비스가 있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public void doGet(HttpServletRequest req, HttpServletResponse res)  
          throws ServletException, IOException, SQLException
      {
          Statement stmt = null;
          String id = req.getParameter("id");
          try {
              conn.setAutoCommit(false);
              stmt = conn.createStatement();
              stmt.executeUpdate("update into XXXX..... where id = " + id + "'");
              stmt.executeUpdate("delete from XXXX..... where id = " + id + "'");
              stmt.executeUpdate(".... where id = " + id + "'");
              stmt.executeUpdate(".... where id = " + id + "'");
              conn.commit();
          }
          catch(Exception e){
              try{conn.rollback();}catch(Exception e){}
          }
          finally {
             if ( stmt != null ) try{stmt.close();}catch(Exception e){}
             conn.setAutoCommit(true);
          }
          .....
      }

      아무런 문제가 없을 듯도 합니다. 그러나 위의 서비스를 동시에 요청하게 되면, 같은
      java.sql.Connection 을 갖고 작업을 하고 있으니 Transaction 이 중첩되게 됩니다.
      왜냐면, conn.commit(), conn.rollback() 과 같이 conn 이라는 Connection 에 대해서
      Transaction 이 관리되기 때문입니다. 요청 A 가 총 4개의 SQL문장 중 3개를 정상적으로
      수행하고 마지막 4번째의 SQL문장을 수행하려 합니다. 이 때 요청 B가 뒤따라 들어와서
      2개의 SQL 문장들을 열심히 수행했습니다.  근데, 요청 A에 의한 마지막 SQL 문장
      수행중에 SQLException 이 발생했습니다. 그렇담 요청 A 는 catch(Exception e) 절로
      분기가 일어나고 conn.rollback() 을 수행하여 이미 수행한 3개의 SQL 수행들을 모두
      rollback 시킵니다. 근데,,, 문제는 요청 B 에 의해 수행된 2개의 SQL문장들도 같이
      싸잡아서 rollback() 되어 버립니다. 왜냐면 같은 conn 객체니까요. 결국, 요청B 는
      영문도 모르고 마지막 2개의 SQL문장만 수행한 결과를 낳고 맙니다.

      따라서 정리하면, Connection, Statement, ResultSet 는 doGet() , doPost() 내에서
      선언되고 사용되어져야 합니다.

      public void doGet(HttpServletRequest req, HttpServletResponse res)  
          throws ServletException, IOException, SQLException
      {
          Connection conn = null;  <----- 이곳으로 와야죠..
          Statement stmt = null; <-------
          ResultSet rs = null; <---------
          .....
      }




     3. Exception 이 발생했을 때도 Connection 은 닫혀야 한다 !!

      public void doGet(HttpServletRequest req, HttpServletResponse res)  
           throws ServletException, IOException, SQLException
      {
          String id = req.getParameter("id");

          Connection conn = DriverManager.getConnection("url...","id","password");
          Statement stmt = conn.createStatement();
          ResultSet rs = stmt.executeQuery("ssselect * from XXX where id = '" + id + "'");
          while(rs.next()) {
             ......  
          }  
          rs.close();
          stmt.close();
          conn.close();
          .....
      }

      위에선 뭐가 잘못되었을까요? 네, 사실 특별히 잘못된 것 없습니다. 단지 SQL문장에 오타가
      있다는 것을 제외하곤.... 근데, 과연 그럴까요?
      SQLException 이라는 것은 Runtime 시에 발생합니다. DB 의 조건이 맞지 않는다거나
      개발기간 중에 개발자의 실수로 SQL문장에 위처럼 오타를 적을 수도 있죠.
      문제는 Exception 이 발생하면 마지막 라인들 즉, rs.close(), stmt.close(), conn.close()
      가 수행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java.sql.Connection 은 reference 를 잃더라도 JVM(Java Virtual Machine)의 GC(Garbage
      Collection) 대상이 아닙니다. 가뜩이나 모자라는 "DB연결자원"을 특정한 어플리케이션이
      점유하고 놓아 주지 않기 때문에 얼마안가 DB Connection 을 더이상 연결하지 못하는
      사태가 발생합니다.

      따라서 다음처럼 Exception 이 발생하든 발생하지 않든 반드시 java.sql.Connection 을
      close() 하는 로직이 꼭(!) 들어가야 합니다.

      public void doGet(HttpServletRequest req, HttpServletResponse res)  
           throws ServletException, IOException, SQLException
      {
          Connection conn = null;
          Statement stmt = null;
          ResultSet rs = null;
          String id = req.getParameter("id");
          try {
            conn = DriverManager.getConnection("url...","id","password");
            stmt = conn.createStatement();
            rs = stmt.executeQuery("sselect * from XXX where id = '" + id + "'");
            while(rs.next()) {
             ......  
            }
            rs.close();
            stmt.close();
          }
          finally {
             if ( conn != null ) try {conn.close();}catch(Exception e){}
          }
          .....
      }

      참고로, 실프로젝트의 진단 및 튜닝을 나가보면 처음에는 적절한 응답속도가 나오다가
      일정한 횟수 이상을 호출하고 난 뒤부터 엄청 응답시간이 느려진다면, 십중팔구는 위처럼
      java.sql.Connection 을 닫지 않아서 생기는 문제입니다.
      가용한 모든 Connection 을 연결하여 더이상 연결시킬 Connection 자원을 할당할 수 없을
      때, 대부분 timewait 이 걸리기 때문입니다. 일단 DB관련한 작업이 들어오는 족족
      timewait에 빠질 경우, "어플리케이션서버"에서 동시에 처리할 수 있는 최대 갯수만큼
      호출이 차곡차곡 쌓이는 건 불과 몇분 걸리지 않습니다. 그 뒤부터는 애궂은 dummy.jsp
      조차 호출이 되지 않게 되고,   누군가는 "시스템 또 죽었네요"라며 묘한 웃음을 짓곤
      하겠죠....



    4. Connection 뿐만 아니라 Statement, ResultSet 도 반드시 닫혀야 한다 !!

    4.1  3번의 예제에서 Connection 의 close() 만 고려하였지 Statement 나 ResultSet 에 대한
      close는 전혀 고려 하지 않고 있습니다. 무슨 문제가 있을까요? Statement 를 닫지 않아도
      Connection 을 닫았으니 Statement 나 ResultSet 은 자동으로 따라서 닫히는 것 아니냐구요?
      천만의 말씀, 만만의 콩깎지입니다.

      만약, DB Connection Pooling 을 사용하지 않고 직접 JDBC Driver 를 이용하여 매번 DB
      연결을 하였다가 끊는 구조라면 문제가 없습니다.
      그러나 DB Connection Pooling 은 이젠 보편화되어 누구나 DB Connection Pooling 을 사용
      해야한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그것이 어플리케이션 서버가 제공해 주든, 혹은 작은
      서블렛엔진에서 운영하고 있다면 직접 만들거나, 인터넷으로 돌아다니는 남의 소스를 가져다
      사용하고 있을 겁니다.

      이처럼 DB Connection Pooling 을 사용하고 있을 경우는 Conneciton 이 실제 close()되는
      것이 아니라 Pool에 반환되어 지게 되는데, 결국 reference가 사리지지 않기 때문에 GC시점에
      자동 close되지 않게 됩니다.
      특정 Connection 에서 열어둔 Statement 를  close() 하지 않은채 그냥 반환시켜 놓게 되면,
      언젠가는 그 Connection 은 다음과 같은   SQLException 을 야기할 가능성을 내포하게 됩니다.

      Oracle :
        java.sql.SQLException : ORA-01000: maximum open cursor exceeded !!
                                (최대열기 커서수를 초과했습니다)
      UDB DB2 :
        COM.ibm.db2.jdbc.DB2Exception: [IBM][JDBC 드라이버] CLI0601E  유효하지 않은
          명령문 핸들 또는 명령문이 닫혔습니다. SQLSTATE=S1000
        COM.ibm.db2.jdbc.DB2Exception: [IBM][CLI Driver] CLI0129E  핸들(handle)이
          더이상 없습니다. SQLSTATE=HY014        
        COM.ibm.db2.jdbc.DB2Exception: [IBM][CLI Driver][DB2/NT] SQL0954C  응용프로그램
          힙(heap)에 명령문을 처리하기 위해 사용 가능한 저장영역이 충분하지 않습니다.
          SQLSTATE=57011

      이유는 앞 2)번글에서 이미 언급드렸습니다. 보다 자세한 기술적 내용은 아래의 글을
      참고하세요.
      Connection/Statement 최대 동시 Open 수
      http://www.javaservice.net/~java/bbs/read.cgi?m=devtip&b=jdbc&c=r_p&n=972287002

      따라서 또다시 3번의 소스는 다음과 같은 유형으로 고쳐져야 합니다.

      public void doGet(HttpServletRequest req, HttpServletResponse res)  
           throws ServletException, IOException, SQLException
      {
          Connection conn = null;
          Statement stmt = null;
          ResultSet rs = null;
          String id = req.getParameter("id");
          try {
            conn = ...<getConnection()>...; // (편의상 생략합니다.)
            stmt = conn.createStatement();
            rs = stmt.executeQuery("sselect * from XXX where id = '" + id + "'");
            while(rs.next()) {
             ......  
            }
            // rs.close();
            // stmt.close();
          }
          finally {
            if ( rs != null ) try {rs.close();}catch(Exception e){}
            if ( stmt != null ) try {stmt.close();}catch(Exception e){} // <-- !!!!
            if ( conn != null ) ...<releaseConnection()>...; // (편의상 생략)

          }
          .....
      }

     4.2 사실 위와 같은 구조에서, java.sql.Statement의 쿼리에 의한 ResultSet의 close()에
      대한 것은 그리 중요한 것은 아닙니다. ResultSet은 Statement 가 close() 될 때 함께
      자원이 해제됩니다. 따라서 다음과 같이 하셔도 됩니다.

      public void doGet(HttpServletRequest req, HttpServletResponse res)  
           throws ServletException, IOException, SQLException
      {
          Connection conn = null;
          Statement stmt = null;
          String id = req.getParameter("id");
          try {
            conn = ...<getConnection()>...;
            stmt = conn.createStatement();
            ResultSet rs = stmt.executeQuery("sselect * from XXX where id = '" + id + "'");
            while(rs.next()) {
             ......  
            }
            rs.close(); //<--- !!!
          }
          finally {
            // if ( rs != null ) try {rs.close();}catch(Exception e){}
            if ( stmt != null ) try {stmt.close();}catch(Exception e){}
            if ( conn != null ) ...<releaseConnection()>...;
          }
          .....
      }


     4.3  가장 대표적으로 잘못 프로그래밍하고 있는 예를 들라면 다음과 같은 유형입니다.

      Connection conn = null;
      try {
          conn = ...<getConnection()>....;
          Statement stmt = conn.createStatement();
          stmt.executeUpdate("....");  <--- 여기서 SQLException 이 일어나면...
          .....
          .....
          .....  <-- 만약,이쯤에서 NullPointerException 이 일어나면 ?
          .....
          stmt.close(); <-- 이것을 타지 않음 !!!
      }
      finally{
         if ( conn != null ) ...<releaseConnection()>...;
      }


     4.4  Statement 가 close() 되지 않는 또 하나의 경우가 다음과 같은 경우입니다.

      Connection conn = null;
      Statement stmt = null;
      try {
        conn = .....
        stmt = conn.createStatement(); // ....(1)
        rs = stmt.executeQuery("select a from ...");
        .....
        rs.close();

        stmt = conn.createStatement(); // ....(2)
        rs = stmt.executeQuery("select b from ...");
        ....
      }
      finally{
        if ( rs != null ) try {rs.close();}catch(Exception e){}
        if ( stmt != null ) try{stmt.close();}catch(Exception e){}
        if ( conn != null ) ....
      }

      즉, 두번 stmt = conn.createStatement() 를 수행함으로써, 먼저 생성된 stmt 는
      (2)번에 의해 그 reference 가 엎어쳐버리게 되어 영원히 close() 되지 않은채
      남아 있게 됩니다.
      이 경우, (2)번 문장을 주석처리하여야 겠지요. 한번 생성된 Statement 로 여러번
      Query 를 수행하면 됩니다.

      Connection conn = null;
      Statement stmt = null;
      try {
        conn = .....
        stmt = conn.createStatement(); // ....(1)
        rs = stmt.executeQuery("select a from ...");
        .....
        rs.close();

        // stmt = conn.createStatement(); // <--- (2) !!!
        rs = stmt.executeQuery("select b from ...");
        ....
      }
      finally{
        if ( rs != null ) try {rs.close();}catch(Exception e){}
        if ( stmt != null ) try{stmt.close();}catch(Exception e){}
        if ( conn != null ) ....
      }


     4.5  Statement 뿐만 아니라 PreparedStatement 를 사용할 때로 마찬가지 입니다.
      ....
      PreparedStatement pstmt = conn.prepareStatement("select ....");
      ....
      이렇게 만들어진  pstmt 도 반드시 pstmt.close() 되어야 합니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코드를 생각할 수 있습니다.

      Connection conn = null;
      try {
        conn = ...<getConnection()>...;
        PreparedStatement pstmt = conn.prepareStatement("select .... ?...?");
        pstmt.setString(1,"xxxx");
        pstmt.setString(2,"yyyy");
        ResultSet rs = pstmt.executeQuery(); <--- 여기서 SQLException 이 일어나면
        while(rs.next()){
          ....
        }
        rs.close();
        pstmt.close();  <-- 이것을 타지 않음 !!!
      }
      finally{
         if ( conn != null ) ...<releaseConnection()>...;
      }

      따라서 같은 맥락으로 다음과 같이 고쳐져야 합니다.
     
      Connection conn = null;
      PreparedStatement pstmt = null; // <-------- !!
      ResultSet rs = null;
      try {
        conn = ...<getConnection()>...;
        pstmt = conn.prepareStatement("select .... ?...?");
        pstmt.setString(1,"xxxx");
        pstmt.setString(2,"yyyy");
        rs = pstmt.executeQuery(); <--- 여기서 SQLException 이 일어나더라도...
        while(rs.next()){
          ....
        }
        //rs.close();
        //pstmt.close();
      }
      finally{
        if ( rs != null ) try {rs.close();}catch(Exception e){}
        if ( pstmt != null ) try {pstmt.close();}catch(Exception e){} // <-- !!!!
        if ( conn != null ) ...<releaseConnection()>...;
      }


     4.6  PreparedStatement 에 관련해서 다음과 같은 경우도 생각할 수 있습니다.

     4.6.1 앞서의 4.4에서 Statement를 createStatement() 연거푸 두번 생성하는 것과
      동일하게 PreparedStatement에서도 주의하셔야 합니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습니다.

      Connection conn = null;
      PreparedStatement pstmt = null;
      ResultSet rs = null;
      try {
        conn = .....
        pstmt = conn.prepareStatement("select a from ..."); // ....(1)
        rs = pstmt.executeQuery();
        .....
        rs.close();

        pstmt = conn.prepareStatement("select b from ..."); // <--- (2) !!!
        rs = pstmt.executeQuery();
        ....
      }
      finally{
        if ( rs != null ) try {rs.close();}catch(Exception e){}
        if ( pstmt != null ) try{pstmt.close();}catch(Exception e){} // <--- (3)
        if ( conn != null ) ...<releaseConnection()>...;
      }

      Statement의 인스턴스는 conn.createStatement() 시에 할당되어 지는 반면,
      PreparedStatement는 conn.prepareStatement("..."); 시에 할당되어 집니다. 위의 경우에서
      설령 마지막 finally 절에서 pstmt.close() 를 하고 있기는 하지만, (1)번에서 할당되어진
      pstmt 는 (2)에서 엎어쳤기 때문에 영원히 close() 되지 않게 됩니다. 따라서, 다음과
      같이 코딩되어야 한다는 것은 자명합니다.

      Connection conn = null;
      PreparedStatement pstmt = null;
      ResultSet rs = null;
      try {
        conn = .....
        pstmt = conn.prepareStatement("select a from ..."); // ....(1)
        rs = pstmt.executeQuery();
        .....
        rs.close();
        pstmt.close(); // <------- !!!!! 이처럼 여기서 먼저 close() 해야지요.

        pstmt = conn.prepareStatement("select b from ..."); // <--- (2)
        rs = pstmt.executeQuery();
        ....
      }
      finally{
        if ( rs != null ) try {rs.close();}catch(Exception e){}
        if ( pstmt != null ) try{pstmt.close();}catch(Exception e){} // <--- (3)
        if ( conn != null ) ...<releaseConnection()>...;
      }

      혹은 다음과 같이 서로 다른 두개의 PreparedStatement를 이용할 수도 있습니다.
     
      Connection conn = null;
      PreparedStatement pstmt1 = null;
      ResultSet rs1 = null;
      PreparedStatement pstmt2 = null;
      ResultSet rs2 = null;
      try {
        conn = .....
        pstmt1 = conn.prepareStatement("select a from ..."); // ....(1)
        rs1 = pstmt1.executeQuery();
        .....
        pstmt2 = conn.prepareStatement("select b from ..."); // <--- (2)
        rs2 = pstmt2.executeQuery();
        ....
      }
      finally{
        if ( rs1 != null ) try {rs1.close();}catch(Exception e){}
        if ( pstmt1 != null ) try{pstmt1.close();}catch(Exception e){} // <--- (3)
        if ( rs2 != null ) try {rs2.close();}catch(Exception e){}
        if ( pstmt2 != null ) try{pstmt2.close();}catch(Exception e){} // <--- (4)
        if ( conn != null ) ...<releaseConnection()>...;
      }


     4.6.2 아래는 앞서의 4.6.1과 같은 맥락인데, for loop 안에서 사용된 경우입니다.

      Connection conn = null;
      PreparedStatement pstmt = null;
      try {
        conn = ...<getConnection()>...;
        for(int i=0;i<10;i++){
          pstmt = conn.prepareStatement("update .... ?... where id = ?"); //... (1)
          pstmt.setString(1,"xxxx");
          pstmt.setString(2,"id"+(i+1) );
          int affected = pstmt.executeUpdate();
          if ( affected == 0 ) throw new Exception("NoAffected");
          else if ( affedted > 1 ) throw new Exception("TooManyAffected");
        }
      }
      finally{
         if ( pstmt != null ) try {pstmt.close();}catch(Exception e){} // ...(2)
         if ( conn != null ) ...<releaseConnection()>...;
      }

      이 경우가 실제 프로젝트 performace 튜닝을 가 보면 종종 발견되는 잘못된
      유형 중의 하나입니다. 핵심은 pstmt.prepareStatement("update..."); 문장을
      수행할 때 마다 내부적으로 pstmt 가 새로 할당된다는 것에 있습니다.
      결국, (1)번 문장이 for loop 을 돌면서 9개는 pstmt.close()가 되지 않고, 마지막
      하나의 pstmt 만  finally 절의 (2)번에서 close 되지요...
      따라서 다음처럼 고쳐져야 합니다.

      Connection conn = null;
      PreparedStatement pstmt = null;
      try {
        conn = ...<getConnection()>...;
        pstmt = conn.prepareStatement("update .... ?... where id = ?");
        for(int i=0;i<10;i++){
          pstmt.clearParameters();      
          pstmt.setString(1,"xxxx");
          pstmt.setString(2,"id"+(i+1) );
          int affected = pstmt.executeUpdate();
          if ( affected == 0 ) throw new Exception("NoAffected");
          else if ( affedted > 1 ) throw new Exception("TooManyAffected");
        }
      }
      finally{
         if ( pstmt != null ) try {pstmt.close();}catch(Exception e){}
         if ( conn != null ) ...<releaseConnection()>...;
      }

      PreparedStatement 라는 것이, 한번 파싱하여 동일한 SQL문장을 곧바로 Execution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고, 궁극적으로 위와 같은 경우에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는
      것이지요.

      어느 개발자의 소스에서는 위의 경우를 다음과 같이 for loop 안에서 매번
      conn.prepareStatement(...)를 하는 경우를 보았습니다.

      Connection conn = null;
     
      try {
        conn = ...<getConnection()>...;
        for(int i=0;i<10;i++) {
            PreparedStatement pstmt = null;
            try{
                pstmt = conn.prepareStatement("update .... ?... where id = ?");
                pstmt.clearParameters();      
                pstmt.setString(1,"xxxx");
                pstmt.setString(2,"id"+(i+1) );
                int affected = pstmt.executeUpdate();
                if ( affected == 0 ) throw new Exception("NoAffected");
                else if ( affedted > 1 ) throw new Exception("TooManyAffected");
            }
            finally{
                if ( pstmt != null ) try {pstmt.close();}catch(Exception e){}
            }
        }
      }
      finally{
         if ( conn != null ) ...<releaseConnection()>...;
      }

      위 경우는 장애관점에서 보면 사실 별 문제는 없습니다. 적어도 닫을 건 모두 잘 닫고
      있으니까요. 단지 효율성의 문제가 대두될 수 있을 뿐입니다.

     4.7 생각해 보면, Statement 나 PreparedStatement 가 close() 되지 않는 유형은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그러나 열려진 Statement는 반드시 close()되어야 한다라는
      단순한 사실에 조금만 신경쓰시면 어떻게 프로그래밍이 되어야 하는지 쉽게
      감이 오실 겁니다. 단지 신경을 안쓰시니 문제가 되는 것이지요...

      Statement 를 닫지 않는 실수를 한 코드가 400-1000여개의 전 어플리케이션을 통털어
      한두군데에 숨어 있는 경우가 제일 찾아내기 어렵습니다. 한두번 Statement 를
      close 하지 않는다고 하여 곧바로 문제로 나타나지 않기 때문입니다.
      하루나 이틀, 혹은 며칠지나서야, Oracle 의 경우, "maximum open cursor exceed"
      에러를 내게 됩니다. oracle 의 경우, 위와 같은 에러를 conn.createStatement()시에
      발생하므로 (경우에 따라) 큰 문제로 이어지지는 않습니다. 찾아서 고치면 되니까요.

      반면, DB2 의 경우는 메모리가 허용하는 한도까지 지속적인 메모리 증가를 야기합니다.
      급기야 "핸들(handle)이 더이상 없습니다", "응용프로그램 힙(heap)에 명령문을
      처리하기 위해 사용 가능한 저장영역이 충분하지 않습니다", "유효하지 않은 명령문
      핸들 또는 명령문이 닫혔습니다" 등과 같은 에러를 내지만, 여기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connection 을 맺는 시점에 SIGSEGV 를 내면 crashing 이 일어납니다.
      java.lang.OutOfMemoryError 가 발생하기 때문이지요.

      Oracle 의 경우도 사실 상황에 따라 심각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어떤 개발자가
      "maximum open cursor exceed"라는 Oracle SQL 에러 메세지를 만나고는 자신이
      코딩을 잘못한 것은 염두에 두지 않고, 무조건 DBA에게 oraXXX.ini 파일에서
      OPEN_CURSORS 값을 올려달라고 요청하고, DBA는 그 조언(?)을 충실히 받아들여
      Default 50 에서 이를 3000 으로 조정합니다. 여기서 문제는 깊숙히(?) 숨겨집니다.
      close() 안된 Statement 가 3000 회에 도달하지 전까진 아무도 문제를 인식하지
      못하기 때문이죠. 그러나, Statement가 하나씩 close()되지 않은 갯수에 비례하여
      Oracle 엔진의 메모리 사용은 자꾸만 증가하고, 전체적인 성능저하를 야기하지만,
      이를 인식하기란 막상 시스템을 오픈하고 나서 3-4일이 지난 후에 "DB성능이 이상하네,
      응답속도가 느리네" 하면서 또 한번의 "maximum open cursor exceed" 메세지를
      확인하고 난 뒤의 일이 되곤 합니다.

      에러가 없는 정상적인 로직 flow 에서는 대부분 Statement가 잘 닫힐 겁니다. 그러나,
      어떤 이유에서건 아주 드물게 Runtime Exception 이 발생하여 exception throwing으로
      인해 "stmt.close()"를 타지 않는 경우가 제일 무섭지요. 정말 무섭지요...

      Statement, PreparedStatement, CallableStatement 모두 마찬가지 입니다.



    5. close() 를 할 땐 제대로 해야 한다!!

     5.1 다음과 같은 프로그램 형식을 생각할 수 있습니다.

      Connection conn = null;
      Statement stmt = null;
      ResultSet rs = null;
      try{
         conn = ...<getConnection()>...; //.......(1)
         stmt = conn.createStatement();    //.............(2)
         rs = stmt.executeQuery("select .....");  // .....(3)
         while(rs.next()){
           ......
         }
      }
      finally {
         try {
            rs.close(); //........(4)
            stmt.close(); //......(5)
            ...<releaseConneciton()>...; //......(6)
         }catch(Exception e){}
      }

      위에선 뭐가 잘못되었을까요? 다 제대로 한듯 한데....
      finally 절에서 rs, stmt, conn 을 null check 없이, 그리고 동일한 try{}catch 절로
      실행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1), (2) 번을 거치면서 conn 과 stmt 객체까지는 제대로 수행되었으나
      (3)번 Query문장을 수행하는 도중에 SQLException 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러면,
      finally  절에서 (4) 번 rs.close()를 수행하려 합니다. 그러나, executeQuery()가
      실패 했기 때문에 rs 의 reference 는 null 이므로 rs.close() 시에
      NullPointerException 이 발생합니다.  결국 정작 반드시 수행되어야할 (5)번, (6)번이
      실행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반드시(!) 다음과 같은 형식의 코딩이 되어야 합니다.

      Connection conn = null;
      Statement stmt = null;
      ResultSet rs = null;
      try{
         conn = ...<getConnection()>...;
         stmt = conn.createStatement();
         rs = stmt.executeQuery("select .....");
         while(rs.next()){
           ......
         }
      }
      catch(Exception e){
         ....
      }
      finally {
         if ( rs != null ) try{rs.close();}catch(Exception e){}
         if ( stmt != null ) try{stmt.close();}catch(Exception e){}
         if ( conn != null ) ...<releaseConnection()>...;
      }

     같은 맥락으로 PreparedStatement 를 사용할 경우도, 다음과 같은 코딩은 잘못되었습니다.

      Connection conn = null;
      PreparedStatement pstmt = null;
      try{
         conn = ...<getConnection()>...; //.......(1)
         pstmt = conn.prepareStatement("ddelete from EMP where empno=7942"); //...(2)
         int k = pstmt.executeUpdate();  // .....(3)
         ......
      }
      finally {
         try {
            pstmt.close(); //......(4)
            ...<releaseConneciton()>...; //......(5)
         }catch(Exception e){}
      }
      왜냐면, SQL문장에 오타가 있었고, 이는 prepareStatement("ddelete..")시점에 에러가
      발생하여 pstmt 가 여전히 null 인 상태로 finally 절로 분기되기 때문인 것이죠.

     5.2.0 앞서 4.2에서도 언급했지만, java.sql.Statement의 executeQuery()에 의한 ResultSet은
      Statement 가 close 될때 자원이 같이 해제되므로 다음과 같이 하여도 그리 문제가 되진
      않습니다.
         
      Connection conn = null;
      Statement stmt = null;
      //ResultSet rs = null;
      try{
         conn = ...<getConnection()>...;
         stmt = conn.createStatement();
         ResultSet rs = stmt.executeQuery("select .....");
         while(rs.next()){
           ......
         }
         rs.close(); // <---- !!!
      }
      catch(Exception e){
         ....
      }
      finally {
         //if ( rs != null ) try{rs.close();}catch(Exception e){}
         if ( stmt != null ) try{stmt.close();}catch(Exception e){}
         if ( conn != null ) ...<releaseConnection()>...;
      }


    5.2.1  그러나 PreparedStatement에 의한 ResultSet close()는 얘기가 다를 수 있습니다.
      (2002.06.11 추가 사항)
     
      많은 분들이, "아니 설령 ResultSet를 close하지 않았더라도 Statement/PreparedStatement를
      close하면 함께 ResultSet로 close되는 것 아니냐, JDBC 가이드에서도 그렇다고
      나와 있다, 무슨 개뿔같은 소리냐?" 라구요.

      그러나, 한가지 더 이해하셔야 할 부분은, 웹스피어, 웹로직과 같은 상용 웹어플리케이션
      서버들은 성능향상을 위해 PreparedStatement 및 심지어 Statement에 대한 캐싱기능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pstmt.close() 를 하였다고 하여 정말 해당 PreparedStatement가
      close되는 것이 아니라, 해당 PreparedeStatement가 생겨난 java.sql.Connection당 지정된
      개수까지 웹어플리케이션서버 내부에서 reference가 사라지지 않고 캐시로 남아 있게 됩니다.
      결국, 연관된 ResultSet 역시 close()가 되지 않은 채 남아있게 되는 것이지요. 명시적인
      rs.close()를 타지 않으면, 웹어플리케이션서버의 JVM내부 힙영역 뿐만아니라, 쿼리의 결과로
      데이타베이스에서 임시로 만들어진 메모리데이타가 사라지지 않는 결과를 낳게 됩니다.
      특히 ResultSet이 닫히지 않으면 DB에서의 CURSOR가 사라지지 않습니다.
      또한, CURSOR를 자동으로 닫거나 닫지 않는 등의 옵션은 WAS마다 WAS의 DataSource설정에서
      CORSOR 핸들링에 대한 별도의 옵션을 제공하게 되며 특히 아래 [항목6]에서 다시 언급할
      nested sql query 처리시에 민감한 반응을 하게 됩니다.

      따라서, 앞서의 코딩 방법을 반드시 다음처럼 ResultSet도 close하시기를 다시금 정정하여
      권장 드립니다.

      Connection conn = null;
      PreparedStatement pstmt = null;
      ResultSet rs = null; // <---- !!!
      try{
         conn = ...<getConnection()>...;
         pstmt = conn.prepareStatement("select .....");
         rs = pstmt.executeQuery(); // <----- !!!
         while(rs.next()){
           ......
         }
         //rs.close(); // <---- !!!
      }
      catch(Exception e){
         ....
      }
      finally {
         if ( rs != null ) try{rs.close();}catch(Exception e){} // <---- !!!
         if ( pstmt != null ) try{pstmt.close();}catch(Exception e){}
         if ( conn != null ) ...<releaseConnection()>...;
      }

      PS: 웹어플리케이션서버에서의 PreparedStatement 캐싱기능에 관한 부분은 아래의 글들을
      참조하세요.
      Connection Pool & PreparedStatement Cache Size
      http://www.javaservice.net/~java/bbs/read.cgi?m=appserver&b=was&c=r_p&n=995572195
      WebLogic에서의 PreparedStatement Cache -서정희-
      http://www.javaservice.net/~java/bbs/read.cgi?m=dbms&b=jdbc&c=r_p&n=1023286823



     5.3 간혹, 다음과 같은 코딩은 문제를 야기하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finally{
        try{
          if ( stmt != null ) stmt.close();
          if ( conn != null ) conn.close();
        }catch(Exception e){}
     }
     저명한 많은 책에서도 위처럼 코딩되어 있는 경우를 종종봅니다. 맞습니다. 특별히 문제성이
     있어보이지는 않습니다. 그러나, 간혹 웹어플리케이션서버의 Connection Pool과 연계하여
     사용할 땐 때론 문제가 될 때도 있습니다. 즉, 만약, stmt.close()시에 Exception이 throw
     되면 어떻게 되겠습니까?
     아니 무슨 null 체크까지 했는데, 무슨 Exception이 발생하느냐고 반문할 수도 있지만,
     오랜 시간이 걸리는 SQL JOB에 빠져 있다가 Connection Pool의 "Orphan Timeout"이 지나
     자동으로 해당 Connection을 Pool에 돌려보내거나 혹은 특별한 marking처리를 해 둘 수
     있습니다. 이 경우라면 stmt.close()시에 해당 웹어플리케이션서버에 특화된 Exception이
     발생하게 됩니다. 그렇게 되면 conn.close()를 타지 못하게 되는 사태가 벌어집니다.
     따라서, 앞서 하라고 권장한 형식으로 코딩하세요.


    6. Nested (Statemet) SQL Query Issue !!

     6.1 아래와 같은 코딩을 생각해 보겠습니다.

      Connection conn = null;
      Statement stmt = null;
      try{
         conn = ...<getConnection()>...;
         stmt = conn.createStatement();
         ResultSet rs = stmt.executeQuery("select deptno ...where id ='"+ id +"'");
         while(rs.next()){
           String deptno = rs.getString("deptno");
           stmt.executeUpdate(
               "update set dept_name = ... where deptno = '"+ deptno +"'"
           );
           ......
         }
         rs.close();
      }
      catch(Exception e){
         ....
      }
      finally {
         if ( stmt != null ) try{stmt.close();}catch(Exception e){}
         if ( conn != null ) ...<releaseConnection()>...;
      }

      위 코드는 사실 실행하자 말자 다음과 같은 에러를 만나게 됩니다.

      DB2 : -99999: [IBM][CLI Driver] CLI0115E 커서 상태가 유효하지 않습니다.
            SQLSTATE=24000
      Oracle :

      에러는 두번째 while(rs.next()) 시에 발생합니다. 왜냐면, Statement가 nested하게
      실행된 executeUpdate() 에 의해 엎어쳐 버렸기 때문입니다. ResultSet 은
      Statement와 밀접하게 관련이 있습니다. ResultSet은 자료를 저장하고 있는 객체가
      아니라, 데이타베이스와 step by step으로 상호 통신하는 Interface 일 뿐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위 코드는 다음처럼 바뀌어져야 합니다.

      Connection conn = null;
      Statement stmt1 = null;
      Statement stmt2 = null;
      try{
         conn = ...<getConnection()>...;
         stmt1 = conn.createStatement();
         stmt2 = conn.createStatement();
         ResultSet rs = stmt1.executeQuery("select deptno ...where id ='"+ id +"'");
         while(rs.next()){
           String deptno = rs.getString("deptno");
           stmt2.executeUpdate(
               "update set dept_name = ... where deptno = '"+ deptno +"'"
           );
           ......
         }
         rs.close();
      }
      catch(Exception e){
         ....
      }
      finally {
         if ( stmt1 != null ) try{stmt1.close();}catch(Exception e){}
         if ( stmt2 != null ) try{stmt2.close();}catch(Exception e){}
         if ( conn != null ) ...<releaseConnection()>...;
      }

      즉, ResultSet에 대한 fetch 작업이 아직 남아 있는 상태에서 관련된 Statement를
      또다시 executeQuery()/executeUpdate() 를 하면 안된다는 것입니다.

      PS: IBM WebSphere 환경일 경우, 아래의 글들을 추가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349   Re: Function sequence error  (Version 3.x)
      http://www.javaservice.net/~java/bbs/read.cgi?m=appserver&b=was&c=r_p&n=991154615
      486   WAS4.0x: Function sequence error 해결  
      http://www.javaservice.net/~java/bbs/read.cgi?m=appserver&b=was&c=r_p&n=1015345459



    7. executeUpdate() 의 결과를 비즈니스 로직에 맞게 적절히 활용하라.

     7.1 아래와 같은 코딩을 생각해 보겠습니다.

      public void someMethod(String empno) throws Exception {
          Connection conn = null;
          Statement stmt = null;
          try{
             conn = ...<getConnection()>...;
             stmt = conn.createStatement();
             stmt.executeUpdate(
                 "UPDATE emp SET name='이원영' WHERE empno = '" + empno + "'"
             );
          }
          finally {
             if ( stmt != null ) try{stmt.close();}catch(Exception e){}
             if ( conn != null ) ...<releaseConnection()>...;
          }
      }

      사실 흔히들 이렇게 하십니다. 별로 잘못된 것도 없어보입니다. 근데, 만약
      DB TABLE에 해당 empno 값이 없으면 어떻게 될까요? SQLException 이 발생
      하나요? 그렇지 않죠? 아무런 에러없이 그냥 흘러 내려 옵니다. 그러면, Update를
      하러 들어 왔는데, DB에 Update할 것이 없었다면 어떻게 해야 합니까? 그냥 무시하면
      되나요? 안되죠..  따라서, 다음 처럼, 이러한 상황을 이 메소드를 부른 곳으로
      알려 줘야 합니다.

      public void someMethod(String empno) throws Exception {
          Connection conn = null;
          Statement stmt = null;
          try{
             conn = ...<getConnection()>...;
             stmt = conn.createStatement();
             int affected = stmt.executeUpdate(
                 "UPDATE emp SET name='이원영' WHERE empno = '" + empno + "'"
             );
             if ( affected == 0 ) throw new Exception("NoAffectedException");
             else if ( affected > 1 ) throw new Exception("TooManyAffectedException");
          }
          finally {
             if ( stmt != null ) try{stmt.close();}catch(Exception e){}
             if ( conn != null ) ...<releaseConnection()>...;
          }
      }

      물론 이러한 부분들은 해당 비즈니스로직이 뭐냐에 따라서 다릅니다. 그것을 무시케
      하는 것이 비즈니스 로직이었다면 그냥 무시하시면 되지만, MIS 성 어플리케이션의
      대부분은 이처럼 update 나 delete 쿼리의 결과에 따라 적절한 처리를 해 주어야
      할 것입니다.



    8. Transaction 처리를 할 땐 세심하게 해야 한다.

     단, 아래는 웹어플리케이션서버의 JTA(Java Transaction API)기반의 트렌젝션처리가 아닌,
     java.sql.Connection에서의 명시적인 conn.setAutoCommit(false) 모드를 통한 트렌젝션처리에
     대해서 언급 하고 있습니다.

     8.1 Non-XA JDBC Transaction(명시적인 java.sql.Connection/commit/rollback)

      Connection conn = null;
      Statement stmt = null;
      try{
         conn = ...<getConnection()>...;
         stmt = conn.createStatement();
         stmt.executeUpdate("UPDATE ...."); // -------- (1)
         stmt.executeUpdate("DELETE ...."); // -------- (2)
         stmt.executeUpdate("INSERT ...."); // -------- (3)
      }
      finally {
         if ( stmt != null ) try{stmt.close();}catch(Exception e){}
         if ( conn != null ) ...<releaseConnection()>...;
      }

      위와 같은 코딩은 아무리 비즈니스적 요구가 간소하더라도, 실 프로젝트에서는
      있을 수가 없는 코딩입니다.(JTS/JTA가 아닌 명시적인 Transaction 처리시에..)

      다들 아시겠지만, (1), (2) 번까지는 정상적으로 잘 수행되었는데, (3)번문장을
      수행하면서 SQLException 이 발생하면 어떻게 되나요? (1),(2)은 이미 DB에 반영된
      채로 남아 있게 됩니다. 대부분의 비즈니스로직은 그렇지 않았을 겁니다.
     
      "(1),(2),(3)번이 모두 정상적으로 수행되거나, 하나라도 잘못되면(?) 모두 취소
      되어야 한다"
     
      가 일반적인 비즈니스적 요구사항이었을 겁니다. 따라서, 다음처럼 코딩 되어야
      합니다.

      Connection conn = null;
      Statement stmt = null;
      try{
         conn = ...<getConnection()>...;
         conn.setAutoCommit(false);
         stmt = conn.createStatement();
         stmt.executeUpdate("UPDATE ...."); // -------- (1)
         stmt.executeUpdate("DELETE ...."); // -------- (2)
         stmt.executeUpdate("INSERT ...."); // -------- (3)

         conn.commit(); // <-- 반드시 try{} 블럭의 마지막에 와야 합니다.
      }
      catch(Exception e){
         if ( conn != null ) try{conn.rollback();}catch(Exception ee){}
         // error handling if you want
         
         throw e;  // <--- 필요한 경우, 호출한 곳으로 Exception상황을 알려줄
                   //      수도 있습니다
      }
      finally {
         if ( stmt != null ) try{stmt.close();}catch(Exception e){}
         // in some connection pool, you have to reset commit mode to "true"
         if ( conn != null ) ...<releaseConnection()>...;
      }


     8.2 auto commit mode 를 "false"로 셋팅하여 명시적인 Transaction 관리를 할 때,
      정말 조심해야 할 부분이 있습니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경우입니다.

      Connection conn = null;
      Statement stmt = null;
      try{
         conn = ...<getConnection()>...;
         conn.setAutoCommit(false);
         stmt = conn.createStatement();
         stmt.executeUpdate("UPDATE ...."); // ----------------------- (1)
         ResultSet rs = stmt.executeQuery("SELECT ename ..."); // ---- (2)
         if ( rs.next() ) {
            conn.commit(); // ------------------- (3)
         }
         else {
            conn.rollback(); // ----------------- (4)
         }
      }
      finally {
         if ( rs != null ) try{rs.close();}catch(Exception e){}
         if ( stmt != null ) try{stmt.close();}catch(Exception e){}
         // in some connection pool, you have to reset commit mode to "true"
         if ( conn != null ) ...<releaseConnection()>...;
      }

      코드가 왜 위처럼 됐는지는 저도 모르겠습니다.  단지 비즈니스가 그러했나보죠..

      문제는 만약, (2)번 executeQuery()문장을 수행하면서 SQLException 이나 기타의
      RuntimeException 이 발생할 때 입니다.
      commit() 이나 rollback()을 타지 않고, finally 절로 건너 뛰어 Statement를
      닫고, connection 은 반환됩니다. 이때, commit() 이나 rollback()이 되지 않은채
      (1)번 UPDATE 문이 수행된채로 남아 있게 됩니다.  이는 DB LOCK을 점유하게
      되고, 경우에 따라 다르겠지만, 다음번 요청시에 DB LOCK으로 인한 hang현상을
      초래할 수도 있습니다.
      일단 한두개의 어플리케이션이 어떠한 이유였든, DB Lock 을 발생시키면, 해당
      DB에 관련된 어플리케이션들이 전부 응답이 없게 됩니다. 이 상황이 조금만
      지속되면, 해당 waiting 을 유발하는 요청들이 어플리케이션서버의 최대 동시
      접속처리수치에 도달하게 되고, 이는 전체 시스템의 hang현상으로 이어지게
      되는 것이죠..


      따라서, 비즈니스 로직이 어떠했든, 반드시 지켜져야할 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conn.setAutoComm(false); 상태에서 한번 실행된 Update성 SQL Query는 이유를
       막론하고 어떠한 경우에도 commit() 이나 rollback() 되어야 한다."

      위의 경우라면 다음처럼 catch 절에서 rollback 시켜주는 부분이 첨가되면 되겠네요.

      Connection conn = null;
      Statement stmt = null;
      try{
         conn = ...<getConnection()>...;
         conn.setAutoCommit(false);
         stmt = conn.createStatement();
         stmt.executeUpdate("UPDATE ....");
         ResultSet rs = stmt.executeQuery("SELECT ename ...");
         if ( rs.next() ) {
            conn.commit();
         }
         else {
            conn.rollback();
         }
      }
      catch(Exception e){  // <---- !!!!!
         if ( conn != null ) try{conn.rollback();}catch(Exception ee){}
         throw e;
      }
      finally {
         if ( rs != null ) try{rs.close();}catch(Exception e){}
         if ( stmt != null ) try{stmt.close();}catch(Exception e){}
         // in some connection pool, you have to reset commit mode to "true"
         if ( conn != null ) ...<releaseConnection()>...;
      }


     8.3 모든 경우의 수를 생각하라.

      다음과 같은 경우를 생각해 보겠습니다.

      Connection conn = null;
      Statement stmt = null;
      try{
         conn = ...<getConnection()>...;
         conn.setAutoCommit(false);
         stmt = conn.createStatement();
         stmt.executeUpdate("UPDATE ....");
         String idx = name.substring(3);
         ResultSet rs = stmt.executeQuery("SELECT ename ... where idx=" + idx);
         if ( rs.next() ) {
            .....
         }
         rs.close(); rs = null;

         stmt.executeUpdate("UPDATE ....");
         conn.commit();
      }
      catch(SQLException e){
         if ( conn != null ) try{conn.rollback();}catch(Exception ee){}
         throw e;
      }
      finally {
         if ( rs != null ) try{rs.close();}catch(Exception e){}
         if ( stmt != null ) try{stmt.close();}catch(Exception e){}
         // in some connection pool, you have to reset commit mode to "true"
         if ( conn != null ) ...<releaseConnection()>...;
      }

      잘 찾아 보세요. 어디가 잘못되었습니까? 잘 안보이시죠?

      Connection conn = null;
      Statement stmt = null;
      try{
         conn = ...<getConnection()>...;
         conn.setAutoCommit(false);
         stmt = conn.createStatement();
         stmt.executeUpdate("UPDATE ...."); //---- (1)
         String idx = name.substring(3); //<------ (2) NullPointerExceptoin ?
         ResultSet rs = stmt.executeQuery("SELECT ename ... where idx=" + idx);
         if ( rs.next() ) {
            .....
         }
         rs.close(); rs = null;

         stmt.executeUpdate("UPDATE ....");
         conn.commit();
      }
      catch(SQLException e){ //<------ (3) 이 부분을 탈까?
         if ( conn != null ) try{conn.rollback();}catch(Exception ee){}
         throw e;
      }
      finally {
         if ( rs != null ) try{rs.close();}catch(Exception e){}
         if ( stmt != null ) try{stmt.close();}catch(Exception e){}
         // in some connection pool, you have to reset commit mode to "true"
         if ( conn != null ) ...<releaseConnection()>...;
      }

      위 코드를 보듯, 만약 (1)을 수행 후 (2)번 에서 NullPointerException 이나
      ArrayIndexOutOfBoundException이라도 나면 어떻게 되죠? catch(SQLException ...)에는
      걸리지 않고 곧바로 finally 절로 건너띄어 버리네요. 그럼 (1)에서 update 된 것은
      commit()이나 rollback() 없이 connection 이 반환되네요... ;-)
      어떻게 해야 합니까? SQLException만 잡아서 되는 것이 아니라, catch(Exception ...)과
      같이 모든 Exception 을 catch해 주어야 합니다.


     8.4 위 주석문에서도 언급해 두었지만, Hans Bergsteins 의 DBConnectionManager.java
      와 같은 Connection Pool 을 사용할 경우에, 개발자의 코드에서 transaction auto
      commit mode 를 명시적으로 "false"로 한 후, 이를 그냥 pool 에 반환하시면,
      그 다음 사용자가 pool 에서 그 connection 을 사용할 경우, 여전히 transaction
      mode 가 "false"가 된다는 것은 주지하셔야 합니다. 따라서, DBConnectionManger의
      release method를 수정하시든지, 혹은 개발자가 명시적으로 초기화한 후 pool 에
      반환하셔야 합니다. 그렇지 않을 경우, DB Lock 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면, IBM WebSphere 나 BEA WebLogic 과 같인 JDBC 2.0 스펙에 준하는 Connection
      Pool을 사용할 경우는 반환할 당시의 transaction mode 가 무엇이었든 간에,
      pool 에서 꺼내오는 connection 의 transaction mode는 항상 일정합니다.
      (default 값은 엔진의 설정에 따라 달라집니다.)
      그렇다고 commit 시키지 않은 실행된 쿼리가 자동으로 commit/rollback 되는 것은
      아닙니다. 단지 auto commit 모드만 자동으로 초기화 될 뿐입니다.

      PS:WAS의 JTS/JTA 트렌젝션 기반으로 운영될 경우는 명시적으로 commit/rollback되지
       않은 트렌젝션은 자동으로 rollback되거나 commit됩니다. default는 WAS 설정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
      NOTE: 자바서비스컨설팅의 WAS성능관리/모니터링 툴인 제니퍼(Jennifer 2.0)를 적용하면,
      어플리케이션에서 명시적으로 commit/rollback시키지 않고 그대로 반환시킨 어플리케이션의
      소스 위치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알려줍니다. 이를 만약 수작업으로 한다면, 수많은 코드
      중 어디에서 DB lock을 유발 시키는 코드가 숨어있는지를 찾기가 경우에 따라 만만치 않은
      경우가 많습니다.

    8.5 XA JDBC Driver, J2EE JTS/JTA
      JDBC 2.0, 표준 javax.sql.DataSource를 통한 JDBC Connection을 사용할 경우에,
      대부분의 상용WAS제품들은 J2EE의 표준 JTS(Java Transaction Service)/JTA(Java Transaction
      API)를 구현하고 있습니다. 특별히, 하나 이상의 데이타베이스에서 2 phase-commit과
      같은 XA Protocol를 지원하고 있지요(사실 WAS에서 2PC가 지원되기 시작한 것은 몇년
      되지 않습니다. 2PC를 사용하려면 반드시 XA-JDBC Driver가 WAS에 설치되어야 합니다)

      샘플 예제는 다음과 같습니다.

        ...
        javax.transaction.UserTransaction tx = null;
        java.sql.Connection conn1 = null;
        java.sql.Statement stmt1 = null;

        java.sql.Connection conn2 = null;
        java.sql.Statement stmt2 = null;
        java.sql.CallableStatement cstmt2 = null;
        
        try {
            javax.naming.InitialContext ctx = new javax.naming.InitialContext();
            tx = (javax.transaction.UserTransaction) ctx.lookup("java:comp/UserTransaction");
            // 트렌젝션 시작
            tx.begin();

            // -------------------------------------------------------------------------
            // A. UDB DB2 7.2 2PC(XA) Test
            // -------------------------------------------------------------------------
            javax.sql.DataSource ds1 =
                (javax.sql.DataSource)ctx.lookup("java:comp/env/jdbc/DB2");
            conn1 = ds1.getConnection();

            stmt1 = conn1.createStatement();
            stmt1.executeUpdate(
                "insert into emp(empno,ename) values(" + empno + ",'Name" + empno + "')"
            );
            stmt1.executeUpdate(
                "update emp set ename = 'LWY" + count + "' where empno = 7934"
            );
            java.sql.ResultSet rs1 = stmt1.executeQuery("select empno,ename from emp");
            while(rs1.next()){
                ...
            }
            rs1.close();
            
            // -------------------------------------------------------------------------
            // B. Oracle 8.1.7 2PC(XA) Test
            // -------------------------------------------------------------------------
            javax.sql.DataSource ds2 =
                (javax.sql.DataSource)ctx.lookup("java:comp/env/jdbc/ORA8i");
            conn2 = ds2.getConnection();
            
            stmt2 = conn2.createStatement();
            stmt2.executeUpdate(
                "update emp set ename = 'LWY" + count + "' where empno = 7934"
            );
            java.sql.ResultSet rs2 = stmt2.executeQuery("select empno,ename from emp");
            while(rs2.next()){
                ...
            }
            rs2.close();


            // -------------------------------------------------------------------------
            // 트렌젝션 commit
            tx.commit();
        }
        catch(Exception e){
            // 트렌젝션 rollback
            if ( tx != null ) try{tx.rollback();}catch(Exception ee){}
            ...
        }
        finally {
            if ( stmt1 != null ) try { stmt1.close();}catch(Exception e){}
            if ( conn1 != null ) try { conn1.close();}catch(Exception e){}

            if ( stmt2 != null ) try { stmt2.close();}catch(Exception e){}
            if ( conn2 != null ) try { conn2.close();}catch(Exception e){}
        }

     

    NOTE: 위에서 설명한 하나하나가 제 입장에서 보면 너무나 가슴깊이 다가오는
      문제들입니다. 개발하시는 분의 입장에서 보면, 위의 가이드에 조금 어긋났다고
      뭐그리 문제겠느냐고 반문하실 수 있지만, 수백본의 소스코드 중에 위와 같은 규칙을
      준수하지 않은 코드가  단 하나라도 있다면, 잘 운영되던 시스템이 며칠에 한번씩
      에러를 야기하거나 응답이 느려지고 급기야 hang 현상을 초래하는 결과를 가져 옵니다.
      정말(!) 그렇습니다.

    NOTE: 위에서 사용한 코딩 샘플들은 JDBC Connection Pooling 은 전혀 고려치 않고
      설명드렸습니다. 그러했기 때문에 <getConnection()>, <releaseConnection()> 이란
      Pseudo 코드로 설명했던 것입니다.
      반드시 "서블렛 + JDBC 연동시 코딩 고려사항 -제2탄-" 을 읽어 보세요.
      http://www.javaservice.net/~java/bbs/read.cgi?m=devtip&b=servlet&c=r_p&n=968522077


    -------------------------------------------------------  
      본 문서는 자유롭게 배포/복사 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 문서의 저자에 대한 언급을 삭제하시면 안됩니다
    ================================================
      자바서비스넷 이원영
      E-mail: javaservice@hanmail.net
      PCS:010-6239-6498
    ================================================
    posted by 좋은느낌/원철
    2008. 6. 30. 17:44 개발/Java
    출처 : http://msinterdev.org/blog/archive/200804?TSSESSIONmsinterdevorgblog=7701d2cc7e6ea2d431e379532dd3888d

    초록(abstract)
    개발자가 놓치기 쉬운 자바의 기본 원리에 대하여 기본적이긴 하지만 개발하면서 느끼고 경험한 내용을 정리하였다.

    목차

    1 객체지향의 구멍 static
    1.1 Java는 객체지향 언어이다?
    1.2 전역변수
    2 Java는 Pointer언어이다? (Java에는 Pointer밖에 없다?)
    2.1 Java는 primitive형을 제외하곤 모두 Pointer이다
    2.2 null은 객체인가?
    2.3 String에 대하여
    2.4 객체지향의 캡슐화 파괴 주의
    2.5 배열에 대하여
    2.5.1 배열은 object 인가?
    2.5.2 배열의 length는 왜 field(member variable)인가?
    2.5.3 final과 배열에 대하여...
    2.5.4 "Java에서의 다차원 배열은 존재하지 않는다."
    2.6 인수(parameter/argument)전달의 개념
    2.6.1 "Java에서 parameter(argument) 전달은 무조건 'call by value' 이다"
    2.6.2 "C와 같은 언어는 static linking이지만, Java는 dynamic linking이다."
    2.7 GC 에 대하여 잠깐!
    2.7.1 "Garbage Collection은 만능이 아니다."
    2.8 Java Pointer 결론
    2.8.1 "결국 Java에는 pointer가 있는 것인가, 없는 것인가?"
    3 상속과 interface의 문제점
    3.1 상속
    3.1.1 상속에 있어서의 생성자(constructor)
    3.1.2 "down cast는 본질적으로 매우 위험하다"
    3.1.3 "추상클래스에 final이 있으면 compile error이다"
    3.2 interface
    3.2.1 "interface는 interface일뿐 다중 상속의 대용품이 아니다."
    3.3 상속 제대로 사용하기
    4 package와 access 제어에 관한 이해
    4.1 package
    4.1.1 "package는 '계층구조' 인가?"
    4.1.2 "compiler 가 인식하는 class검색 순서(소스코드내 클래스가 발견될 경우 그 클래스의 위치를 찾는 순서)"
    4.2 access 제어
    4.2.1 "interfacde member의 access 제어"
    4.2.2 그렇다면 interface를 다른 package에 대하여 숨기고 싶으면 어떻게 하는가?
    5 기타 Java 기능
    5.1 Thread
    5.1.1 "Multi Thread에서는 흐름은 복수이지만 data는 공유될 수 있다."
    5.1.2 "Thread는 객체와 직교하는 개념이다."
    5.1.3 "Synchronized 의 이해"
    5.1.4 "Thread 사용법의 정석은?"
    5.2 Exception
    5.2.1 "finally 절은 반드시 어떠한 경우에도 실행되는가?"
    5.2.2 "예외의 종류 3가지 (Error, RuntimeException, 그밖의 Exception)"
    5.2.2.1 Error
    5.2.2.2 RuntimeException
    5.2.2.3 그밖의 Exception
    5.2.3 "OutOfMemoryError는 어떻게 처리해야 하는가?"
    5.3 Object Serialize
    5.3.1 "Serialize를 위해서는 marker interface인 java.io.Serializable interface를 implements해야한다."
    5.3.2 "super class는 Serializable이 아닌데 sub class만 Serializable인 경우의 문제점"
    5.3.3 "transient field의 복원(?)관련"
    5.3.4 "Stack Overflow에 주의하라!"
    5.4 "nested class / inner class / 중첩클래스"
    5.4.1 "중첩클래스의 개념"
    5.4.2 "내부클래스는 부모의 참조를 몰래 보유하고 있다."
    5.4.3 "local inner class에 대하여"
    5.4.4 "anonymous class(무명클래스)에 대하여"
    6 이래도 Java가 간단한가?
    6.1 method overload 에서의 혼란?
    6.1.1 "overload란 이름이 가고 인수가 다른 method에 compiler가 다른 이름을 붙이는 기능"
    6.1.2 "그렇다면 overload에서 실제로 혼동되는 부분은 무엇인가?"
    6.1.3 (참고) 또다른 혼동, overload한 method를 override 하면?
    6.2 상속/override/은폐 에서의 복잡함
    6.2.1 "Java class의 member 4 종류"
    6.2.2 "override시 method 이름에 대한 함정"
    6.2.3 "또다른 나의(?) 실수 - 말도 안되는 오타"
    6.2.4 "static member를 instance를 경유하여 참조해서는 안 된다."
    6.2.5 "super keyword는 부모의 this"
    6.3 상속에 관한 또 다른 문제
    6.4 그밖의 함정
    6.4.1 "생성자에 void 를 붙인다면?"
    6.4.2 "if / switch 의 함정"
    7 Java 기능 적용 몇가지
    7.1 대규모 개발에서 interface 분리하기
    7.1.1 "interface 분리의 필요성"
    7.2 Java에서의 열거형
    7.3 Debug write
    8 Java 5.0 Tiger 에 대하여
    8.1 Working with java.util.Arrays
    8.2 Using java.util.Queue interface
    8.3 java.lang.StringBuilder 사용하기
    8.4 Using Type-Safe Lists
    8.5 Writing Generic Types
    8.6 새로운 static final enum
    8.7 Using java.util.EnumMap
    8.8 Using java.util.EnumSet
    8.9 Convert Primitives to Wrapper Types
    8.10 Method Overload resolution in AutoBoxing
    8.11 가변적인 argument 개수 ...
    8.12 The Three Standard Annotation
    8.13 Creating Custom Annotation Types
    9 The for/in Statement
    9.1 for/in 의 자주 사용되는 형태
    10 Static Import
    10.1 static member/method import
    11 References

    1 객체지향의 구멍 static #

    1.1 Java는 객체지향 언어이다? #

    "Java는 완전한 객체지향 언어이다" 라는 주장을 자주 접하게 된다. 만일 이것이 사실이라면 Java를 사용하는 한 "기존의 절차지향 프로그래밍을 전혀 할수 없을것 같지만 그렇지 않다. 빠져나갈 구멍이 있는 것이다. static을 이용하면 비 객체지향 언어처럼 코딩할 수 있다.
    static method는 instance가 아닌 클래스에 속하는 method로, class method라고 부른다. 반대로 static이 아닌 method는 instance method라고 부른다.
    static method는 this가 없다. instance method에는 숨겨진 파라미터로 this가 건네진다. (아래 "객체지향에 흔희 있는 오해" 참고) 하지만 static method는 절차지향의 함수와 동일하므로 숨겨진 파라미터 this는 없다. 그래서 static method에서는 전달한 this가 없으므로 instance method를 호출하거나 instance field를 참조할 수 없는 것이다.
    (참고) 객체지향에 흔히 있는 오해
    • 오해1. "객체지향에서는 객체끼리 서로 메세지를 주고 받으며 동작한다." 라는 말을 듣고 다음과 같이 생각할 수 있다. "객체지향에서는 객체가 각각 독립하여 움직인다는 것인가, 그러면 각 객체에 독립된 thread가 할당되어 있단 말인가?" 그렇지 않다. "메세지를 보낸다"라는 것은 단순히 각 객체의 함수 호출에 불과하다.
    • 오해2. "객체지향에서는 method가 class에 부속되어 있다"는 말을 듣고 다음과 같이 생각할 수 있다. "그러면 instance별로 method의 실행코드가 복제되고 있는 것이 아닌가?" 물론 이것도 오해다. method의 실행코드는 종래의 함수와 동일한 어딘가 다른곳(JVM의 class area)에 존재하며 그 첫번째 파라미터로 객체의 포인터 this가 건네질 뿐이다.
    • 오해3. "그렇다면 각 instance가 method의 실행코드를 통째로 갖고 있지 않는 것은 확실하지만, method의 실행 코드의 포인터는 각 instance별로 보관하고 있는것이 아닌가?" 이것은 약가 애매한 오해이긴 하다. JVM 스펙에서는 class영역에 실행코드를 갖고 있으며, method 호출시 별도의 stack frame이 생성되어 실행되고 실행 완료시 복귀 주소를 전달한다.

    1.2 전역변수 #

    static에서 public field는 전역변수(global variable, 글로벌 변수)이다. 여기서 "글로벌 변수는 왜 안 되는가"에 대해 잠깐 생각해 본다. 우리는 흔히 "글로벌 변수는 될수있는한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라고 한다. 그 이유는 글로벌 변수는 어디서든 참조할 수 있고 값을 변경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파라미터나 리턴값으로 교환해야 할 정보를 글로별 변수를 경유(사용)하여 건네주면 함수의 역할이 불분명 해지고 흐름도 애매해 진다. 마지막 이유로는 "글로벌 변수는 하나밖에 없다"는 것이다. 이는 어디서 이값을 변경했는지 알 수 없게 하는 지름길이고 실무에서도 간혹 발생하긴 하지만, 이 하나밖에 없는 변수가 버전업으로 두개가 필요하게 되었을때 확장도 대형 프로젝트에서는 힘들어진다.
    따라서 static에서 public은 final을 붙여 상수로 사용해야지 그 외의 용도는 자제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 (참고) final 초기화에서의 주의점.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코드를 보았을때 우려되는 점은 무엇인가?
    public final static Color WHITE = new Color(255, 255, 255);
    위의 코드는 java.awt.Color에서 발췌한 것인데, final 변수는 한번 초기화 되면 변경이 불가능한데 object로 초기화 할 경우 WHITE라는 필드가 변경될 수 없는 것이지 그것이 가리키는 객체는 아니라는 점이다.
    과거 신규 서비스 개발시 final 변수 필드에 설정파일을 읽어 cache하는 singleton class의 특정 member 를 이용하여 초기화 할 경우 이 멤버값이 변경되면 final 변수의 값이 변경되었는데 프로그램에서는 이상한 짓을 하는 원인을 찾기가 상당히 어려웠던 경험을 하고 난 후 부터 이런 코드는 냄새나는 코드로 여겨지게 되었다.
    static은 글로벌변수와 동일하므로 남발해서는 안된다. static을 사용할 경우 다음 두가지는 최소한 기억한다.
    1. static field는 final의 경우와 달리 정말 "하나여도 되는지" 여부를 잘 생각해야 한다.
    2. static method는 주저하지 말고 쓰되 다음 두가지의 경우 매우 활용적이다.
      1. 다른 많은 클래스에서 사용하는 Utility Method 군을 만드는 경우. (주로 Utility Class의 method)
      2. 클래스 안에서만 사용하는 "하청 메소드(private method)". 이유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아래와 같은 조금은 과장된 클래스가 있다고 하자.
                    public class T ..
    private int a;
    private int b;
    private int c;
    private int calc(){
    c = a + b;
    return c * c;
    }
    ....other method or getter/setter...
    위의 클래스 T의 경우 내부에서 calc라는 instance 함수를 사용하게 되면 c 의 값이 매번 변하게 된다. 이는 무심코 하는 실수로 클래스내에서 private method는 모든 멤버 instance 변수에 접근 가능하게 되면서 발생한다. c의 값이 변하지 않기를 바랄수 있다. 이때 안전한 방법은 다음과 같이 calc 하청 메소드를 static method로 수정하면 안전하다.
                private static int calc(int a, int b){
    int c = a + b;
    return c * c;
    }
    여기서 a와 b는 멤버 변수를 접근할수 없어 전달해야한다.(static에는 this가 없어 instance field를 참조할 수 없다는 것은 이미 위에서 설명했다.) 또한 c도 같은 이유로 사용할 수 없어 로컬 변수로 선언하고 사용하고 있다. 이럴 경우 메소드가 약간 커질수 있지만 instance member 변수를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것은 static을 다시한번 생각하게 하는 좋은 예가 되었을 것이다.

    2 Java는 Pointer언어이다? (Java에는 Pointer밖에 없다?) #

    2.1 Java는 primitive형을 제외하곤 모두 Pointer이다 #

    "Java에는 포인터가 없다" 라고 Java의 장점 이라고 생각하는 것은 입문자도 외우고 있다. 하지만 이 부분은 의외로 Java를 혼란스럽게 하는 주범이라고 생각한다. Java에 포인터가 없기는 커녕 primitive(int, short, char, long...등 JVM의 Heap에 object로 생성되지 않는것들)를 제외하면 "포인터 밖에 없는 언어이다"라는 명제가 성립되게 된다. 사실 여기서 포인터라고 함은 C 의 그것과는 조금 다른 reference(참조)이긴 하지만...
    "즉, 자바의 클래스형의 변수는 모두 포인터이다."

    2.2 null은 객체인가? #

    Java에서 공참조(힙에 실제로 참조되는 object가 없는 참조)의 경우는 당연히 객체가 붙어 있지 않다. 그러나, Java API 레퍼런스의 NullPointerException 항에는 다음과 같이 기술되어 있다.
    "object가 필요한 경우 application이 null을 사용하려고 하면 throw된다. 가령 다음과 같은 경우이다."
    • null object의 instance method 호출
    • null object의 field(member variables)에 대한 액세스 또는 그 값의 변경
    • null의 길이를 배열처럼 취득할 경우
    • null의 slot을 배열처럼 액세스 또는 수정
    • null을 Throwable처럼 throw 할 경우
    위에서 null object라는 말이 등장하는데 이는 공참조에 객체가 붙어 있지 않은 것이 아니라 null을 가리키는 객체라고 볼수 있다. 즉, 공참조라는 것은 JVM에서 봤을때 아무것도 참조하지 않는것이 아니라 null이라고 하는 object를 참조하고 있는것이다. 그러나 JSL 4.3.1에서는 다음과 같이 나와있다.
    "참조값(reference)은 이러한 객체의 포인터나 어떤 객체도 참조하지 않는 특수한 null참조가 된다"
    즉, 공참조는 어떤 객체도 참조하지 않는다고 단정하고 있다. 하지만 '==' 연산에 있어 두개의 객체가 모두 null이거나 동일한 객체 또는 배열 참조의 경우 true라고 되어있는것으로 봐서 서로 다른 두 객체가 동일한 null을 참조하고 있으므로 true가 된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을 할 수 있다.
    즉, null이 Object의 instance 형태는 아니지만 개념적으로 봤을때 null도 object라고 봐야 하지 않을까?

    2.3 String에 대하여 #

    String Object에 대한 생각.
                String str = "111222";
    String a = "111";
    String b = "222";
    String c = "111";
    String d = b;
    String t = str.substring(0,3); //111
    위의 소스를 보고 다음이 참인지 생각해 보자. (==연산자는 포인터의 비교이지 값의 비교가 아님)
    1. str == (a + b) ==> 이것은 두개의 참조와 하나의 참조를 비교했으므로 당연히 false이다.
    2. a == b ==> 이것은 당연히 false
    3. d == b ==> 이것은 동일한 reference이므로 true
    4. a == t ==> a 와 t 는 둘다 값이 "111"이다. 하지만 이것은 서로 다른 참조를 가져 false이다. 그렇다면 다음 5번도 false일까?
    5. a == c ==> 이것은 true이다. 아.. 4번과 혼란스럽다. 이것이 참인 이유는? ==> 이것의 해답은 JSR 3.10.5에 다음과 같이 나와 있기 때문이다.
    "동일한 내용의 문자열 리터럴에 관해서는 인스턴스를 하나밖에 생성하지 않는다."
    즉, 위의 a와 c 는 '=' 를 이용하여 문자열 리터럴을 생성하게 되는데 a 에서 이미 만들어 놓았으므로 c에서는 그것을 참조한다.

    2.4 객체지향의 캡슐화 파괴 주의 #

    "object pointer를 반환하는 getter method는 객체지향의 캡슐화가 파괴될 가능성이 있다." 이는 object형의 field(member variable)의 getter에서 이 object를 그냥 반환하면 이 object를 받은쪽이나 참조하고 있는 다른쪽에서 이 object의 내용을 변경하게 되므로 사실 캡슐화(은닉)는 이루어 지지 않았다고 봐야한다.
    "이럴 경우 object를 clone(복제) 하여 반환하지 않아도 되는지를 반드시 생각해 본다."
    object의 복사에는 shallow copy와 deep copy가 있다.
            //(참고)Member에는 두개의 field(Identity Class 형의 ID와 Family Class 형의 family)가 있다. 
    /** shallow copy */
    Member shallowCopy(){
    Member newer = new Member();
    newer.id = this.id;
    newer.family = this.family;
    return newer;
    }
    /** deep copy */
    Member deepCopy(){
    Member newer = new Member();
    newer.id = new Idetity(this.id.getId(), this.id.getName());
    newer.family = new Family(this.family.getFamilyName(), this.family.getFamilyInfo());
    return newer;
    }
    위 소스에서 보듯이 shallowCopy 는 object를 복사하여 반환한것 처럼 보이지만, 사실은 Member object만 새로 생성되었을뿐 Member의 field는 newer와 this 둘다 서로같은 힙의 id와 family를 참조한다. 하지만 두번째 method인 deepCopy의 경우 Member의 field를 새로 생성하여 복사하므로 서로 다른 id와 family이다.
    "Java에서는 clone이라는 method가 준비되어 사용되는데 이는 기본이 shallow copy임을 명심해야 한다. deep copy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clone method를 overload하거나 따로 만들어 직접 기술해야 한다." (참고) object를 immutable(변하지 않는, 불변의 객체)로 만드는 요령
    1. 모든 field(member variable)를 생성자(constructor)를 이용하여 초기화 한다.
    2. 모든 field는 private으로 선언하고, getter method는 만들되 setter는 기술하지 않는다.
    즉, 값을 변경하기 위해서는 object를 다시 만들어야만 하는 불편은 있지만 안전하게 사용하려 할때 유용하다.

    2.5 배열에 대하여 #

    2.5.1 배열은 object 인가? #

    JVM에서 배열은 object로 취급되어 object와 같이 aload, astore와 같이 bytecode로 기술되어 진다. int[] iarr = new int10; 에서 보는것과 같이 new로 Heap 영역에 object를 생성하므로 object임을 알 수 있다.

    2.5.2 배열의 length는 왜 field(member variable)인가? #

    String의 길이를 구할때는 length()와 같이 method를 이용하는데 배열은 object임에도 불구하고 legth와 같이 필드로 되어있다. '이래도 Java가 완전한 객체지향 언어인가' 라는 의심이 들게 한다. 그렇다면 length가 public이므로 array.length = 100; 과 같이 하면 배열 크기가 변경되나?
    이것은 컴파일 오류가 난다. length는 final이라 값을 변경 할 수 없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final field로 한 이유는 무엇이냐는 Java News Group에 찾아보면 대부분이 "효율을 위해서"라고 되어 있다. JIT compiler를 사용하지 않는한은 method보다는 field가 빠른건 당연한 것이다.
    그런데 정말 알수 없는것은 byte code에서는 arraylength라는 전용명령으로 컴파일 된다. 즉, length는 Java의 문법이 어찌되었든 JVM레벨에서는 field가 아닌것이 분명하다. 그렇다면 효율을 위해서 field로 했다는 것은 도데체 무슨 소리인가?
    전문가들의 대답에는 이것은 Java의 수수께끼 중 하나라고 대답하는 사람이 많다고 한다.^^;

    2.5.3 final과 배열에 대하여... #

    우리가 흔희 앞에서도 나온바 있지만 final은 값을 변경할 수 없는 것이라고만 생각하지 object로 되어 있을 경우 그 object는 변경 가능하다는 것을 잊곤한다. 배열도 object이므로 마찬가지다.
    final int[] iarr = new int[5]; 일경우 iarr = null; 은 에러가 나지만 iarr[3] = 5; 는 에러가 나지 않는다. 즉, final이 지정되어 있는것은 iarr이지 iarr이 가리키는 곳 배열의 요소가 아닌 것이다.

    2.5.4 "Java에서의 다차원 배열은 존재하지 않는다." #

    가령 2차원 배열 처럼 보이는 int[][] iarr 또는 int[] iarr[] 은 일차원 배열 두개이지 2차원 행열 구조가 아닌것이다. 즉, 두개의 배열은 각각이 배열로 되어 있는 것이지 테이블(행열)형태가 아니다.

    2.6 인수(parameter/argument)전달의 개념 #

    2.6.1 "Java에서 parameter(argument) 전달은 무조건 'call by value' 이다" #

    primitive type의 경우 호출한 쪽의 변수값은 호출 받은 method내에서 값이 변경되어도 변경되지 않는다. reference type의 경우도 reference되는 object에 대해서는 함께 변경되지만 reference pointer는 call by value이다. object를 가리키는 pointer는 call by value로 변경되지만 Heap의 실제 object내용은 변경되지 않는다.

    2.6.2 "C와 같은 언어는 static linking이지만, Java는 dynamic linking이다." #

    따라서 Java는 Class 파일이 처음에 한꺼번에 memory에 읽혀지는 것이 아니라 런타임시에 그것이 필요해 졌을때 읽혀지고 링킹된다. static field의 영역도 Class가 읽혀지는 시점에 비로서 확보된다. 이렇게 되면 최초 가동시간이 단축되고 끝까지 사용하지 않는 Class의 경우 신경쓸 필요가 없어지게 된다.
    따라서 static field는 프로그램이 시작되어 해당 Class가 필요해 졌을때 JVM이 알아서 load/link 해 준다. 즉, static field는 프로그램이 실행되기 시작할 때부터 끝날때까지 계속해서 존재하는 것이라고 보면 된다. (참고) 링킹(linking)의 의미
    link된다는 것은 Class가 memory에 loading될 때 특정 메모리 번지에 loading되는데 이 메모리 번지는 loading될때 마다 다른 번지수에 loading된다. 이때의 메모리 주소값(Java에서는 실제 메모리 값이 아닐 수 있다)을 현재 실행중인 프로그램에서 알 수 있도록 하여 해당 Class에 대한 참조가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과정이다.
    정적(static) link라는 것은 이러한 메모리에 대한 주소 정보를 컴파일 시에 compiler가 미리 결정하는 것이고, 동적(dynamic) link라는 것은 프로그램 수행 중 결정되는 것을 의미한다. 정적인 link의 경우 직접적으로 메모리의 번지값이 할당 되는 것이 아니라 offset값(기준위치로 부터의 index값)으로 연결시킨다.

    2.7 GC 에 대하여 잠깐! #

    2.7.1 "Garbage Collection은 만능이 아니다." #

    Java에는 free가 없다. GC가 알아서 해준다. 하지만 GC 수행중에는 프로그램이 멈추는 것과 동일한 증상이 나타나기 때문에 GC가 자주 발생하지 않도록 프로그램 해야 한다. 서비스 되고 있는 시스템에서도 가끔 시스템이 응답이 늦어지는 시점이 있는데, 이는 GC가 수행되고 있는 중이 대부분이다.
    그렇다면 GC가 자주 발생하지 않도록 해야 하는데 가장좋은 방법은 무엇일까? 그것은 바로 불필요한 객체를 생성하지 않는 것이 아닐까?
    개인적으로 Java에 free가 없는것이 너무나 든든하게 느껴진다. 이유는 두개의 변수가 Heap내의 하나의 object를 reference하고 있을 경우 실수로 하나의 변수만 free해 버리면 나머지 하나는 dangling pointer라하여 reference pointer가 모르는 사이데 사라져 버려 곤경에 처하는 것을 예방해 주기 때문이다.
    참고로 Object class에는 finalizer라는 method가 있어 GC 수행시점에 호출되는 method가 있지만 이것은 GC가 언제 수행될지 알 수 없으므로 과신하지 말아야 할 것이다.

    2.8 Java Pointer 결론 #

    2.8.1 "결국 Java에는 pointer가 있는 것인가, 없는 것인가?" #

    Java는 Heap내의 Object를 참조(reference)하고 있고, 참조는 결국 개념이 포인터와 같은 것이므로, "Java에는 pointer가 없다"는 것은 어불성설이다.
    // 이부분에 대해 Object를 이해하시면 족히 이런 문제는 사라질것으로 봅니다.
    // 클래스에 대한 인스턴스(object)들은 reference로 밖에 가질(참조될)수 없기 때문입니다.
    // 컴파일러 입장이 아닌 언어 자체의 사상을 가지고 쉽게 이해시키는 것이 좋을것 같습니다.
    JSR 4.3.1을 보면 다음과 같은 말이 나온다.
    "참조값(reference)은 객체의 pointer이거나, 또는 어떠한 객체도 참조하지 않는 특수한 null 참조가 된다"
    또한 java.sun.com의 Java programmer's FAQ에 "Java는 pointer가 없다고 하는데, linked list는 어떻게 만들어야 하나?"라는 질문에 다음과 같이 답변이 나와있다.
    (답변) Java에 관한 많은 오해중에서 이것이 가장 심각한 것이다. 포인터가 없기는 커녕 Java에 있어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은 오로지 pointer에 의해 행해진다. 다시 말새 객체는 항상 포인터를 경유해서만 access되며 결코 직접적으로 access되지 않는다. pointer는 reference(참조)라고 불리며 당신을 위해 자동으로 참조된다.
    "Java에는 pointer가 없고 주장하는 모든 서적과 글들은 Java의 reference사양에 모순된다고 봐야 할 것이다."

    3 상속과 interface의 문제점 #

    3.1 상속 #

    3.1.1 상속에 있어서의 생성자(constructor) #

    "child의 default 생성자가 있으면 그 생성자에는 parent의 생성자(super()) 호출이 compile시 자동 삽입된다." 따라서 super() 이전에 다른 코드가 있으면 object가 생성되기 이전이므로 오류를 발생하게 된다.

    3.1.2 "down cast는 본질적으로 매우 위험하다" #

    down cast - child의 type으로 parent를 casting - 는 parent 형태의 type이 정말 child type인지 compile시에는 알 수 없다. 실행시에 type check가 이루어 지므로 runtime시에 ClassCastException이 발생할 가능성이 커진다.
    "프로그래밍시 오류는 가능한한 compile시에 처리하는것이 좋다."

    3.1.3 "추상클래스에 final이 있으면 compile error이다" #

    abstract method가 있는 클래스는 추상 클래스이고 추상클래스는 상속되지 않으면 아무런 의미가 없기 때문이다.

    3.2 interface #

    3.2.1 "interface는 interface일뿐 다중 상속의 대용품이 아니다." #

    interface를 method signature - 추상클래스와 같이 구현부는 없이 선언부만 있는 method - 의 용도로 생각하는것이 Java에서는 옳다. 즉, interface는 final field와 abstract method가 있는 클래스와 동일하긴 하지만 상속의 의미와는 그 용도가 다르다. 공통된 type을 정의하는것으로 보는것이 맞는 의미일 것이다.
    또한 interface는 클래스를 재이용하기 위해 상속을 사용하여 캡슐화의 파괴를 수반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이있다. 상속을 사용하면 모두 구현후 마치 소스 코드가 여기저기 천 조각을 주워 모아 만든 '누더기'같이 보이는 것에 한숨을 쉰 경험이 있을 것이다. 이 부분을 interface로 구현하면 보다 깔끔한 코드가 나오게 된다. 물론 public과 protected를 적절히 잘 사용해도 되긴 하지만 말이다.
    하지만 상속은 메소드 오버라이드한 경우 클래스를 마음대로 개조해 버린 셈이 되므로 어디선가 묘한 모순이 발생하게 될 가능성도 높아질뿐 아니라 추상클래스의 경우 실제 구현부가 어디에 위치하는지도 에매하게 느껴질 수 있어 불안한 코드가 되고 만다.

    3.3 상속 제대로 사용하기 #

    "그렇다면 제대로 된 상속은 어떻게 판단할 수 있을까?"
    상속은 'is a'관계가 성립해야 올바르다. 즉 '서브클래스(자식) is a 슈퍼클래스(부모)'가 성립해야 한다. 예를 들면 Red is a Color는 올바른 명제이지만 Engine is a Car는 'has a'관계이므로 상속이라고 볼 수 없다. "따라서 'has a'관계는 상속이 아니므로 composition과 delegation을 이용하면 된다."
    composition은 '객체를 field가 갖게 하는 방법'을 의하므로 'has a'관계가 정확히 성립한다. "상속 대신 composition과 delegation(조작이나 처리를 다른 객체에 위임)을 사용하면 다음과 같은 이점이 있다."
    1. 상속에서는 슈퍼클래스가 허용하고 있는 조작을 서브클래스에서 모두 허용해야 하지만, composition과 delegation에서는 조작을 제한할 수 있다.
    2. 클래스는 결코 변경할 수 없지만, composition하고 있는 객체는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학생 클래스가 영원이 학생이 아니라 나중에 취직을 하여 직장인 클래스가 될수 있다.
    상속을 composition과 delegation으로 변경하는 요령은? 여기서 Shape를 상속한 Polyline과 Circle을 변경한다면 다음과 같다.
    1. Shape(부모)의 공통된 내용을 구현한 구현 클래스(ShapeImpl)를 만든다.
    2. Polyline과 Circle 클래스에서 ShapeImpl을 composition하고 부모와 공통되지 않는 method를 각각 위임 받는다.
    3. ShapeImpl 클래스의 method를 추출한 ShapeIF interface를 작성하고 Polyline과 Circle에서는 implements 한다.

    4 package와 access 제어에 관한 이해 #

    4.1 package #

    4.1.1 "package는 '계층구조' 인가?" #

    처음 Java를 접하면서 package에 대해 이해할때 마치 파일시스템과 같은 계층구조라고 이해하게 되어 ' import /test/*.class '는 왜 안되는지 의아해 했던 기억이 있다. 그리고 부모 directory에 있는 클래스에서 왜 자식 directory에 있는 Class를 import없이 사용할 수 없는지도 이상했다.
    즉, package에서 동일 부모라도 서로 다른 package는 완전히 별개의 package였던 것이다. 이 부분에 관해서는 JLS 7.1 에서 다음과 같이 기술되어 있다고 한다.
    "package가 계층적인 이름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은 관련된 package를 일정 규약에 따라 체계화하기 위해서이고, package 안에서 선언되어 있는 top-level형과 동일한 이름을 가진 서브 package를 갖는 것이 금지되어 있는 점을 제외하면 특별한 의미는 없다."
    즉, Java에서는 package이름을 계층적으로 명명할 수 있을뿐 package구조 자체에는 어떤 계층적인 의미 부여도 할 수 없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Java에서는 package이릉을 계층적으로 명명할 수 있을 뿐 구조자체는 평평한 것이다. 실제로 바이트 코드의 내용을 보면 깨어진 내용중에 java/lang/String과 같이 완전한 한정이름을 class이름으로 사용됨을 알 수 있다.

    4.1.2 "compiler 가 인식하는 class검색 순서(소스코드내 클래스가 발견될 경우 그 클래스의 위치를 찾는 순서)" #

    1. 그 class자신
    2. 단일형식으로 임포트된 class
    3. 동일한 패키지에 존재하는 다른 class
    4. 온디멘드 형식(..* 형태) 임포트 선언된 class

    4.2 access 제어 #

    public은 다른 package에서 참조 가능하고, 무지정할 경우 동일한 package내에서만 참조 가능하다.

    4.2.1 "interfacde member의 access 제어" #

    interface의 member field/method는 모두 public이다. interface member에 protected나 private을 지정할 수는 없다. 또한 public을 지정할 필요도 없다. 지정해도 상관없지만 JLS 9.4에서는 다음과 같이 명시되어 있다.
    "interface의 method에 대하여 public 수식자를 지정하는 것이 허용되고 있지만, style로서는 전혀 권장할 수 없다."
    즉, interface member는 모두 public이라 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James Gosling도 집필에 참가한 '프로그래밍 언어 Java 3판'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술되어 있다고 한다.
    "public이 아닌 member를 interface에게 갖게 하는 것은 아무런 의미가 없다. interface의 member에 대한 access제어에 interface 자신의 access 제한을 적용하는 것이므로 이것은 아무런 의미가 없다."

    4.2.2 그렇다면 interface를 다른 package에 대하여 숨기고 싶으면 어떻게 하는가? #

    그것은 interface 자체 선언에 public이 아닌 것을 적용하면 되는 것이다. member별로 제어할 수 없어 불편한 면도 있지만, 나름대로 그럴 듯한 규칙이다. 하지만 이것은 정말 이상한 논리가 아닐수 없다. public이 아닌 interface에 public method가 무슨 의미가 있는지 알 수 없기 때문이다. 이 interface를 구현한 클래스에서도 method는 모두 public이 되어야 하는데, 이것도 아무래도 이상하다.

    5 기타 Java 기능 #

    5.1 Thread #

    5.1.1 "Multi Thread에서는 흐름은 복수이지만 data는 공유될 수 있다." #

    Multi processing에서는 흐름은 복수이지만 data는 독립되어 있다. 하지만 Multi Thread에서는 Heap과 static영역에 관한 한 2개 이상의 Thread 사이에 공유가 이루어 진다. 따라서 2개 이상의 Thread에서는 동일한 static field를 참조할 수 있고, 동일한 객체에 접근할 수도 있다. 그러나 stack만은 Thread별로 독립되어 있다. stack은 method에 들어가는 시점에 확보되고 빠져 나오는 시점에 확보되고 빠져 나오는 시점에 Free 되므로 2개 이상의 Thread에서 공유할 수는 없는 것이다.

    5.1.2 "Thread는 객체와 직교하는 개념이다." #

    Multi Thread는 어디까지나 Thread라는 처리 흐름이 여러 개 존재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 요약하면 다음 3가지 이다.
    1. Multi Thread에서는 Thread라는 처리 흐름이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2. 어떤 Thread에서 움직이기 시작한 method가 다른 method를 호출 했을때 호출된 측의 method는 호출한 측의 method와 동일한 Thread에서 동작한다.
    3. Thread의 경계와 객체의 경계는 전혀 관계가 없다. 즉, Thread와 객체는 직교하고 있다.

    5.1.3 "Synchronized 의 이해" #

    Multi Thread 기반의 programming시에 synchronized를 놓쳐 자주는 일어나지 않으나 뭔가 잘못되어 가는것을 경험한 적이 있다. 즉, 이것이 원인이 되어 버그가 발생한 경우 그 버그는 재현성이 지극히 낮아지기 때문에 꽤 고생을 하게 된다. 이런 사태가 발생하게 되면 버그의 원인을 찾기가 어렵게 되고 해당 application은 언제 발생할지도 모르는 오류가 있는 상태 그대로 운영되기 때문에 심각성이 내포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사태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critical section을 2개 이상의 Thread가 동시에 실행되지 않도록 '배타 제어'를 해야한다. 그 키워드가 바로 synchronized이다.
    synchronized에는 synchronized(obj){} 형태와 method에 synchronized 를 붙이는 두가지 방법이 있는데, 이 둘은 범위만 같다면 같은 의미이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아래의 소스에서 method1()과 method2()는 동일하다.
            synchronized void method1(){
    ...
    }
    void method2(){
    synchronized(this){
    ...
    }
    }
    이렇게 동일한 의미를 두가지로 만든것은 method단위로 synchronized를 걸 일이 그만큼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많이들 오해하고 있는 부분이 위의 소스에서 알수 있듯이 method에 synchronized를 사용한다는 것은 '그 객체에 해한 조작은 동시에 하나의 Thread라는 것이지 method 호출이 하나의 Thread가 아닌것이다'
    그렇다면, Thread A가 obj의 Lock을 설정하고 있는 상태에서 다시 한번 Thread A 자신이 obj의 Lock을 설정하면 어떻게 될까? 이 경우 Thread A는 이미 이 obj에 대하여 Lock을 보유하고 있으므로 기다리지는 않아도 된다. 위의 소스에서 method1에서 method2를 호출한다면?
    method1에서 이미 obj의 Lock을 보유 했으므로 method2의 synchronized(this) 부분에서는 Lock을 기다리지 않아도 된다.
    즉, Lock의 기준이 특정Thread에 있어서 Lock의 기준이 method가 아닌 object인 것이다. 이 규칙 덕분에 synchronized method도 재귀호출이 가능해지고, synchronized method가 동일한 instance의 synchronized method를 호출할 수 있는 것이다.
    주의할 점은 static method에 synchronized가 있다면 static은 this참조가 없다고 위에서 설명하였으므로, 이 클래스의 Class 객체를 Lock하게 된다. 기준이 xx.Class가 되는 것이다.

    5.1.4 "Thread 사용법의 정석은?" #

    Thread 사용법에는 다음 두가지의 정석이 있다.
    1. Runnable을 implements하고 Thread의 참조를 보유(composition) 하는 방법. 이경우는 단지 Runnable만 implement함으로서 해결되는 경우가 대부분이긴 하지만, 그 class 내에서 해당 class의 Thread를 조작하게 된다면 composition한 Thread 객체에 delegation하면 된기 때문이다.
    2. Thread class를 상속하는 방법. JDK의 소스를 보면 Thread class에는 Runnable을 implements 하고 있다. 그리고 run method는 native method이다. 따라서 Thread를 상속한 모든 클래스는 사실 Runnable을 implements하고 있는 것이다. run method는 abstract가 아니므로 구현되어 있고 우리는 이를 오버라이드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 방식을 사용하면 Thread의 method를 안팍으로 자유롭게 호출할 수 이지만, 이미 다른 class를 상속하고 있다면 이 방식을 사용할 수는 없다.
    JDK API Reference의 Runnable에 과한 설명중에 다음과 같은 내용이 있다.
    "Thread class의 method중 run method만을 오버라이드하여 사용하는 경우는 Runnable interface만 implements하여 사용하면 된다. 왜냐하면, class의 기본적인 동작을 수정 또는 확장하지 않는한 그 class를 sub class화 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위에서 언제나 1)번 방식을 사용하면 되는 것 아닌가 라는 의문이 생기게 된다. 왜 귀찮게 2)의 방법을 고민하는 것인가, 극단적이긴 하지만 만일에 사태에 이 클래스가 다른 클래스를 상속받게 되는 경우도 있을수 있는데.
    하지만 이것은 아닐것이다. 만약 이렇다면 Thread class가 Runnable을 implements할 필요가 없었을 것이기 때문이다. 또한 Thread는 생성자의 인수로 Runnable의 reference를 취득한 후 계속해서 그것을 보유한다는 것도 이상하다. Thread에 있어 Runnable이 필요한 것은 start() 때 뿐이므로 start()의 인수로 Runnable을 건네줘도 좋을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굳이 Thread에서 계속적으로 Runnable을 보유하고 있는 것은 Runnable객체와 Thread를 강하게 결합시키려는 의도 때문이다. 이것은 의도적으로 위의 2)의 방법을 권장하는 듯한 느낌을 받게 하는듯 하다.
    그렇다면 API Reference의 말은 단지 상속을 피하라는 의미만 있는 것인가? 마지막으로 한가지 추정이 되는 부분은 Thread에는 suspend()나 stop()등과 같은 method가 현재 모두 deprecate되었다. 또한 sleep()이나 yield()는 모두 static method이므로 굳이 Thread 객체를 보유할 필요가 없다.
    그렇다면 위의 1)의 방법에서 Thread객체를 composition할 필요가 없어진다.
    "그렇다면 Thread를 아무도 보유하지 않고 Runnable만 implements한 방식이 최선인가?"
    무엇이 정답인지 도무지 알길이 없다. ^^;

    5.2 Exception #

    5.2.1 "finally 절은 반드시 어떠한 경우에도 실행되는가?" #

    try ~ catch 문의 finally 절은 'loop라면 break, method라면 return 절'을 만나도 뒤에 있는 finally절은 수행된다. 하지만 다음의 경우는 그렇지 않다.
            try{
    ...
    System.exit(1);
    }catch(...){
    }finally{
    ... //이 부분은 실행되지 않는다.
    }

    5.2.2 "예외의 종류 3가지 (Error, RuntimeException, 그밖의 Exception)" #

    5.2.2.1 Error #
    이에 관해선 JLS 11.2.1에 다음과 같이 기술되어 있다. "체크되지 않는 예외 클래스(Error와 그 Sub class)는 프로그램안의 다양한 위치에서 발생할 가능성이 있으며, 회복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컴파일시 체크되지 않는 것이다. 이러한 예외를 프로그램에서 선언한다고 해도 난잡하고 무의미한 것이 될 뿐이다."
    Java의 클래스 librury에서 Error의 sub class를 살펴봐도 AWTError, LinkageError, ThreadDeath, VirtualMachineError 등 'catch해도 소용 없을 것' 들 뿐이다. (OutOfMemoryError는 VirtualMachineError 아래에 위치한다.)
    5.2.2.2 RuntimeException #
    위의 Error 이외의 Exception들은 application에서 catch할 가능성이 있는 예외들이다.(버그가 없으면 발생하지 않는 예외들) 그리고 RuntimeException은 '어디서든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예외'이다. RuntimeException의 sub class로는 NullPointerException, ArrayIndexOutOfBoundException, ClassCastException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예외는 버그가 없는 한 발생하지 않으므로 일일이 throws 를 작성하지 않아도 된다.'
    프로그램에 버그가 없는 한 발생할 수 없는 예외가 발생한 경우 C 언어와 같이 영역 파괴가 일어나기 쉬운 언어라면 프로그램 전체를 종료시키는 것이 정답이겠지만, Java와 같이 영역파괴가 일어나지 않도록 실행시 체크(JVM Classloader의 formal verification process)를 하고 동적으로 프로그램을 load하는 언어에서는 국소적인 NullPointerException 때문에 프로그램 전체를 중지시켜서는 안 될 것이다.
    따라서, RuntimeException은 catch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볼 수 있다. 버그가 있는 프로그램은 신속히 종료시키는 것이 대부분의 경우 최선의 방책이라 생각하기 때문이다.
    5.2.2.3 그밖의 Exception #
    위의 RuntimeException이외의 Exception의 sub class는 사용자의 잘못된 조작 등으로 인해 프로그램에 버그가 없어도 발생할 가능성이 있고 그에 대하여 프로그램이 확실히 대응해야 하는 경우에 사용된다. 예를 들면 FileNotFoundException등이다.
    그런데 개발하다 보면 이상하고 의아한 것이 하나 있다. 숫자 부분에 문자를 넣었을때 발생하는 NumberFormatException이다. 이것은 이상하게도 RuntimeException의 sub class이다. 이것은 RuntimeException이 아니었으면 하는데 NumberFormat체크는 Runtime시에만 가능한 모양이다.

    5.2.3 "OutOfMemoryError는 어떻게 처리해야 하는가?" #

    예전에 Swing에서 Tree구조를 이용하는 프로젝트를 한적이 있다. 이때 Tree에 branch와 node가 무수히 생기자 JVM은 OutOfMemoryError를 내뱉었다. 이에 급한 마음에 OutOfMemoryError를 catch하여 사용자에게 재시작을 요청하는 Dialog를 띄우도록 수정하였다면 이 Dialog가 과연 떳을까? 현재 메모리가 부족한 판에 Dialog를 띄울 메모리가 남아있질 않았던 것이다. 다행히 Dialog가 떴어도 작업은 계속되지 못했을 것이다. NullPointerException가 나기 때문이다.
    원인은 나중에 찾았는데, Tree구조에서 부모부터 자식들을 붙이는 순으로 Tree를 구성하는데 자식들을 줄줄이 붙여나가다가 메모리 부족현상이 발생하였고 NullPointerException은 자식이 없으니 클릭하는 순간 null을 반환하여 발생하였던 것이다.
    OutOfMemoryError의 가장 좋은 해결책은 불필요한 객체를 만들지 않는 것이었다. 그리고 Tree생성시에도 자식부터 만들고 부모를 만드는 순서로 프로그램을 수정하여 프로젝트를 정상적으로 마칠수 있었다.
    마지막에 드는 심정은 프로그램이 OutOfMemoryError를 일으키는 원인이 과연 이렇게 구성되어 발생했는지 어떻게 알수 있을까 하는 의문이다.

    5.3 Object Serialize #

    Java에서는 ObjectOutputStream의 writeObject() method에 데이타 구조 저장소의 참조만 건네주기만 하면 그 안에 있는 모든 객체를 1차원 stream으로 출력해 준다. (파일이나 ByteArrayOutputStream을 이용한 메모리로) 단, static field는 Serialize되지 않는데 이는 Serialize의 대상이 instance 객체뿐이기 때문이다.

    5.3.1 "Serialize를 위해서는 marker interface인 java.io.Serializable interface를 implements해야한다." #

    여기서 marker interface는 java.lang.Cloneable과 같이 method와 field의 정의는 없지만 객체 Type을 위한 interface이다. 예전에 Serialize를 이용하여 데이타를 유지하는 프로젝트를 한 적이 있는데 그때 생각했던것이 '모든 class들이 기본적으로 Serializable을 implements하고 있으면 편할텐데..'라는 생각이었다. 하지만 이것은 상당히 위험한 발상이었다.
    Serializable이 기본으로 implements되어 잇으면 엉뚱한 객체까지 Serialize되고 그것을 알아채지도 못하는 사태가 일어날 가능성이 높다. Serializable이 optional인 이유는 이러한 이유 때문이리라..

    5.3.2 "super class는 Serializable이 아닌데 sub class만 Serializable인 경우의 문제점" #

    Serialize을 이용하여 프로젝트를 할때 한번쯤 실수할 수 있는 부분이 상속된 class의 Serialize이다. 컴파일 에러도 없고 Deserialize도 잘 되었다. 하지만 키가 되는 값이 null과 0이었다. 영문을 몰라 다른곳을 헤매여도 보다가 결국 찾은 원인은 부모의 field는 Serialize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transient와 마찬가지로 형식별 default 값으로 채워졌었다. 이는 컴파일과 실행시 아무런 오류없이 실행되어 나를 힘들게 하였기에 Java가 원망스러웠던 기분좋은 추억이다. ^^;

    5.3.3 "transient field의 복원(?)관련" #

    Serialize를 이용한 프로젝트를 할때는 writeObject와 readObject를 이용하여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Serialize를 customizing할수있다.
    Serializable에 대한 API reference에도 다음과 같이 나와있다.
    "Serialize와 Deserialize에 대한 특별한 handling을 위해서는 다음 두개의 특별한 메소드를 구현하면 된다."
    private void writeObject(java.io.ObjectOutputStream out) throws IOException;
    private void readObject(java.io.ObjectInputStream in) throws IOException, ClassNotFoundException;
    이 두 method가 private으로 되어 있는 것을 보고 처음에는 의아해 했었던 기억이 있다. 이를 protected나 public으로 하면 제대로 동작하지 않는다. 이는 override가 이니기 때문이다. 사실은 속에서 reflectiond을 이용하여 강제적으로 호출되고 있는것이다. reflection에서는 private method까지 찾을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private으로 한 가장 큰 이유는 Serialize를 객체자신이 직접 해야 안전하다는 의미도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든다. 다시 본론으로 들어가서 transient를 복원하는 것에 얘기를 하자면, 사실 transient는 Serialize대상에서 제외되는 것인데 복원을 할 수 있다는 말이 안된다. 하지만 프로젝트를 진행하다 보면 logic상 가능한 경우가 많이 있다.
    즉, 모든 field를 Serialize하지 않고 필요한 것만 하고 특정 field는 Serialize한 field들을 이용하여 복원하는 방법이다. 또한 Serialize당시의 객체 상태와 Deserialize시의 객체상태가 서로 다를 수 있는 field도 그것에 해당된다. cafeid만으로 나머지 field는 DB에서 읽어오게 한다면 나머지 field는 transient로 처리하고 Deserialize시 readObject()에서 복원하는 것이다.

    5.3.4 "Stack Overflow에 주의하라!" #

    Serialize를 하다보면 참조로 연결된 객체를 recursive하게 거슬러 올라가며 이것이 너무 깊어지면 Stack Overflow가 발생한다. 가령 linked list같은 경우이다. 이것을 Serialize하면 그 요소수만큼 recursive 호출이 발생한다. 과거(JDK1.3.0시절) 프로젝트 당시 JVM이 5111에서 Stack Overflow가 발생했던 기억이 있다.
    물론 실행시 java option에 -Xss 를 이용하여 statck 크키를 조절할 수 있지만 이것은 개발자가 아닌 실행하는 사람들에게 부담이었다. JDK의 LinkedList class의 소스를 보면 writeObject()와 readObject()를 다음과 같이 변경하고 있다.
            private synchronized void writeObject(java.io.ObjectOutputStream s) throws IOException {
    s.defaultWrtieObject(); //이 코드는 무조건 들어가게 되는데 이곳 소스의 System.arraycopy()에서 overflow발생한다.
    s.writeInt(size); //이부분이 실제 추가되어 Stack Overflow를 예방한다.
    for(Entry e = ...)
    s.writeObject(e.element);
    }
    ...
    }
    //readObject()도 이와 같은 개념으로 변경되어 있다.

    5.4 "nested class / inner class / 중첩클래스" #

    5.4.1 "중첩클래스의 개념" #

    개인적으로 중첩클래스를 어떠한 경우는 사용하지 않으려 한다. 사용하기가 만만치 않고 코드 읽기가 힘들어 지기때문이다. 하지만 '어떤 클래스 내에서 은폐할 목적으로 사용하는 클래스가 있다면 이것을 사용해야 한다' 실제로 Java의 AWT 클래스 Event Handler를 비롯하여 많은 클래스에서 중첩클래스를 사용하고 있다. 또한 내부 class는 그것을 둘러싸는 class의 instance(enclosing object라고 하는)의 field를 참조 할수 있는것도 장점이다. 하지만 이는 내부클래스가 아닐경우 부부 클래스를 new해서 사용하는것과 별반 다를께 없지 않은가.

    5.4.2 "내부클래스는 부모의 참조를 몰래 보유하고 있다." #

    내부 클래스의 instance는 부모의 instance에 대한 참조를 몰래 보유하고 있기 대문에 위에서 얘기한 부모의 field를 참조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static method에서는 내부클래스를 생성할 수 없다. 다음 예를 보면 바로 알수 있다.
            class Test{
    class InnerClass {
    int i;
    ...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InnerClass icls = new InnerClass();
    ...
    }
    }
    이 소스를 compile하면 다음의 오류가 발생한다. "non-static variable this cannot be referenced from a static context..." main method는 static이므로 this를 참조할수 없다는 것이다. 이는 InnerClass가 new 되면서 외부 클래스 Test의 this를 보유해야 하는데 여기서 static을 만나니 오류를 표출시킨것이다. 물론 일반 instance method에서는 오류가 나지 않는다.

    5.4.3 "local inner class에 대하여" #

    local inner class라 함은 method내에서 선언된 inner class이다.
            public class OuterClass {
    public int get(){
    int i = 9;
    int id = 99;
    int id2 = 99;
    final int id3 = 100000;
    class LocalInnerClass {
    int id = 100;
    LocalInnerClass(){
    System.out.println("LocalInnerClass");
    }
    int getId(){
    return id3 + id;
    }
    }
    LocalInnerClass lic = new LocalInnerClass();
    return id + lic.getId();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OuterClass outer = new OuterClass();
    System.out.println("id = " + outer.get());
    //결과 값은 "100000(id3) + 100(LocalInnerClass.id) + 99(OuterClass.get())" 인 100199가 나온다.
    }
    }
    위 소스의 LocalInnerClass는 get() 이라는 method에서만 보이는 class이다. 그리고 특이할 만한 부분이 OuterClass의 get() method에서 final로 선언된 id3이 LocalInnerClass에서 참조 가능해 진다. id2를 참조하면 compile error가 나지만 final로 선언된 것은 오류가 나지 않는다.
    이는 local variable은 method에서 나오는 순간 사라지는데, local inner class는 local variable보다 수명이 조금더 길기 때문에 final만 허용한 것이다.

    5.4.4 "anonymous class(무명클래스)에 대하여" #

    무명 클래스는 말그대로 이름이 없는 클래스이다.
            class AnonymousTest {
    private interface Printable {
    void print();
    }
    static void doPrint(Printable p){
    p.print();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doPrint( new Printable(){
    public void print(){
    System.out.println("this is new Printable print()");
    }
    });
    }
    }
    위 소스의 "doPrint( new Printable(){" 부분이 무명클래스 이다. compile을 수행하면 AnonymousTest$Printable.class, AnonymousTest$1.class, AnonymousTest.class 세개의 클래스가 생긴다. 여기서 AnonymousTest$Printable.class는 Printable interface이고 AnonymousTest$1.class이 무명클래스이다.
    이 소스를 보면 처음에 드는 의심이 Printable interface를 new 했다는 것이다. 여기서 굳이super class(이 소스에서는 interface)를 저정해야 하는 이유는 아무것도 상속하지 않는 무명 클래스의 instance를 만들어 봐야 의미가 없기 때문에 이렇게 한듯하다.
    "무명클래스는 어떤 class나 interface를 상속/구현 해야만 그 instance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처럼 무명 클래스를 사용하면 어떤 절차(수행)를 다른 method의 인수로 건네줄 수 있게 된다. 하지만 간단한 로직만 구현처리해야 한다.
    "무명클래스는 조금만 복잡해져도 급격히 소스의 가독성이 떨어지게 되므로 남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6 이래도 Java가 간단한가? #

    6.1 method overload 에서의 혼란? #

    6.1.1 "overload란 이름이 가고 인수가 다른 method에 compiler가 다른 이름을 붙이는 기능" #

    overload를 구현하면 bytecode로 변환시 다른 이름으로 method가 변환되어 별개의 method로 처리된다. 이를 JVM에서 method descripter라 하여 Oolong asembler로 변화시 다른 형태의 method가 된다. 예를 들어 "void get(double d, long l)" 은 "get(DJ)V"로 변경된다. 여기서 D는 double, J는 long, V는 void를 의미한다.
    그런데 여기서 "get(DJ)" 부분만 method 이름이므로 return type이 다른 동일 method는 overload 할 수 없다. 따라서 overload는 정적(compile시 결정)이라는 명제가 성립니다. 그래서 동적으로 사용되면 compile시 오류를 표출한다. 아래의 소스를 보자. 여기에는 IFS라는 interface와 이를 implements한 Impl1, Impl2 라는 class가 있다.
            //IFS.java
    interface IFS {
    public String getName();
    }
    //Impl1.java
    class Impl1 implements IFS {
    public String getName(){
    return "Impl1";
    }
    }
    //Impl2.java
    class Impl2 implements IFS {
    public String getName(){
    return "Impl2";
    }
    }
    //main이 있는 OverloadTest.java
    public class OverloadTest {
    static void pr(int i){
    System.out.println("pr_int : " + i);
    }
    static void pr(String s){
    System.out.println("pr_string : " + s);
    }
    static void pr(IFS ifs){
    System.out.println("pr_string : " + ifs.getName());
    }
    static void pr_run(Impl1 i1){
    System.out.println("pr_run : " + i1.getName());
    }
    static void pr_run(Impl2 i2){
    System.out.println("pr_run : " + i2.getName());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OverloadTest test = new OverloadTest();
    test.pr(10);
    test.pr("Jeid");
    IFS ifs1 = new Impl1();
    test.pr(ifs1);
    IFS ifs2 = new Impl2();
    test.pr(ifs2);
    //pr_run(ifs1);
    //pr_run(ifs2);
    }
    }
    위의 소스를 수행하면 정상적으로 compile이 될것인가?
    당연히 잘 된다. pr()은 overload를 잘 구현했다. 하지만 소스 하단의 두 주석문을 풀면 어떻게 될까? 이는 compile오류를 낸다.
            OverloadTest.java:36: cannot resolve symbol
    symbol : method pr_run (IFS)
    location: class OverloadTest
    pr_run(ifs1);
    ^
    OverloadTest.java:37: cannot resolve symbol
    symbol : method pr_run (IFS)
    location: class OverloadTest
    pr_run(ifs2);
    ^
    2 errors
    실제 위 둘의 pr_run method는 bytecode로 변환시 "pr_run(Lpackage_name.IFS)V"로 동일하게 생성된다. 따라서 compile시에 오류를 표출한다. 이 소스를 보면 알 수 있듯이 "method overload는 정적(compile시)으로 미리 결정되며, 동적(실행시판단)으로 사용할수 없다."

    6.1.2 "그렇다면 overload에서 실제로 혼동되는 부분은 무엇인가?" #

    다음 소스를 보고 실제로 수행되는 method를 찾아보라.
            class OverloadTest2 {
    static int base(double a, double b){ ... } //method A
    static int count(int a, int b){ ... } //method B
    static int count(double a, double b){ ... } //method C
    static int sum(int a, double b){ ... } //method D
    static int sum(double a, int b){ ... } //method E
    }
    • base(3,4) 를 호출했을때 수행되는 method는? => 당연히 method A (3과 4는 정수라도 double이 되므로 정상적으로 수행됨)
    • count(3,4) 를 호출했을때 수행되는 method는? => B와 C중 갈등이 생긴다. 이럴경우 JVM은 가장 한정적(more specific)한 method를 찾는다. 여기서 3과 4는 정수형에 가까우므로 method B 가 호출된다.
    • count(3, 4.0) 을 호출했을때 수행되는 method는? => 이것은 4.0 이 double이므로 method C 가 더 한정적이므로 method C 가 호출된다.
    • sum(3,4.0) 을 호출했을때 수행되는 method는? => 이것은 당연히 type이 일치하는 method D.
    • sum(3,4) 를 호출했을때 수행되는 method는?? => 이런 코드가 소스내에 있으면 다음과 같은 compile 오류를 표출한다.
                 OverloadTest.java:48: reference to sum is ambiguous, both method sum(int,double)
    in OverloadTest and method sum(double,int) in OverloadTest match
    System.out.println("sum(3,4) = " + sum(3,4));
    ^
    1 error
    method D와 method E가 애매하다는 compile 오류이다. 이것은 둘중 어느것이 더 한정적인지 찾을 수 없으므로 bytecode 를 생성 할 수 없다는 것이다.
    "이렇듯 compiler에게 불필요한 오해(혼동)를 초래하는 overload는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개인적으로 overload를 가능한 사용하지 않으려 하고 필요하다면 인수의 개수가 다른 overload를 사용하는 편이다."

    6.1.3 (참고) 또다른 혼동, overload한 method를 override 하면? #

    overload란 compiler가 bytecode변환시 다른 이름을 붙이는 기능이라는 것을 위에서 설명했다. 따라서 super class에서 overload한 method를 상속하여 override하면 완전 별개의 method를 override한것처럼 JVM은 판단한다. 즉, overload와 override는 직교(전혀상관없는)하는 개념이다.

    6.2 상속/override/은폐 에서의 복잡함 #

    6.2.1 "Java class의 member 4 종류" #

    1. instance field
    2. instance method
    3. static field
    4. static method
    여기서 상속을 하였을 경우 runtime시 객체의 형식에 따라 선택되는 것은? 2번 instance method 뿐이다. 즉, 동명의 member를 sub class에서 선언했을 때 instance method만 override 되고 나머지는 완전 별개의 member가 된다. 따라서 위의 1,3,4는 sub class에서 동일하게 선언했을 경우 별개의 것으로 인식되며 compile시에 무엇을 access 할지 결정된다.
    즉, instance method는 override되지만 instance field/static field는 은폐된다. override는 실행시 객체의 형식에 따라 처리 할당되지만, 은폐의 경우는 compile시에 결정되고 만다.

    6.2.2 "override시 method 이름에 대한 함정" #

    과거에 코딩을 하던중 정말이지 어처구니 없는 경우를 당했다. override 하는 method이름을 잘못써서 황당한(?) 고생을 한적이 있다. super class의 writable()이라는 method를 writeable()이라고 override(?)하였는데 프로그램 수행 중에 writable()이 항상 false가 나오는 것이 아닌가? 그래서 소스를 추적추적 하다 몇시간을 허비했었던 기억이 있다.
    java를 접한지 얼마되지 않았고 요즘같이 eclipse같은 에디터도 없이 메모장에서 코딩하던 시절이라 더욱 고생했던것 같다. 한참 후에야 우연히 스펠링이 잘못된걸 알고 얼마나 황당했던지... 지금 생각하면 이것도 좋은 추억이리라.
    무조건 override 잘 되었을거라 생각 했던 나의 불찰도 있었지만 compile때나 runtime시 아무런 반응을 보이지 않던 Java도 원망스러웠다. 2003년도에 C#으로 프로젝트를 했는데 C#은 상속의 override에 대하여 "override void writalbe().."과 같이 정의시 override를 명시해야 된다는 것을 보고 상당히 마음에 들어 했던 기억이 있다. 가독성도 뛰어날 뿐더러 나의 몇시간동안의 헤메임도 없을 것이기 때문다. Java도 이렇게 확실한 명세였으면 정말 좋겠다.

    6.2.3 "또다른 나의(?) 실수 - 말도 안되는 오타" #

    위의 method이름을 잘못써서 고생하기 이전에 아주 비슷한 고생을 한적이 있다.
    '난 정말 바보인가'라는 생각을 들게 했던 문제였다. 초보 시절에는 왜이리도 오타가 많이 나던지... 요즘은 대충 키보드 두드려도 오타가 잘 안나는데 그 시절에 오타 때문에 느린 CPU에서 컴파일을 몇번을 했는지... 기억을 되살리면 소스는 다음과 같다.
            public class Member {
    private int memberNo;
    public int getMemberNo(){
    return this.memberNo;
    }
    public void setMemberNo(int menberNo){
    this.memberNo = memberNo;
    }
    ......
    }
    위 소스의 Member에는 다른 여러가지 member field가 있는데 DB의 member table에 memberid 컬럼이 memberno로 변경되면서 Member class의 memberId를 memberNo로 변경하게 되었다. 위와 같이 수정하여 배포해놓고 테스트를 하는데 시스템이 완전히 뒤죽박죽으로 돌아버리는 것이 아닌가. 이 경우도 method 이름처럼 몇시간을 헤매었다.
    이번에 argument의 오타로 인한 어처구니 없는 실수였다. setMemberNo(int menberNo)에서 문제가 발생되었던 것이다. 인수의 memberNo를 menberNo로 잘못친것이다. 그래서 memberNo에는 해당 member의 memberno가 아닌 0이 모두 들어갔어던 것이다. 시스템은 memberno를 기준으로 도는 부분이 너무나 많았기에 오류나는 부분도 많았으며 DB에서는 제대로 된 memberno을 읽어 왔으며, compile과 runtime시 아무런 반응도 없었기에, 초보자를 그렇게도 고생시켰나 보다.
    이것도 member field면 무조건 this를 붙이도록 하던지 Java가 인수는 'm_'와 prefix를 붙이도록 Coding Style을 정의- SUN사이트의 Java Coding 규약에는 "Variable names should not start width underscore_ or dollar sign $ characters, even though both are allowed." 와 같이 명시되어 있다 - 했더라면 발생하지 않았을 문제이다.
    또한 C언어나 C#에서 처럼 compile 경고레벨을 높여놓으면 "menberNo는 어디서도 사용하지 않습니다."와 같은 메세지를 보여 줬더라면 고생을 덜 하지 않았을까?

    6.2.4 "static member를 instance를 경유하여 참조해서는 안 된다." #

    예를 들어 ClassA 에 public static int AA 라는 static field가 있을 경우 ClassA.AA 로 접근해야 하는데, 다음과 같이 사용하는 실수를 범한다.(물론 오류는 없지만)
            ClassA a = new ClassA(); 
    int i = a.AA; //instance를 경유하여 접근
    int j = ClassA.AA; //올바르게 접근
    그럼 왜 굳이 ClassA.AA와 같이 instance가 아닌 class이름을 붙여야 할까?
    static member(static field/static method)는 compile시에 이미 어느것을 호출할 지 결정하기 때문에 위의 a.AA와 같은 것은 static이 아닌것 같은 오해와 혼란만 가져오기 때문이다. 심지어 개인적으로는 동일 class 내 - 위 소스에서 ClassA의 member method - 에서 ClassA.AA라고 사용하는 편이다.
    이는 local variable과 혼동될 염려도 없을뿐더러 AA라는 변수가 static이라는 것도 확실히 알 수 있기 때문이다. 물론 private static 의 경우는 ClassA.BB 와 같이 하지 않고 BB 라고 해도 무방하겠지만 말이다.

    6.2.5 "super keyword는 부모의 this" #

    Java 개발자 대부분은 'super' 에 대하여 그렇게 민감하지 않을 것이다. 그거 super() 나 super.method1() 과 같이 사용되지 그 이상에 대해선 깊이 생각하지 않게 된다. super를 한마디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super keyword는 instance method등에서 this를 사용할 수 있는 곳에서만 쓸 수 있다. this의 자리에 super라고 쓰면 현재 class의 member가 참조되는 대신 부모 class의 member가 참조되는 것이다."

    6.3 상속에 관한 또 다른 문제 #

    6.4 그밖의 함정 #

    6.4.1 "생성자에 void 를 붙인다면?" #

    생성자에 void를 붙인다면 그 class가 new 될때 그 생성자(?)가 실행될까?? 아래의 'Constuctor'라는 문자열은 출력될까?
            public class ConstructorTest{
    void ConstructorTest(){
    System.out.println("Constuctor");
    }
    .....
    }
    출력되지 않는다. 물론 compile시 아무런 경고도 없었다. 즉, void가 붙은 ConstructorTest()는 생성자가 아니라 instance method일 뿐이었고 new시에는 default constructor가 실행 되었던 것이다.

    6.4.2 "if / switch 의 함정" #

    Java 개발자라면 대부분이 초보시절에 if 조건절에 '==' 대신 '='을 써본 기억이 있을것이다. 예를 들어 "if( isListenLecture == Student.STUDENT )" 를 "if( isListenLecture = Student.STUDENT )" 로 잘못 쓴 경우이다. 여기서 Student.STUDENT는 boolean type이다. 여기서 isListenLecture는 항상 Student.STUDENT 값을 갖게 되는 버그가 생긴다. 이는 compile시에 아무런 경고도 없다. 이렇게 한번 당하고 나면 앞으로는 '=='를 정확히 쓰게 되거나 아니면 다음과 같이 쓴다.
    "if( isListenLecture )" 또는 "if( !isListenLecture )" 라고 말이다. 이것이 더욱 간결하고 의미도 분명해 지기 때문이다. 또한 다음 소스와 같은 오류도 범하는 경우가 있다. 이는 잘못된 indentation으로 빚어지는 초보의 함정이다.
    이글을 읽는 분께 한가지 당부드리고 싶은것은 여기서 초보라고 다 그런건 아니라는 것이다.
            ....
    if( a < 5 )
    b = 3;
    c = 10; //이부분은 나중에 추가된 라인이다.
    if( isStudent )
    if( isFemale )
    sayHello("Hi~~");
    else
    sayHello("Hello Professor~");
    위의 소스중 c = 10; 이 if( a < 5 )의 참일때 수행된다고 오해할 수도 있고, sayHello("Hello Professor~"); 부분이 if( isStudent )의 else 부분이라고 오해 할 수도 있다. 이것은 전적으로 indentation(들여쓰기)의 불찰로 개발자가 잘못 읽을 수 있는 부분이다. Java Coding Style에서는 if문 다음에 한줄의 코드가 있더라도 {} 를 사용하길 권고한다. 그러면 첫번째 if문과 같은 오류를 방지할 수 있고 두번째 if문에서도 보다 가독성이 생길 것이다.
    이와 유사한 것으로 switch문의 case 절에서 break를 쓰지 않아 항상 동일하게 처리되는 버그도 경험해 보았을 것이다.

    7 Java 기능 적용 몇가지 #

    7.1 대규모 개발에서 interface 분리하기 #

    7.1.1 "interface 분리의 필요성" #

    Java와 같은 객체지향언어에서는 공개해야 할 method만을 public으로 하고, 공개할 필요가 없는 것은 private으로 하여 class의 상세한 내용을 은폐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런데 private 부분이 은폐되어 있는것 처럼 보이는가?
    소스를 보면 훤히 들여다 보이는데?
    대규모 개발은 하부 class부터 bottom-up으로 진행하는 것이 이상적인 형태일 것이다. 그런 형태로 개발하면 임의의 시점에서 테스트를 할 수도 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단기간에 많은 수의 개발자가 붙어서 단시간에 개발을 진행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서로 호응하는 관계에 있는 class들은 어느쪽이 하부인지 정의하기가 난감할때가 많다. 이런경우 우리는 흔히 package단위로 나누어 개발한다. 하지만 이럴경우 어느정도 코딩이 종료될때까지 테스트하기가 상당히 힘들어 진다. Java에서는 private member와 method 구현까지 하나의 파일에 코딩하는데 개발 중간에 공개하여 다른 개발자가 이용해야 하는 class를 배포할 수 없으므로 동시 개발이 까칠해 진다.
    이 상황에서 다른 package(개발자)에 공개해야 하는 class 부분을 interface로 공개하면 많은 부분 유연하게 된다. 이 interface를 다른 개발자는 개발을 하고 테스트가 필요하다면 TestImpl class를 만들어 하면된다. RMI나 CORBA에서도 Stub은 이런식으로 IDL을 정의한다.

    7.2 Java에서의 열거형 #

    Java에서는 열거형-C의 구조체, 공용체-이 없다. 열거형이 왜 필요하냐고 반문하는 개발자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열거형이 없어 곤란을 경험한 개발자도 꽤 있으리라 본다. 최근언어(특히 객체지향 언어) - Java, Eiffel, Oberon등 - 에는 열거형은 포함되어 있지 않다. C#에는 있긴 하지만.
    이런 이유로 Java AWT의 Label class는 다음과 같이 구현되어 있다.(텍스트의 정렬값관련)
            public static final int LEFT = 0;
    public static final int CENTER = 1;
    public static final int RIGHT = 2;
    ...
    label.setAlignment(Label.CENTER);
    ...
    하지만 위의 소스에는 문제가 있다. setAlignment() method의 인자가 int인 것이다. 만약 위에 정의한 0, 1, 2가 아닌 다른 int 값이 들어가도 compile/runtime시 알수가 없다. 그래서 주석을 달게 되는데, 주석이라 함은 정말이지 최후의 수단이라고 봐야 한다.
    실제로 우리가 개발해 놓은 소스에도 이런부분이 있으리라 예상된다. 이 문제를 어떻게 하면 해결할 수 있을까? Java에서 열거형을 한번 만들어 보자.
            //LabelAlignment.java
    public class LabelAlignment {
    private LabelAlignment() {} //이는 생성자를 private으로 하여 다른데서는 만들지 못하도록 하기위함이다.
    public static final LabelAlignment LEFT = new LabelAlignment():
    public static final LabelAlignment CENTER = new LabelAlignment():
    public static final LabelAlignment RIGHT = new LabelAlignment():
    }
    //변형된 Label.java 의 일부..
    public synchronized void setAlignment(LabelAlignment alignment){
    if( alignment == LabelAlignment.LEFT ){
    ...//왼쪽으로 맞추기..
    }else if( ...
    ...
    }
    }
    ...
    위에서 작성한 소스는 잘 작동한다. 서로 다른 3개의 instance이므로 reference가 달라 '==' 연산도 가능하고, 훌륭하다.
    하지만 한가지 문제가 있다. LabelAlignment가 Serializable한 class에서 serialize되었다 deserialize 된다면?
    LabelAlignment alignment 는 새로운 instance가 되고 serialize전의 reference와 다른 참조 위치를 갖게 되어 '==' 연산은 버그를 발생시킨다. 그럼 이것만 해결하면 되겠는데, 어떻게 refactoring하면 될 것인가? '==' 연산 대신 equals로 변형하면 되겠는데.
            //LabelAlignment.java
    public class LabelAlignment {
    private int flag;
    private LabelAlignment(int flag){
    this.flag = flag;
    }
    public static final LabelAlignment LEFT = new LabelAlignment(0):
    public static final LabelAlignment CENTER = new LabelAlignment(1):
    public static final LabelAlignment RIGHT = new LabelAlignment(2):
    public boolean equals(Object obj){
    return ((LabelAlignment)obj).flag == this.flag;
    }
    }
    //변형된 Label.java 의 일부..
    public synchronized void setAlignment(LabelAlignment alignment){
    if( LabelAlignment.LEFT.equals(alignment) ){
    ...//왼쪽으로 맞추기..
    }else if( ...
    ...
    }
    }
    ...
    하하, Serialize까지 잘 작동한다. ^^;
    여기서 Debug를 고려한다면 0, 1, 2 대신 문자열로 "LEFT", "CENTER", "RIGHT"로 한다면 더욱 명확하지 않을까?
    (주의) 위에서처럼 LabelAlignment.LEFT 라고 쓰기 싫어서 상수 interface를 만들어 그걸 implements 하여 그냥 LEFT 라고 쓰는 것을 뿌듯해 하며 쓰는 개발자들이 있다. 물론 Swing의 소스들을 보다보면 SwingConstants라는 interface에 LEFT를 비롯하여 온갖 잡다한 상수를 집어넣어놓고 여기 저기서 implements해서 사용하고 있다. 이런 코딩 스타일은 '내 스타일이야~' 가 아니라 냄새나는 코드이다.
    LEFT라는 것이 구현한 class에 이미 있을 수 있을 수 있을뿐아니라 구현한 모든 클래스에서 LEFT를 보유하여 SwingConstants.LEFT뿐 아니라 Impl.LEFT로도 사용되게 되어 온갖 혼란을 초래하게 된다. 입력량을 줄이기 위해 interface를 implements 해서는 안되지 않을까?

    7.3 Debug write #

    C에서는 다음과 같이 pre-process로 정의하면 DEBUG라는 식별자를 #define하지 않으면 컴파일후 해당 소스의 부분이 삭제된다.
            #ifdef DEBUG
    fprintf(stderr, "error...%d\n", error);
    #endif /* DEBUG */
    그럼 Java에서는?
    Java에서는 Pre-process가 없지만 다음과 같이 작성했을때 Debug.isDebug 가 final로 선언되어 있으면 compile후 아래 3줄 모두 삭제 된다.(단 Debug.isDebug 가 false 로 초기화 되었다면 제거된다.)
            if( Debug.isDebug ){
    System.out.println("error..." + error);
    }
    Java는 compile시 byte code 생성시 final은 정적으로 판단하여 미리 정의하기 때문에 위의 3줄은 삭제될 수 있다. if문과 함께 없어지게 되므로 처리 속도에 피해를 주지 않는다. 단, 주의해야 할 점은 Debug.isDebug 값이 변경되면 이 것을 사용하고 있는 측도 모두 함께 다시 compile해야 한다. bytecode를 다시 만들어야 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 소스를 Debug.write()와 같이 static 으로 하여 이 method내에서 판단하게 하면 편리할텐데. 그리고 class별로 ON/OFF 처리를 할 수 있으면 좋을텐데, 어찌 하면 가능할 것인가?
    그럼 먼저 호출한 쪽의 class이름을 찾아보자. 접근은 Exception의 printStackTrace()로 부터 시작되었다. 하지만 이 소스에는 Exception 객체를 new한 시점에 결정되어 있다. 그래서 부모인 Throwable의 생성자를 확인해 보니 fillInStackTrace() 로 되어있는데 이 method는 native method였다.
    API Reference를 보면 Thread class에서는 dumpStackTrace()라는 method가 있었다. 소스를 보니, 그것도 생성시점이었다. 아무래도 예외방면에서 찾는건 무리인듯 했다.
    그래서 class의 호출계층을 나타내는 java.lang.SecurityManager의 getClassContext() method로 접근하였다. sample 소스는 다음과 같다.
            // 1. GetCallerSecurityManager.java
    public final class GetCallerSecurityManager extends SecurityManager {
    public Class[] getStackTrace(){
    return this.getClassContext();
    }
    }
    // 2. GetCallerClass.java
    public final class GetCallerClass {
    private static GetCallerSecurityManager mgr;
    static{
    mgr = new GetCallerSecurityManager();
    System.setSecurityManager(mgr);
    }
    public static void writeCaller(String str){
    Class[] stk = mgr.getStackTrace();
    int size = stk.length;
    for(int i = 0; i < size; i++){
    System.out.println("stk[" + i + "] = " + stk[i]);
    }
    String className = stk[2].getName();
    System.out.println("className is " + className + " : " + str);
    }
    }
    // 3. GetCallerClassMain1 : 호출하는 클래스 예제 1
    public class GetCallerClassMain1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GetCallerClass.writeCaller(", real is 1.");
    }
    }
    // 4. GetCallerClassMain1 : 호출하는 클래스 예제 2
    public class GetCallerClassMain2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GetCallerClass.writeCaller(", real is 2.");
    }
    }
    위의 3번 주석과 4번 주석 부분을 수행하면 다음과 같은 결과가 나온다.
        className is GetCallerClassMain1 : , real is 1.
    className is GetCallerClassMain2 : , real is 2.
    정확히 호출한 클래스를 표현하고 있다. 이것을 비교해서 클래스별 ON/OFF를 구현하면 된다.

    8 Java 5.0 Tiger 에 대하여 #

    Tiger에서는 새로운 개념의 적용이 많은 부분 시도 되었다. 이중 가장 기본이 되는 몇가지를 살펴보자.

    8.1 Working with java.util.Arrays #

    Tiger에서는 무엇보다도 Collection class들에 대해 많은 부분 정비하였다. 예를 들면 for/in 구문 지원과 Generic Type member와 Arrays Utility class 등이다. 그럼 Collection에 대한 static method들을 담고 있는 Arrays 에 대해 다음 example로 한눈에 살펴보자.
    package com.jeid.tiger;
    import java.util.Arrays;
    import java.util.Comparator;
    import java.util.List;
    public class ArraysTester {
    private int[] arr;
    private String[] strs;
    public ArraysTester(int size) {
    arr = new int[size];
    strs = new String[size];
    for (int i = 0; i < size; i++) {
    if (i < 10) {
    arr[i] = 100 + i;
    } else if (i < 20) {
    arr[i] = 1000 - i;
    } else {
    arr[i] = i;
    }
    strs[i] = "str" + arr[i];
    }
    }
    public int[] getArr() {
    return this.arr;
    }
    public String[] getStrs() {
    return this.strs;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size = 50;
    ArraysTester tester = new ArraysTester(size);
    int[] testerArr = tester.getArr();
    int[] cloneArr = tester.getArr().clone();
    String[] testerStrs = tester.getStrs();
    String[] cloneStrs = tester.getStrs().clone();
    // clone test
    if (Arrays.equals(cloneArr, testerArr)) {
    System.out.println("clonse int array is same.");
    } else {
    System.out.println("clonse int array is NOT same.");
    }
    if (Arrays.equals(cloneStrs, testerStrs)) {
    System.out.println("clonse String array is same.");
    } else {
    System.out.println("clonse String array is NOT same.");
    }
    // 2부터 10까지 값 셋팅
    Arrays.fill(cloneArr, 2, 10, new Double(Math.PI).intValue());
    testerArr[10] = 98;
    testerStrs[10] = "corea";
    testerStrs[11] = null;
    List<String> listTest = Arrays.asList(testerStrs);
    System.out.println("listTest[10] = " + listTest.get(10));
    System.out.println("------- unsorted arr -------");
    System.out.println("Arrays.toString(int[]) = " + Arrays.toString(testerArr));
    System.out.println("Arrays.toString(String[]) = " + Arrays.toString(testerStrs));
    Arrays.sort(testerArr);
    // Arrays.sort(testerStrs); //NullPointerException in sort method..(null이 없더라도 길이에 대한 크기 체크는 못함)
    Arrays.sort(testerStrs, new Comparator<String>() {
    public int compare(String s1, String s2) {
    if (s1 == null && s2 == null) {
    return 0;
    } else if (s1 == null && s2 != null) {
    return -1;
    } else if (s1 != null && s2 == null) {
    return 1;
    } else if (s1.length() < s2.length()) {
    return -1;
    } else if (s1.length() > s2.length()) {
    return 1;
    } else if (s1.length() == s2.length()) {
    return 0;
    } else {
    return s1.compareTo(s2);
    }
    }
    });
    System.out.println("------- sorted arr -------");
    System.out.println("Arrays.toString(int[]) = " + Arrays.toString(testerArr));
    System.out.println("Arrays.toString(String[]) = " + Arrays.toString(testerStrs));
    System.out.println("------------------------------------------------");
    String[][] mstrs1 = { { "A", "B" }, { "C", "D" } };
    String[][] mstrs2 = { { "a", "b" }, { "c", "d" } };
    String[][] mstrs3 = { { "A", "B" }, { "C", "D" } };
    System.out.println("Arrays.deepToString(mstrs1) = " + Arrays.deepToString(mstrs1));
    System.out.println("Arrays.deepToString(mstrs2) = " + Arrays.deepToString(mstrs2));
    System.out.println("Arrays.deepToString(mstrs3) = " + Arrays.deepToString(mstrs3));
    if( Arrays.deepEquals(mstrs1, mstrs2)) {
    System.out.println("mstrs1 is same the mstrs2.");
    }else {
    System.out.println("mstrs1 is NOT same the mstrs2.");
    }
    if( Arrays.deepEquals(mstrs1, mstrs3)) {
    System.out.println("mstrs1 is same the mstrs3.");
    }else {
    System.out.println("mstrs1 is NOT same the mstrs3.");
    }
    System.out.println("mstrs1's hashCode = " + Arrays.deepHashCode(mstrs1));
    System.out.println("mstrs2's hashCode = " + Arrays.deepHashCode(mstrs2));
    System.out.println("mstrs3's hashCode = " + Arrays.deepHashCode(mstrs3));
    }
    }

    8.2 Using java.util.Queue interface #

    Queue를 이용하여 First In First OutOrdering한 Queue를 구현 가능하다.
    package com.jeid.tiger;
    import java.util.LinkedList;
    import java.util.PriorityQueue;
    import java.util.Queue;
    public class QueueTester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ystem.out.println("---------- testFIFO ----------");
    testFIFO();
    System.out.println("---------- testOrdering ----------");
    testOrdering();
    }
    private static void testFIFO() {
    Queue<String> q = new LinkedList<String>();
    q.add("First");
    q.add("Second");
    q.add("Third");
    String str;
    while ((str = q.poll()) != null) {
    System.out.println(str);
    }
    }
    private static void testOrdering() {
    int size = 10;
    Queue<Integer> qi = new PriorityQueue<Integer>(size);
    Queue<String> qs = new PriorityQueue<String>(size);
    for (int i = 0; i < size; i++) {
    qi.offer(10 - i);
    qs.offer("str" + (10 - i));
    }
    for (int i = 0; i < size; i++) {
    System.out.println("qi[" + i + "] = " + qi.poll() + ", qs[" + i + "] = " + qs.poll());
    }
    }
    }

    8.3 java.lang.StringBuilder 사용하기 #

    StringBuffer가 synchronize하지 않은 method들로 구성된 듯한 StringBuilder를 사용하므로 성능 향상을 도모할수 있다. 사용법은 StringBuffer와 동일하다.
    package com.jeid.tiger;
    import java.util.ArrayList;
    import java.util.Iterator;
    import java.util.List;
    public class StringBuilderTester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List<String> list = new ArrayList<String>();
    list.add("str1");
    list.add("str2");
    list.add("str3");
    String ret = appendItems(list);
    System.out.println("ret = " + ret);
    }
    private static String appendItems(List<String> list) {
    StringBuilder sb = new StringBuilder();
    for (Iterator<String> iter = list.iterator(); iter.hasNext();) {
    sb.append(iter.next()).append(" ");
    }
    return sb.toString();
    }
    }

    8.4 Using Type-Safe Lists #

    Collection에 type을 명시하여 type-safe 하게 처리 가능. 아래에서 type을 명시하지 않을 경우 compile error가 남을 보여준다. tip으로 Number를 이용하여 byte, short, int, long, double, float 동시 사용하는 부분 참조.
    package com.jeid.tiger;
    import java.util.Iterator;
    import java.util.LinkedList;
    import java.util.List;
    public class ListTester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List<String> list = new LinkedList<String>();
    list.add("str1");
    list.add("str2");
    list.add(new Integer(123)); // <-- String이 아니므로 compile error!!
    //Iterator에 String type을 명시하므로 정삭작동됨.
    for (Iterator<String> iter = list.iterator(); iter.hasNext();) {
    String str = iter.next();
    System.out.println("srt = " + str);
    }
    //Iterator에 String type을 명시하지 않았으므로 아래 A 부분에서 compile 오류 발생!!
    for (Iterator iter = list.iterator(); iter.hasNext();) {
    String str = iter.next(); //A
    System.out.println("srt = " + str);
    }
    //byte, short, int, long, double, float 동시 사용
    List<Number> lstNum = new LinkedList<Number>();
    lstNum.add(1);
    lstNum.add(1.2);
    for (Iterator<Number> iter = lstNum.iterator(); iter.hasNext();) {
    Number num = iter.next();
    System.out.println("num = " + num);
    }
    }
    }

    8.5 Writing Generic Types #

    class 나 interface keyword에 type을 명시하여 동일 타입 명시 가능. 주의 할 점은 any type은 static 일 수 없다.(동적으로 type이 정해지므로)
    class AnyTypeList<T> {
    //class AnyTypeList<T extends Number> { // <-- 이는 Number를 상속한 type은 허용하겠다는 의미.
    private List<T> list;
    //private static List<T> list; // <-- 이는 정적이므로 compile error 발생!!!
    public AnyTypeList(){
    list = new LinkedList<T>();
    }
    public boolean isEmpty(){
    return list == null || list.size() == 0;
    }
    public void add(T t){
    list.add(t);
    }
    public T grap(){
    if (!isEmpty() ) {
    return list.get(0);
    } else {
    return null;
    }
    }
    }

    8.6 새로운 static final enum #

    예제를 통해 알아보자.
    package com.jeid.tiger;
    import com.jeid.BaseObject;
    import com.jeid.MyLevel;
    public class EnumTester extends BaseObject {
    private static long start = System.currentTimeMillis();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try {
    test();
    enum1();
    } catch (Exception e) {
    e.printStackTrace();
    }
    printEllapseTime();
    }
    private static void test() throws Exception {
    byte[] b = new byte[0];
    System.out.println(b.length);
    }
    private static void enum1() {
    //enum TestEnum { A, B }; //enum cannot be local!!!
    for(MyVO.TestEnum te: MyVO.TestEnum.values()){
    System.out.println("Allow TestEnum value : " + te);
    }
    System.out.println("---------------------------------------");
    MyVO vo = new MyVO();
    vo.setName("enum1");
    vo.setLevel(MyLevel.A);
    System.out.println(vo);
    System.out.println("isA = " + vo.isA() + ", isGradeA = " + vo.isLevelA()+ ", isValueOfA = " + vo.isValueOfA());
    System.out.println("getLevelInKorean = " + vo.getLevelInKorean());
    }
    private static void printEllapseTime() {
    System.out.println("==> ellapseTime is " + (System.currentTimeMillis() - start) + " ms.");
    }
    }
    package com.jeid.tiger;
    import com.jeid.BaseObject;
    import com.jeid.MyLevel;
    public class MyVO extends BaseObject {
    enum TestEnum {
    A, B
    }; // this is same public static final
    private int id;
    private String name;
    private MyLevel grade;
    // private List<T> list;
    public MyLevel getLevel() {
    return grade;
    }
    public void setLevel(MyLevel grade) {
    this.grade = grade;
    }
    public boolean isA() {
    return "A".equals(this.grade);
    }
    public boolean isValueOfA() {
    return MyLevel.valueOf("A").equals(grade);
    }
    public boolean isLevelA() {
    return MyLevel.A.equals(this.grade);
    }
    //A,B,C..대신 0,1,2... 도 동일함.
    public String getLevelInKorean() {
    switch(this.grade){
    case A:
    return "수";
    case B:
    return "우";
    case C:
    return "미";
    case D:
    return "양";
    case E:
    return "가";
    default:
    return "없음";
    }
    }
    public int getId() {
    return id;
    }
    public void setId(int id) {
    this.id = id;
    }
    public String getName() {
    return name;
    }
    public void setName(String name) {
    this.name = name;
    }
    }

    8.7 Using java.util.EnumMap #

    java.util.Map과 동일하나 key가 enum type이어 한다. 예제로 살펴보자.
    package com.jeid.tiger;
    import java.util.EnumMap;
    public class EnumMapTester {
    private enum MyEnum {
    A, B, C
    }; // this is same the static final..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MyEnum[] enums = MyEnum.values();
    System.out.println("MyEnum is " + enums[0] + ", " + enums[1] + ", " + enums[2]);
    EnumMap<MyEnum, String> em = new EnumMap<MyEnum, String>(MyEnum.class);
    em.put(MyEnum.A, "수");
    em.put(MyEnum.B, "우");
    em.put(MyEnum.C, "미");
    em.put(MyEnum.B, "가"); //key 중복은 HashMap과 동일하게 overwrite임.
    for (MyEnum myEnum : MyEnum.values()) {
    System.out.println(myEnum + " => " + em.get(myEnum));
    }
    }
    }

    8.8 Using java.util.EnumSet #

    java.util.Set과 동일하나 value가 enum type이어 한다. 예제로 살펴보자.
    package com.jeid.tiger;
    import java.util.EnumSet;
    public class EnumSetTester {
    private enum MyEnum {
    A, B, C, a, b, c
    }; // this is same the static final..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MyEnum[] enums = MyEnum.values();
    System.out.println("MyEnum is " + enums[0] + ", " + enums[1] + ", " + enums[2]);
    EnumSet<MyEnum> es1 = EnumSet.of(MyEnum.A, MyEnum.B, MyEnum.C);
    EnumSet<MyEnum> es2 = EnumSet.of(MyEnum.a, MyEnum.b, MyEnum.c);
    EnumSet<MyEnum> es3 = EnumSet.range(MyEnum.a, MyEnum.c);
    if (es2.equals(es3)) {
    System.out.println("e2 is same e3.");
    }
    for (MyEnum myEnum : MyEnum.values()) {
    System.out.println(myEnum + " contains => " + es1.contains(myEnum));
    }
    }
    }

    8.9 Convert Primitives to Wrapper Types #

    int, short, char, long, double등 primitive와 이들의 Object Wrapper 인 Integer, Shrt, Char등 간의 converting에 있어 자동으로 처리해주는 boxing과 unboxing이 지원 됨에 따라 type에 대한 유연한 처리가 가능해졌다. 예제로 살펴보자.
    package com.jeid.tiger;
    public class AutoBoxingTester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i = 0;
    Integer ii = i; // boxing. JDK 1.4에서는 incompatible type error가 발생 했었으나 Tiger에서는 괜찮다.
    int j = ii; // unboxing
    for (ii = 0; ii < 5; ii++) { // Integer인데도 ++ 연산자 지원.
    }
    i = 129;
    ii = 129;
    if (ii == i) {
    System.out.println("i is same ii.");
    }
    // -128 ~ 127 사이의 수는 unboxing이 되어 == 연산이 허용되지만,
    // 그 범위 외의 경우 Integer로 boxing된 상태므로 equals를 이용해야함.
    // 이는 버그가 발생했을 경우 찾기 쉽지 않은 단점도 내포하고 있다.!!
    checkIntegerSame(127, 127); // same
    checkIntegerSame(128, 128); // Not same
    checkIntegerEquals(128, 128); // equals
    checkIntegerSame(-128, -128); // same
    checkIntegerSame(-129, -129); // Not same
    checkIntegerEquals(-129, -129); // equals
    System.out.println("--------------------------------------------");
    Boolean arriving = false;
    Boolean late = true;
    String ret = arriving ? (late ? "도착했지만 늦었네요." : "제시간에 잘 도착했군요.") :
    (late ? "도착도 못하고 늦었군요." : "도착은 못했지만 늦진 않았군요.");
    System.out.println(ret);
    StringBuilder sb = new StringBuilder();
    sb.append("appended String");
    String str = "just String";
    boolean mutable = true;
    CharSequence chSeq = mutable ? sb : str;
    System.out.println(chSeq);
    }
    private static void checkIntegerSame(Integer ii, Integer jj) {
    if (ii == jj) {
    System.out.println("ii = " + ii + ", jj = " + jj + " ==> jj is same ii.");
    } else {
    System.out.println("ii = " + ii + ", jj = " + jj + " ==> jj is NOT same ii!!");
    }
    }
    private static void checkIntegerEquals(Integer ii, Integer jj) {
    if (ii.equals(jj)) {
    System.out.println("ii = " + ii + ", jj = " + jj + " ==> jj is equals ii.");
    } else {
    System.out.println("ii = " + ii + ", jj = " + jj + " ==> jj is NOT equals ii!!");
    }
    }
    }

    8.10 Method Overload resolution in AutoBoxing #

    int가 127을 초과할 경우 boxing이 이루어 질듯 하지만, method overload에 있어서는 boxing이 이루어 지지 않아 JDK1.4와 동일한 결과를 얻는다. 예제로 살펴보자.
    package com.jeid.tiger;
    public class OverloadTester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double d = 10;
    Integer ii = new Integer(10);
    doSomething(10);
    doSomething(1000);
    doSomething(ii);
    doSomething(d);
    }
    private static void doSomething(Integer ii) {
    System.out.println("This is doSomething(Integer)");
    }
    private static void doSomething(double d) {
    System.out.println("This is doSomething(double)");
    }
    }

    8.11 가변적인 argument 개수 ... #

    인수가 가변적일 경우 인수의 개수가 없는것 부터 다수개까지 모두 지원. 예제로 살펴보자.
    package com.jeid.tiger;
    public class VarArgsTester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etNumbers(1, 2);
    setNumbers(1, 2, 3, 4);
    setNumbers(1);
    // setNumbers(); //해당 되는 method가 없어 compile error!!
    System.out.println("==============================================");
    setNumbers2(1, 2, 3, 4);
    setNumbers2(1);
    setNumbers2();
    }
    // this is same setNumbers(int first, int[] others)
    private static void setNumbers(int first, int... others) {
    System.out.println("-----------setNumbers()----------- : " + first);
    for (int i : others) {
    System.out.println("i = " + i);
    }
    }
    // this is same setNumbers(int[] others)
    private static void setNumbers2(int... others) {
    System.out.println("-----------setNumbers2()----------- : "
    + (others != null && others.length > 0 ? others[0] : "null"));
    for (int i : others) {
    System.out.println("i = " + i);
    }
    }
    }

    8.12 The Three Standard Annotation #

    @Override - sign the override from superclass.
        //정상적인 사용
    @Override
    public int hashCode(){
    return toString().hashCode();
    }
    //스펠링이 틀려 compile error!!
    @Override
    public int hasCode(){ //misspelled => method does not override a method from its superclass error!!
    return toString().hashCode();
    }
    @Deprecated deprecated 주석과 동일하나 부모의 method가 deprecated되면 자식의 method를 사용해도 deprecated로 나온다.
    package com.jeid.tiger;
    public class AnnotationDeprecateTester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DeprecatedClass dep = new DeprecatedTester();
    dep.doSomething(10); //deprecated
    }
    }
    class DeprecatedClass {
    @Deprecated
    public void doSomething(int ii){ //deprecated
    System.out.println("This is DeprecatedClass's doSomething(int)");
    }
    public void doSomethingElse(int ii){
    System.out.println("This is DeprecatedClass's doSomethingElse(int)");
    }
    }
    class DeprecatedTester extends DeprecatedClass {
    @Override
    public void doSomething(int ii){
    System.out.println("This is DeprecatedTester's doSomething(int)");
    }
    }
    @SuppressWarnings SuppressWarnings에 인자는 String[] type으로 여러개를 배열형태로 쓸수 있다.
    package com.jeid.tiger;
    import java.util.ArrayList;
    import java.util.List;
    public class AnnotationSuppressWarningsTester {
    @SuppressWarnings({"unchecked", "fallthrough"} )
    private static void test1(){
    List list = new ArrayList();
    list.add("aaaaaa");
    }
    @SuppressWarnings("unchecked")
    private static void test2(){
    List list = new ArrayList();
    list.add("aaaaaa");
    }
    //warning이 없는 소스.
    private static void test3(){
    List<String> list = new ArrayList<String>();
    list.add("aaaaaa");
    }
    }

    8.13 Creating Custom Annotation Types #

    나만의 annotation을 정의할 수 있는데 키워드는 @interface이 각 method정의가 member라고 보면 된다. 간단한 예를 보면 다음과 같다.
    package com.jeid.tiger;
    import java.lang.annotation.Documented;
    import java.lang.annotation.ElementType;
    import java.lang.annotation.Retention;
    import java.lang.annotation.RetentionPolicy;
    import java.lang.annotation.Target;
    @Documented
    @Target( { ElementType.TYPE, ElementType.FIELD, ElementType.METHOD, ElementType.ANNOTATION_TYPE })
    @Retention(RetentionPolicy.RUNTIME)
    public @interface MyAnnotation {
    String columnName();
    String methodName() default "";
    }
    //사용하는 쪽..
    public class AnnotationTester {
    @MyAnnotation(columnName = "test", methodName = "setTest")
    private String test;
    @MyAnnotation(columnName = "grpid")
    public String grpid;
    ....
    }
    //위의 test 멤버의 경우 다음과 같이 접근 가능하다.
    Field testField = cls.getDeclaredField("test");
    if (testField.isAnnotationPresent(MyAnnotation.class)) {
    Annotatioin anno = testField.getAnnotation(MyAnnotation.class);
    System.out.println(anno.columnName() + ", method = " + anno.methodName());
    }

    9 The for/in Statement #

    9.1 for/in 의 자주 사용되는 형태 #

    for/in은 무엇보다 다양한 유형의 예제를 보는것이 제일 빠를것이다. 형태별 사용 예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가장 단순한 형태인 배열(array)
    String[] strs = { "aaa", "bbb", "ccc" };
    for (String str : strs) {
    System.out.println(str);
    }
    //2. List by using Iterator
    List<Number> lstNum = new LinkedList<Number>();
    lstNum.add(1);
    lstNum.add(1.2);
    for (Iterator<Number> iter = lstNum.iterator(); iter.hasNext();) {
    Number num = iter.next();
    System.out.println("num = " + num);
    }
    //3. List를 바로 사용
    List<String> lst = new LinkedList<String>();
    lst.add("aaaaa");
    lst.add("bbbbb");
    lst.add("ccccc");
    lst.add("ddddd");
    for (String str : lst) {
    System.out.println("str = " + str);
    }
    // 4. List of List
    List[] lists = { lst, lst };
    for (List<String> l : lists) {
    for (String str : l) {
    System.out.println("str = " + str);
    }
    }

    10 Static Import #

    10.1 static member/method import #

    Tiger에서는 다른 클래스의 member와 method를 import 할수 있다. 단, static 일 경우만 가능하다.
    //예를 들어 System.out.println() 이라는 것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다음의 import 문이 필요하다.
    import java.lang.System; //물론 java.lang 이기에 import 문이 필요없지만 예를 들자면 그렇다는 것이다.&^^
    //허나, Tiger에서는 다음과 같이 사용할수 있다.
    import static java.lang.System.out;
    ...
    out.println(...);
    // method를 import 한다면..
    import static java.lang.System.out.println;
    ...
    println(...);

    11 References #

    posted by 좋은느낌/원철
    2008. 6. 30. 17:00 개발/DB2

    출처 : http://database.sarang.net/?inc=read&aid=867&criteria=db2&subcrit=&id=&limit=20&keyword=jdbc&page=1



    v8 이전의 JDBC driver을 DB2 JDBC drvier라고 하고,

    v8 이후에 새롭게 추가된 JDBC driver를 Universal JDBC driver라고 명명하고 설명합니다.

    v8 이상에서는 Universal JDBC Driver를 사용할 것을 권장합니다.


    Class files

    - db2java.zip : DB2 JDBC Type 2 and Type 3 Driver

    - db2jcc.jar   : Universal Type 2 and Type 4 Driver

    License jar files (Universal JDBC driver를 사용할 때 필요)

    - db2jcc_license_cu.jar : for connecting DB2 v8 for LUW

    - db2jcc_license_cisuz.jar : for connecting DB2 for iSeries and z/OS

    JDBC Drvier class name

    - DB2 JDBC Type 2 Driver : COM.ibm.db2.jdbc.app.DB2Driver

    - DB2 JDBC Type 3 Driver : COM.ibm.db2.jdbc.net.DB2Driver

    - Universal JDBC Type 2 Driver : com.ibm.db2.jcc.DB2Driver

    - Universal JDBC Type 4 Driver : com.ibm.db2.jcc.DB2Driver

    JDBC url name

    - DB2 JDBC Type 2 Driver : jdbc:db2:db_name

    - DB2 JDBC Type 3 Driver : jdbc:db2://host_name:port_name/db_name

    - Universal JDBC Type 2 Driver : jdbc:db2:sample

    - Universal JDBC Type 4 Driver : jdbc:db2://host_name:port_name/db_name


    Sample program

    import java.sql.*;
    Connection con;
    Statement stmt;
    ResultSet rs;
    Class.forName(“com.ibm.db2.jcc.DB2Driver”);
    con = DriverManager.getConnection(“db2:jdbc://server1:50000/sample”);
    stmt = con.createStatement();
    rs = stmt.executeQuery(“select EMPNO from EMPLOYEE”);
    while (rs.next()) {
    s = rs.getString(1);
    }
    rs.close();
    stmt.close();
    con.close();

    DB2 and JAVA Developer Domain

     http://www7b.boulder.ibm.com/dmdd/zones/java/

    posted by 좋은느낌/원철
    2008. 6. 30. 11:44 개발/DB2
    사용자를 위한 DB2 Conversion 프로젝트, Part 4: DB2 애플리케이션

    출처 : http://bloter.net/tt/IBMDB2/39

    Data Type

    오라클 DB와 DB2의 데이터 타입의 차이점은 DB2에서의 데이터 타입은 사용자 편의보다는 옵티마이저가 가장 잘 해석할 수 있도록 세분화 되어 있다는 점이다. 이는 DB2는 기본적으로 오라클 DB와 달리 Rule base 옵티마이저 모드를 지원하지 않기에 옵티마이저가 최대한 잘 해석할 수 있도록 만들어 주기 위함으로 보인다.
    예를 들어 오라클 DB에서의 number와 같이 정수, 소수를 대표하는 Data Type은 DB2에서는 크기에 따라 SMALLINT, INTEGER, BIGINT, DECIMAL(p,s)등으로 세분화 되어 쓰여지게 되어 있다.



    DB2는 오라클 DB에서와 같이 숫자와 문자간 자동 형 변환을 지원하지 않는다 따라서 문자와 숫자간 비교나 조인시 반드시 CAST, INT, CHAR 함수 등으로 형 변환을 해주어야 한다.
    예>
    select * from tab1 where col1 = int(‘1’)
    select * from tab1 where col1 = cast (‘1’ as int)

    DB2에서의 날짜 연산
    1. to_char() 함수: DB2에도 오라클 DB의 to_char()와 동일한 이름의 함수는 있으나 오라클 DB에서와 같이 날짜 형식의 다양한 포멧팅을 지원하지는 않는다. 오라클 DB의 TO_CAHR() 함수를 쓰기 위해서는 별도의 UDF가 필요하다.(오라클/MS-SQL Built in Function에 대한 DB2 UDF는 첨부되어 있는 zip 파일을 참조해서 사용하기 바란다.)
    2. sysdate(oracle) => current date(현재 날짜), current timestamp (현재 시간소인)
    3. hex(current date)  문자열 YYYYMMDD 형식 예> 20080101
    4. date / year / month / day 함수  입력된 시간소인(혹은 날짜형식 문자열)에 날짜(date yyyy-mm-dd), 년도(year –yyyy), 월(month – mm 2월인 경우 02가 아니고 2로 표시됨), 일(day – dd)로 변환하는 scalar 함수
    5. 날짜 더하기/ 빼기 “+/- n days”, “+/- months”, “+/- years” 예>current date + 1 months
    6. 날짜끼리 뺄 경우 결과는 YYYYMMDD(decimal(8,0))형식으로 두 일자 사이의 기간을 나타내게 된다. 예) values(date('2008-02-10') -date('2007-01-01'));  00010109 (1년 1개월 9일)
    7. 날짜 포멧 변경
    char(current date, iso) – 2008-01-01
    char(current date, eur) – 01.01.2008
    char(current date, usa) – 01/01/2008

    Page navigation을 위한 Row Number
    OLAP 함수인 row_number() over(order by 컬럼이름)로 대체해서 사용해야 한다.
    Select empno, fullname
    From (select empno
                       , firstnme || ' ' || lastname as fullname
                       , row_number() over (order by empno) as r_num
        from employee ) as t1
    Where r_num >= 10 and r_num <20

    Dummy Table
    Sysibm.sysdummy1 (DB2)
    select * from sysibm.sysdummy1

    Truncate Table
    DB2에서는 오라클 DB에서의 Truncate table은 존재하지 않는다. DB2에서 테이블의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지우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Import from /dev/null of del replace into 테이블이름
    Alter table 테이블이름 activate not logged initially with empty table
     ALTER TABLE EMPLOYEE ACTIVATE NOT LOGGED INITIALLY WITH EMPTY TABLE;

    Decode문
    Decode문은 지원하지 않는다. Case문으로 대체해야 한다.

    UPDATE staff
    SET comm = salary + DECODE(job,'Mgr',100,0)

    UPDATE staff
    SET comm = salary + CASE job
    WHEN 'Mgr' THEN 100 ELSE 0 END

    NULL 처리







    Sequence
    데이터베이스 전체에서 관리되는 Sequence와 별도로 테이블마다 제공되는 컬럼 sequence도 존재한다. 각 사용법은 아래와 같다


    Procedure

    1. 프로시저 생성시 CREATE OR REPLACE 옵션을 제공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미 존재하고 있는 프로시저일 경우 Drop 후 재생성 해야 한다. 이때 프로시저를 참조하는 Routine이 있으면 같이 Drop하고 생성해 주어야 한다.
    2. 데이터 타입 정의시 반드시 길이를 정해 주어야 한다. 길이가 정해져 있지 않은 데이터 타입은 사용이 불가능 하다. 또한 참조되는 객체의 길이가 서로 다를 경우 생성되지 않으므로 참조되는 객체의 길이와 타입은 반드시 동일하게 생성해 주어야 한다.
    3. 입/출력 값에 설정시 IN, OUT, INOUT을 변수 명 앞에 선언하고 변수와 변수 타입(크기가 명시된)을 선언한다.
    4. LANGUAGE SQL 옵션은 ver7.x에서는 반드시 써야 하지만 ver8.x부터는 선택 사항이다.
    5. Procedure 호출은 Call 명령어를 통해 호출한다.
     Call stored_procedure_name (input1, input2….)


    Temporary Table
    Temporary table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사용자 임시 테이블 스페이스 타입의 테이블 스페이스가 존재해야 하며, 세션에 독립적으로 생성되어 세션이 종료됨과 함께 자동으로 소멸된다.

    -- User Temp 테이블 스페이스 작성
    CREATE USER TEMPORARY TABLESPACE apptemps
    MANAGED BY SYSTEM USING ('apptemps');

    -- Temp Table 작성
    DECLARE GLOBAL TEMPORARY TABLE t_employees LIKE employee NOT LOGGED;

    Trigger
    1. 트리거 생성시 CREATE OR REPLACE 옵션을 제공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미 존재하는 트리거일 경우 drop후 재 생성해야 한다.
    2. Before 트리거에서 NO CASCADE 옵션은 필수 항목이다.
    3. MODE DB2SQL 옵션은 필수 항목이다.
    4. UPDATE & DELETE 구문은 Before&After를 사용해야 한다.
    5. 오라클 DB의 INSERT OR UPDATE OR DELETE ON과 같은 다중 역할을 하는 트리거 생성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각 역할에 따라 트리거를 별도로 생성해 주어야 한다.
    6. INNER SQL(Select .. INTO)을 통한 변수 설정이 불가능 하기 때문에 반드시 SET을 통해 SELECT 결과를 변수에 입력하여야 한다. 이때 SELECT 문장의 값은 반드시 단일 Row여야 한다.






    변수 정의와 규칙
    Oracle PL/SQL 같은 경우 아래의 4가지 위치에 변수 값 정의가 가능하다.
    1. 스토어드 프로시저 또는 함수 파라미터 리스트 안
    2. 스토어드 프로시저, 함수, 트리거의 내부
    3. 패키지 정의
    4. 패키지 body 정의

    DB2에서는 오라클 DB에서와 같이 함수나 프로시저를 그룹화하는 패키지 개념이 없다. 따라서 변수 값 정의는 패키지를 제외한 위의 두 가지 경우만 허용된다.
    DB2 SQL PL에서도 native data type과 user defined distinct type의 여러 형태 정의가 가능하다. 변수 정의시 반드시 DECLARE 구문을 써서 정의하여야 하며, 변수 값 정의를 위해서는 반드시 BEGIN … END 블록 안에서 정의되어야 한다. 초기값 설정 이후 변수에 값을 설정할 경우 DB2에서는 SET 문장을 써서 변수를 assign 한다.

    예> 초기값 설정
    Oracle PL/SQL: l_value NUMBER(10,2) :=0.0;
    DB2 SQL PL:  DECLARE l_value NUMERIC(10,2) DEFAULT 0.0;

    예> 변수 값 할당
    Oracle PL/SQL: l_value = 99.99;
    DB2 SQL PL: SET l_value = 99.99;
     Trigger의 경우 INNER SQL(Select .. INTO)을 통한 변수 설정이 불가능 하기 때문에 반드시 SET을 통해 SELECT 결과를 변수에 입력하여야 한다. 이때 SELECT 문장의 값은 반드시 단일 Row여야 한다.
    SET l_value =(SELECT balance from account_info where account_no = actNo);

    Cursor 처리
    1. 응용프로그램에서 결과 집합을 검색하기 위해 사용하는 기법으로 Select 문에서 여러 건의 데이터를 반환하는 경우에 사용된다.
    2. 커서는 declare / open / fetch / close의 단계로 사용된다.
    3. Open된 커서는 UOW(unit of work) 종료시(commit / rollback) 소멸되지만 DB2에서는 With HOLD 옵션으로 커서의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4. DB2는 Memory level의 Lock을 사용하며 그에 따른 Cursor의 유형도 읽기 전용(READ ONLY)과 업데이트 가능한 UPDATEABLE 커서가 있다.
    5. UPDATEABLE(FOR UPDATE OF)를 사용하면 데이터를 Fetch 하는 동안 S모드 대신 U모드 LOCK이 적용되어 Deadlock을 방지할 수 있다.




    커서 예외 처리







    Debugging

    DB2에는 오라클 DB의 dbms.output.put_line과 같은 함수가 존재 하지 않는다. 따라서 dbms.output.put_line 함수와 같은 UDF Fuction을 만들거나, 디버깅 테이블을 만들어 디버깅 하고자 하는 값을 새로 만든 디버깅 테이블에 Insert 하는 방법이 있다.
    아래의 방법은 put_line UDF를 생성하여 디버깅 하는 방법에 대한 설명이다. 해당 원문은 아래의 Site에서 확인 하기 바란다.
    http://www.ibm.com/developerworks/db2/library/techarticle/0302izuha/0302izuha.html

    put_line UDF생성 방법
    CREATE PROCEDURE TESTCASE() RESULT SETS 0 LANGUAGE SQL
    L_TESTCASE:
    BEGIN NOT ATOMIC 
     DECLARE V_DEPTNO SMALLINT;
     DECLARE V_DEPTNAME VARCHAR(20);
     DECLARE V_DIVISION VARCHAR(20);
    -- FOR DEBUG
     DECLARE V_NUM SMALLINT DEFAULT 0;
     DECLARE V_MSG1 VARCHAR(4000);
     DECLARE V_MSG2 VARCHAR(1);
    -- END
    -- SAMPLE1
     SET V_NUM=2000;
     SET V_MSG1='debugging start';
     VALUES(PUT_LINE(V_NUM,V_MSG1)) INTO V_MSG2;
    -- SAMPLE2
     VALUES(PUT_LINE(SMALLINT(2),'this is no2')) 
       INTO V_MSG2;
    -- SAMPLE3
     VALUES(PUT_LINE(3)) INTO V_MSG2;
    -- SAMPLE4
     VALUES(PUT_LINE('##number4##')) INTO V_MSG2;
    -- SAMPLE5
     SET V_NUM = 0;
       FOR V_C1_REC AS C1 CURSOR FOR
     SELECT DEPTNUMB, DEPTNAME, DIVISION
     FROM ORG ORDER BY DEPTNUMB DESC
       DO
           SET V_DEPTNO   = v_C1_REC.DEPTNUMB;
     SET V_DEPTNAME = v_C1_REC.DEPTNAME;
      SET V_DIVISION = v_C1_REC.DIVISION;
     SET V_NUM = V_NUM + 1;
     SET V_MSG1 ='DEPTNO=' || CHAR(V_DEPTNO)||',' ||'DEPTNAME='||V_DEPTNAME||','
      ||'DIVISION='||V_DIVISION;
     VALUES(PUT_LINE(V_NUM,V_MSG1)) INTO V_MSG2;
       END FOR;
     VALUES(PUT_LINE(32000,'end of the program')) 
       INTO V_MSG2;
    END L_TESTCASE

    <참조>
     Oracle to DB2 UDB Conversion Guide(IBM.com/redbooks)
     DB2 사용자 가이드(IBM)

    posted by 좋은느낌/원철
    2008. 6. 29. 22:34 개발/JSP/Servlet

    In this article I will show up how to setup a DataSource on Websphere 6.1 for MySQL step by step.

    After you read this article, you will be capable to create a DataSource on Websphere 6.1 using MySQL database. Also, this article can be useful if you want to use another database, such as DB2, Oracle and so on.

    Setting up a DataSource

    Basically, there are 3 steps to create a DataSource on Websphere:

    1. Create a JDBC Provider
    2. Create a J2C
    3. Create the DataSource

    Creating a JDBC Provider

    First of all, you must start the Websphere server and open its admin console: http://localhost:9060/ibm/console/. On Admin Console, expand the Resources -> JDBC section.

    Click on JDBC Provider link and a list of current JDBC providers will appears for you. By default, WAS 6.1 brings only Derby JDBC Provider already setup. We are going to create a new one for MySQL. Select the Scope and then click on New.

    On the new screen, select User-Defined in Database type field (because WAS doesn’t have MySQL pre-defined), com.mysql.jdbc.jdbc2.optional.MysqlConnectionPoolDataSource in Implementation Class Name field and MySQL JDBC Provider in Name field.

    After that, click on Next button. On next screen, you must inform the ClassPath of the JARs files. In my case, I copied the file mysql-connector-java-5.1.6-bin.jar to the <WAS-HOME>/lib directory.

    Click on Next and on the next screen click on Finish. The first screen will come up and then you must click on Save link to commit the information to Websphere.

    Creating a J2C

    J2C is a way to create an authentication for our DataSource. The easiest way to create it is go to Data Sources section, click on New and then click on the link create a new J2C authentication alias.

    On the new screen, click on New button and fill up the fields:

    Click on OK and then Save link.

    Creating the DataSource

    Go to Data Sources section and click on New. On the new screen, insert the Data source name, JNDI name and select the J2C.

    Note: The JNDI name default is jdbc/ plus JNDI name.

    On the next screen, select the JDBC Provider previously created.

    On the next two screens, just click on Next and then Finish. To commit the changes, click on Save link.

    We are almost done. We need now to setup a couple of parameters. To do that, click on your Data Source and onto the new screen, click on Custom properties link.

    On Custom properties, you must change the value to databaseName and serverName. (there are also other properties that you are free to change them if you want).

    After the changes are done, it is time to test the DataSource. Back to the Data sources section, check the datasource you want and click on Test connection button. A message should appears.

    We’re done! The DataSource has been created, tested and now it is ready to be used within Websphere Application Server v6.1

    Creating a Web Application to access the DataSource

    If you are using Websphere 6.1, probably you are using RAD 7 (Rational Application Developer) as well.

    First of all, you must create a Dynamic Project. Then go to Web perspective and select the menu New -> Dynamic Web Project. Insert a project name and click finish (for this example, you do not need to create an EAR project).

    The second step is to link the DataSource in our Web Project. To do that, simply open the Deployment Descriptor (double click on it).

    On the new screen, go to References section. There, click on Add button and then Resource reference. Fill up the fields like below:

    Back to the References section, click on the Reference just created and in the Websphere bindings, insert the JNDI name of the datasouce created into Websphere.

    After that, both files (web.xml and ibm-web-bnd.xmi) will be configured. Your web application can call the DataSource through the alias: jdbc/ApplicationDS.

    Below following a piece of code which uses the DataSource. This code can be used in a Servlet, JSP, ManagedBean and so on.

    1. try {  
    2.     Context ctx = new InitialContext();  
    3.     DataSource ds = (DataSource) ctx.lookup("java:comp/env/jdbc/ApplicationDS");  
    4.     Connection con = ds.getConnection();  
    5.     PreparedStatement query = con.prepareStatement("select * from customers");  
    6. } catch (Exception e) {  
    7.     e.printStackTrace();  
    8. }  

    Look at the line number 3, in this line we are calling the DataSource from Websphere.

    Conclusion

    I really hope this topic be useful for anyone else. It is a simple and fast way to create a DataSource (and use it) in Websphere 6.1 environment.

    Ads by Google
    Advanced WebSphere Tools
    Tooling/support for WS 5.1, 6.x No vendor lockin, only $149/year
    www.myeclipseide.com
    Java Database
    Pure Java database. Improve data access and increase profits. Try It
    www.progress.com/objectstore
    MS SQL Server 2005 Tools
    MS SQL Server Database Admin Tools Download Now! Windows, Linux, OSX
    www.aquafold.com
    WebSphere Management
    Manage performance of servers, EJBs Servlets, JVM, Web Application
    manageengine.adventnet.com/Download
    posted by 좋은느낌/원철
    2008. 6. 25. 17:05 개발/DB2

    32-bit AIX에서 데이터베이스 공유 메모리를 할당할 때의 일반적인 문제들

    데이터베이스 공유 메모리를 적절히 초기화 하지 못하면 다음과 같은 문제가 생긴다.

    • 데이터베이스 시작 시 (데이터베이스를 실행하거나 데이터베이스를 처음 연결할 때) - SQL1478W, SQL0987C, SQL1084C
    • 런타임 시 - SQL10003N, SQL1042C

    다음은 문제로 이어질 수 있는 부적절한 설정 예제들이다.

    예제 1

    다음 설정을 생각해 보자. (모든 페이지 크기가 4KB이다.)

    • 싱글 파티션, 집중장치 실행 안됨, INTRA_PARALLEL OFF, DB2_MMAP_READ=NO, DB2_MMAP_WRITE=NO, fenced 함수나 프로시저 없음.
    • IBMDEFAULTBP 450,000 pages
    • UTILHEAP 17,500 pages
    • DBHEAP 10,000 pages
    • LOCKLIST 1000 pages
    • PCKCACHE 5000 pages
    • CATALOGCACHE 2500 pages

    한계: 이 설정에서 데이터베이스 공유 메모리의 한계는 2GB 이거나 8 세그먼트이다.

    계산: 다음 공식을 사용하여 데이터베이스 공유 메모리를 계산한다.
    Database shared memory = (Total of 486,000 pages x 4KB per page) x 1.1 (account for 10% overhead) = ~2.1GB = 9 segments

    주: 이 계산에서 네 개의 숨겨진 버퍼 풀을 남겨두었다. 너무 작아서 차이를 보이지도 않는다.

    문제: 이것은 2GB의 한계를 초과한다. 데이터베이스를 실행하거나 데이터베이스에 처음으로 연결할 때 다음과 같은 경고를 받는다.
    SQL1478W The defined buffer pools could not be started. Instead, one small buffer pool for each page size supported by DB2 has been started. SQLSTATE=01626

    db2diag.log에서 DB2가 숨겨진 버퍼 풀 없이 시작할 것이라는 메시지를 보게 될 것이다. 이 문제를 해결하려면 메인 버퍼 풀의 크기를 줄인다.

    예제 2

    다음과 같은 설정을 생각해 보자. (모든 페이지의 크기가 4K이다.)

    • 싱글 파티션, Fenced 함수나 프로시저 없음, INTRA_PARALLEL=ON
    • IBMDEFAULTBP 300,000 pages
    • UTILHEAP 17,500 pages
    • DBHEAP 10,000 pages
    • SHEAPTHRES_SHR 50,000 pages
    • LOCKLIST 1000 pages
    • PCKCACHE 5000 pages
    • CATALOGCACHE 2500 pages

    한계: 1.5GB (6 세그먼트). 한 개의 세그먼트가 애플리케이션 그룹 메모리에 사용된다. INTRA_PARALLEL이 ON이기 때문이다. 또 다른 세그먼트는 로컬 연결에 사용된다. DB2_MMAP_READ와 DB2_MMAP_WRITE가 YES로 설정되기 때문이다. (디폴트)

    계산:
    Database shared memory = (Total of 386,000 pages x 4KB per page) x 1.1 = ~1.67GB = 7 segments

    문제: 이것은 1.5GB 한계를 초과한다. 데이터베이스를 활성화 하거나 데이터베이스에 처음 연결할 때 다음과 같은 에러 메시지를 받게 된다.
    SQL1042C An unexpected system error occurred. SQLSTATE=58004

    이 문제를 해결하려면:

    • db2set를 사용하여 DB2_MMAP_READ와 DB2_MMAP_WRITE를 NO로 설정한다. 이로서 DB2는 로컬 커넥션에 세그먼트 E를 사용하게 되고 데이터베이스 공유 메모리에 한 개의 세그먼트가 남게 된다.

    예제 3

    다음과 같은 설정을 생각해 보자. (모든 페이지 크기가 4K 이다.)

    • IBMDEFAULTBP 250,000 pages
    • INTRA_PARALLEL=ON
    • UTILHEAP 17,500 pages
    • DBHEAP 10,000 pages
    • SHEAPTHRES_SHR 20,000 pages
    • LOCKLIST 1000 pages
    • PCKCACHE 5000 pages
    • CATALOGCACHE 2500 pages
    • Fenced UDF exists

    한계: 다음 항목들이 한 개의 세그먼트를 취한다: Intra-parallel ON, 로컬 커넥션, fenced UDFB. 데이터베이스 공유 메모리에 5 세그먼트나 1.25G를 남겨둔다.

    계산:
    Database shared memory = (Total of 306,000 pages x 4KB per page) x 1.1% = ~1.35GB = 6 segments

    문제: fenced UDF를 참조하는 쿼리가 sql10003C로 실패한다. 이 문제를 해결하려면, unfenced 모드에서 UDF를 실행하거나 데이터베이스 공유 메모리를 줄여 5 세그먼트가 넘지 않도록 한다.

    posted by 좋은느낌/원철
    2008. 6. 25. 11:37 개발/UNIX 계열
    출처:http://eibm.co.kr/lecture/basic1.htm#제%202%20장
    제 1 장
    System Access
    1-1. 로그인 및 로그아웃 개요 운영시스템을 사용하려면, 사용자 시스템이 수행 중이어야 하고 로그인되어야 한다. 사용자가 운영 시스템으로 로그인할 때, 시스템에서 사용자 자신을 식별하고 시스템으로 하여금 사용자의 환경을 설정하도록 허용한다.


    ▒▒ 운영 시스템으로 로그인 ▒▒
    사용자 시스템에서 작업을 시작하기 전에 먼저 세션을 시작해야 한다. 사용자 시스템을 시작한 후에 바로 시스템에 로그인 하여 세션을 시작한다. 하루중 특정 시간 동안만 또는 한 주의 특정 요일에만 로그인 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가 허용된 시간 이외의 시간에 로그인하려고 하면, 사용자 액세스를 거절하게 된다. 시스템 관리자는 로그인 시간이 언제인지 검증할 수 있다.
    로그인 프롬프트에서 사용자 ID와 Password를 입력하면 운영시스템으로 로그인 하게 되고 사용자의 홈 디렉토리에 들어가게 된다.


    ▒▒ 시스템이 켜지지 않았을 경우 ▒▒
    1. 접속된 각 장치의 시위치를 킨다.
    2. 시스템 장치의 키 모드 스위치를 정상으로 설정한다.
    3. 전원 시위치를 on으로 설정하여 시스템을 시작한다.
    4. 시스템 front의 LED 창에 세자리 표시를 확인한다. 오류없이 완료 된다면 세자리 표시가 나오지 않는다.
    주의를 요청하는 오류가 발생하면, 세자리 숫자 코드가 남아 있고 시스템은 정지 된다.
    자가 테스트 완료가 성공적이면 다음과 같은 로그인 프롬프트가 사용자 화면에 나타난다.


    login:

    ▒▒ 시스템이 이미 시작되었을 경우 ▒▒
    1. login: 프롬프트 뒤에 로그인 이름을 입력한 후 Enter 키를 누른다.
    login : [계정이름]
       예를 들어, 사용자 로그인 이름이 eibm 일 경우
    login : eibm

    2. password : 프롬프트가 나타나면, 암호를 입력한 후 Enter를 누란다.(화면에는 사용자가 입력한 것이 표지되지 않는다.)
    password : [사용자 암호]
    암호 프롬프트가 나타나지 않으면, 사용자는 정의된 암호를 가지지 않은 것이다. login에 계정이름을 넣은 즉시 프롬프트를 만나게 될 것이다. 사용자가 로그인한 후, 운영 시스템이 시작되는 방법에 따라, 사용자 시스템은 명령행(쉘) 또는 그래픽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AIX windows 또는 상용 데스크탑 환경(CDE))로 시작할 수 있다.


    ▒▒ 한번 이상 로그인(login 명령) ▒▒
    사용자는 한번 이상 로그인 할 수 있다. 사용자 시스템으로 로그인 하기 위해 동일한 로그인 이름을 사용하거나 다른 로그인 이름을 사용하여 동시에 여러번 로그인 한다. 이는 하나 이상의 작업을 하고 계정을 분히하여 유지하고 싶을 경우에 유용하다.
    주:각각의 시스템은 주어진 시간 내에 언제라도 활성할 수 있는 로그인 이름의 최대 수를 갖고 있다. 이 수는 사용자의 사용권 계약에 의해 판별되며 설치에 따라 다양하다.

    예를 들어, 로그인 이름이 eibm이면 프롬프트에서 다음과 같이 입력한다.
    $login eibm
    password: 프롬프트가 나타나며, 암호를 입력한 후 Enter를 누른다. 역시 사용자가 입력한 문자가 화면에 표지되지 않는다.)


    ▒▒ 시스템에서 다른 사용자 되기(su 명령) ▒▒
    사용자가 로그인 이름을 알고 있을 경우 su(switch user)명령을 통해 세션과 연관이 있는 사용자 ID로 변경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user1으로 전환하려면 프롬프트에서 다음과 같이 입력한다.

    $su user1
    password: 프롬프트가 나타나면, user1의 암호를 입력한 후 Enter를 누른다. 암호를 모른다면 su 요청은 거절 된다.
    사용자가 전환 되고 현재의 사용자 ID를 확인하려면 id 명령을 입력하면 된다.
    사용자의 환경설정을 적용하여 사용자 user2로 전환 하려면 프롬프트에서 다음과 같이 입력하면 된다.

    $su - user2
    정확한 구문은 명령어 사전을 참고한다.


    ▒▒ 로그인 메시지 억제 ▒▒
    로그인에 성공하면, login 명령은 해당 사용자의 마지막으로 성공하거나 실패한 로그인 시도 날짜와 시간을 표시하고, 인증 정보(일반적으로 암호)의 최종 변경 이후에 이 사용자의 실패한 로그인 시도 총계를 표시한다. 그러나 사용자의 홈 디렉토리에 .hushlogin 파일이 있으면 이들 메시지는 억제된다.

    홈 디렉토리의 프롬프트에서 다음과 같이 입력한다.
    $touch .hushlogin

    다음번에 사용자가 로그인하면, 모든 로그인 메시지는 억제된다. 사용자는 다른 로그인 메시지는 억제하면서 그날의 메시지는 보유하도록 시스템에 지시할 수 있다.


    ▒▒ 운영 시스템에서 로그아웃 (exit 및 logout 명령) ▒▒
    프롬프트에서 다음 중 하나를 수행한다.
    EOF 제어키(Ctrl+D)를 누른다. 또는
    exit 를 입력하고 Enter를 누른다. 또는
    logout을 입력하고 Enter를 누른다.
    로그아웃한 후, 시스템은 login: 프롬프트를 표시한다.


    ▒▒ 운영 시스템 종료 (shutdown 명령) ▒▒
    사용자가 루트 사용자 권한을 갖고 있으면, shutdown 명령을 사용하여 시스템을 종료시킬 수 있다. shutdown 명령을 사용하지 않고 사용자 시스템에서 전원을 끄면 안된다. 이는 데이터의 손실을 야기 시킬 수 있고, 파일 시스템의 손상을 가져 올 수 있다. shutdown 명령을 사용할 권한이 없다면, 그냥 운영 시스템에서 로그아웃 하고 수행되도록 두어야 한다.

    프롬프트에 다음과 같이 입력한다.
    $shutdown

    시스템은 1분 동안 대기후에 사용자 터미널에 경고 메시지를 내보낸 후 정지 절차를 수행한다. 정확한 구문과 옵션은 명령어 사전을 찾아보기 바란다.

    모든 정지절차가 완료되면 화면에 다음과 같은 메시지를 보여준다.
    ....Shutdown Completed.... 1-2. 사용자 및 시스템 식별 ▒▒ 로그인 이름 표시 ▒▒
    동시에 여러 이름으로 로그인 되어 있을 때 로그인 이름을 추적하거나 특히 어떤 순간에 사용된 로그인 이름을 잊기 쉽다.

    어떤 로그인 이름이 사용 중인지 알아보려면, 프롬프트에서 다음과 같이 입력한다.
    $whoami
    user1
    $

    이 예에서 로그인 이름은 user1 이다.
    who 명령의 변형인 who am i 명령은 로그인 이름, 터미널 이름 및 로그인 시간을 표시한다.

    프롬프트에 다음과 같이 입력하고 아래와 같은 정보를 확인 할 수 있다.
    $who am i
    user1    pts/2    Aug  4 10:12    (192.168.1.2)
    $

    이 예에서, 로그인 이름은 user1이고, 터미널 이름은 pts/2 이며, 이 사용자는 8월 4일 오전 10시 12분에 ip 192.168.1.2 로부터 로그인 하였음을 알 수 있다.
    사용자를 식별하는데 사용되는 명령어는 위의 예 외에 logname 명령, who 나 w, id 명령등이 쓰일 수 있다. 자세한 옵션과 구문은 명령어 사전을 참고하면 된다.


    ▒▒ 사용자 시스템의 이름 표시 ▒▒
    옵션 없이 사용되는 uname 명령은 운영 시스템의 이름을 표시한다. 기본적으로 AIX 일 것이다. 그러나 사용자가 네트워크 상에 있을 경우 사용자 시스템의 이름을 표시하려면 -n 옵션을 사용하여 식별한다. 이는 사용자 로그인 ID와는 다른 것이다.

    예를 들어 프롬프트상에 다음과 같이 입력하면 아래와 같은 정보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uname -n
    eibm
    $

    이 예에서 시스템 이름은 eibm 이다. 이는 hostname 명령으로도 확인 가능하다.
    $hostname
    eibm
    $
    1-2. 암호 사용자 시스템은 암호와 각각의 계정을 연관 시킨다. 고유의 암호는 사용자 파일에 대해 일부 시스템 보안을 제공한다. 시스템 사용과 데이터는 보호를 필요로 하는 다양한 자원이다. 보안은 허가받지 않은 사람들이 시스템에 액세스 하지 못하도록 하고 다른 사용자의 파일을 부당하게 변경하지 못하게 하므로 컴퓨터 시스템의 중요한 부분이다. 보안을 통해 사용자가 액세스할 수 있는 파일과 사용할 수 있는 명령에 대한 일부 사용자의 배타적 특권을 허용할 수 있다. 보호를 위해, 일부 시스템 관리자만이 사용자가 특정 명령이나 파일에 액세스 하도록 하용한다. 1-2-1. 암호 지침 사용자는 고유의 암호를 가져야 한다. 암호를 공유해서는 안된다. 암호를 쉽게 생각해 낼 수 없도록 어렵게 작성하되, 기억할 수가 없어서 적어둘 만큼 너무 어려워서는 안된다.
    알려지지 않은 암호를 사용하여 사용자 ID를 보안해야 한다. 사용자 이름이나 생일과 같은 개인 정보로 된 암호는 좋지 않다.

    암호를 선택할 때는 다음과 같은 지침을 사용하는게 좋다.
    - 암호를 기록해 두지 않는다. 그러나, 암호를 기록해야만 하는 경우, 잠금 장치가 되어 있는 캐비넷과 같은 안전한 장소에 둔다.
    - 사용자 ID를 암호로 사용하지 않는다. 철자를 거꾸로, 두 번 반복해서 또는 수정해서 암호를 사용하지 않는다.
    - 암호를 재사용하지 않는다. 시스템이 암호의 재사용을 거부할 수도 있다.
    - 사람의 이름을 암호로 사용하지 않는다.
    - 온라인 철자 검사 사전에서 찾을 수 있는 단어는 암호로 사용하지 않는다.
    - 6문자 이하의 암호는 사용하지 않는다.
    - 예의에 어긋난 단어를 암호로 사용하지 않는다. 이는 암호를 생각할 때 가장 먼저 고려해야 한다.
    - 문자와 숫자를 모두 사용하며 대문자와 소문자가 모두 있는 암호를 사용한다.
    - 숫자로 분리한 두 단어를 암호로 사용한다.
    - 발음할 수 있는 암호를 사용해야 기억하기 쉽다.
    1-2-2. 암호 변경 passwd 명령을 사용하여 암호를 변경할 수 있다.

    프롬프트에서 다음과 같이 입력한다.
    $passwd

    암호가 있다면 다음과 같은 프롬프트가 나타난다.
    Changing password for "user"
    user1's Old password:

    이 요청은 사용자가 없을 때 허가되지 않은 사용자가 사용자의 암호를 변경하지 못하도록 한다. 현재 암호를 입력한 후 Enter를 누르면 다음과 같은 프롬프트가 나타난다.
    user's New password:

    원하는 새 암호를 입력한 후 Enter를 누르면, 새로운 암호를 다시 확인하는 프롬프트가 나타난다. 이 요청은 사용자가 재작성 할 수 없는 잘못 입력된 문자열을 사용자의 암호로 설정하지 않도록 해준다.
    Re-enter user's new password:

    암호를 재 입력한 후 Enter를 누르면 다시 프롬프트로 빠져 나올 수 있다. 만약 일정시간동안 입력이 없다면 사용자는 다음과 같은 메시지와 함께 기본 프롬프트를 보게 될 것이다.
    Error changing password for "user".

    로그인 할 때마다 암호를 입력하지 않으려면 사용자 암호를 널(NULL)로 설정한다. 널로 설정하려면 passwd 명령후에 새 암호를 입력하라는 프롬프트에서 Enter 혹은 Ctrl+D를 입력하면 된다. 제 2 장 System Infomation 각각의 로그인 이름은 로그인 이름에 맞는 시스템 환경을 가지고 있다. 시스템 환경이란 세션에서 수행중인 모든 프로세스의 일반적인 정보가 보관되어 있는 영역이다. 사용자가 사용자 시스템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데 사용할 수도 있는 명령이다.


    ▒▒ 사용자의 시스템에 있는 장치 나열 ▒▒
    lscfg 명령을 사용하여 읾, 위치 및 현재 구성설정된 장치에 대한 설명을 표시한다. 리스트는 장치 위치에 따라 분류된다. 예를 들어, 시스템에 구성설정된 장치를 나열하려면 프롬프트에서 다음과 같이 입력하고, 아래와 같은 정보를 표시한다.

    $lscfg

     

    INSTALLED RESOURCE LIST

     

    The following resources are installed on the machine.

    +/- = Added or deleted from Resource List.

    *   = Diagnostic support not available.

     

      Model Architecture: rs6k

      Model Implementation: Uni-Processor, MCA bus

     

    * sys0              00-00             System Object

    + sysplanar0        00-00             System Planar

    + ioplanar0         00-00             I/O Planar

    * bus0              00-00             Microchannel Bus

    * sio0              00-00             Standard I/O Planar

    + fda0              00-00-0D          Standard I/O Diskette Adapter

    + fd0               00-00-0D-00       Diskette Drive

    + sioka0            00-00-0K          Keyboard Adapter

    + kbd0              00-00-0K-00       PS/2 keyboard

    + sioma0            00-00-0M          Mouse Adapter

    ..

    ..

    ..

    ▒▒ 중략 ▒▒



    특정 장치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l 플래그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들어, 장치 sysplanar0 에 대한 정보를 나열하려면 다음을 입력한다. 아래와 유사한 메시지를 볼 수 있다.

    $lscfg -l sysplanar0
    DEVICE            LOCATION          DESCRIPTION
    sysplanar0        00-00             System Planar

    lscfg 명령을 사용하여 부품 번호, 일련 번호 및 엔지니어링 변경 레벨과 같은 주요 제품 데이터(VPD)를 표시 한다. 일부 장치의 경우 자동으로 VPD가 수집되어 시스템 구성설정에 추가 된다. 기타 장치의 경우, VPD정보를 수동으로 입력한다. 테이터 앞의 ME 는 데이터가 수동으로 입력되었음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시스템에 구성설정되어 있는 장치를 중요 제품 데이터와 함께 나열하려면 다음과 같이 입력하고 Enter를 누르면 아래와 유사한 메시지를 확인 할 수 있다.

    $lscfg -v

     

    INSTALLED RESOURCE LIST WITH VPD

     

    The following resources are installed on your machine.

     

      Model Architecture: rs6k

      Model Implementation: Uni-Processor, MCA bus

     

      sys0              00-00             System Object

      sysplanar0        00-00             System Planar

     

            Part Number.................040H5658

            EC Level....................00D28062

            Processor Identification....00430746

            ROS Level and ID............IPLVER1.3 LVL3.01,065G8318

            Processor Component ID......0800004800000050

            Device Specific.(Z0)........000000

            Device Specific.(Z1)........000000

            Device Specific.(Z2)........000000

            Device Specific.(Z3)........000000

            Device Specific.(Z4)........000000

            Device Specific.(Z5)........000000

            Device Specific.(Z6)........000000

            Device Specific.(Z7)........000000

      ..

      ..

      ..

      ▒▒ 중략 ▒▒

     

     



    ▒▒ 콘솔 이름 표시 ▒▒
    lscons 명령은 보통 화면인 표준 출력에 현재 콘솔 장치의 이름을 표시한다.

    예를 들어, 프롬프트 상태에서 다음과 같이 입력하면 아래와 유사한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다.
    $lscons
    /dev/lft0


    ▒▒ 사용자 터미널 이름 표시 ▒▒
    tty 명령은 사용자의 터미널 이름을 표시한다.

    예를 들어, 프롬프트 상태에서 다음과 같이 입력한다
    $tty
    Enter를 누르면 다음과 같은 정보를 얻을 수 있다.
    /dev/pts/2

    이 예에서 tty06은 터미널 이름이고, /dev/tty06은 현재 터미널에 해당하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장치 파일이다.


    ▒▒ 사용 가능한 표시장치 나열 ▒▒
    lsdisp 명령은 표시장치 식별 이름, 슬롯 번호, 표시장치 이름 및 표시장치의 설명을 제공하면서, 사용자의 시스템에 현재 사용 가능한 표시장치를 나열한다.

    예를 들어 사용가능한 표시장치를 모두 나열하려면 다음과 같이 입력한다.

    $lsdisp

    DEV_NAME  SLOT  BUS  ADPT_NAME  DESCRIPTION

    ========  ====  ===  =========  ===========

    nep0      00-03 mca  GXT150M    Graphics Adapter

     

       Default display = nep0

     



    ▒▒ 사용가능한 폰트 나열 ▒▒
    lsfont 명령은 사용자의 표시장치에 사용 가능한 폰트 리스트를 나열한다.
    예를 들어, 표시장치에 사용 가능한 모든 폰트를 리스트 형식으로 나열하려면 다음과 같이 실행한다.

    $lsfont

     

     

    FONT  FILE            GLYPH  FONT

    ID    NAME            SIZE   ENCODING

    ====  ==============  =====  =========

    0     Erg22.iso1.snf  12x30  ISO8859-1

    1     Erg11.iso1.snf   8x15  ISO8859-1

     

     

     

      ▒▒ 키보드 맵 나열 ▒▒

     lskbd 명령은 사전 정의된 키보드 식별 이름과 번호를 표시하여 현재 사용 가능한 키보드 맵을 나열한다.

    예를 들어, 모든 키보드 맵을 나열하려면 다음과 같이 실행한다.

     

     $lskbd

     

     Enter를 누르면 다음과 같은 화면을 출력한다.

     

    The current software keyboard map = /usr/lib/nls/loc/ko_KR.lftkeymap.

     

      ▒▒ 소프트웨어 제품 나열 ▒▒

     lslpp 명령은 사용자 시스템에서 사용 가능한 제품 정보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시스템에 있는 모든 소프트웨어 제품을 나열하려면 시스템 프롬프트에서 다음과 같이 실행한다.

    $lslpp -l -a |more

      Fileset                                       Level             State                          Description

      ----------------------------------------------------------------------------

    Path: /usr/lib/objrepos

      IMNSearch.rte.httpdlite            2.0.0.1     COMMITTED     NetQuestion Web Server

      Java.rte.bin                             1.1.8.0     COMMITTED     Java Runtime Environment

                                                                                            Executables

                                                     1.1.8.8     APPLIED           Java Runtime Environment

                                                                                            Executables

      Java.rte.classes                     1.1.8.0     COMMITTED     Java Runtime Environment

                                                                                            Classes

                                                     1.1.8.8     APPLIED           Java Runtime Environment

                                                                                            Classes

      Java.rte.lib                               1.1.8.0    COMMITTED     Java Runtime Environment

                                                                                            Libraries

                                                     1.1.8.8     APPLIED           Java Runtime Environment

                                                                                            Libraries

      OpenGL.html.ko_KR.gl32          4.3.3.0    COMMITTED     GL3.2 Guides - Korean

      OpenGL.html.ko_KR.opengl     4.3.3.0     COMMITTED     OpenGL Guides - Korean

      PEX_PHIGS.html.ko_KR.graPHIGS_gd

                                                     4.3.3.0     COMMITTED     graPHIGS Guides - Korean

      PEX_PHIGS.html.ko_KR.graPHIGS_libs

                                                     4.3.3.0     COMMITTED     graPHIGS Reference - Korean

      X11.Dt.ToolTalk                        4.3.3.0     COMMITTED     AIX CDE ToolTalk Support

     

     ...

     ...

     ...

     ▒▒ 중략 ▒▒

     

     리스트가 너무 길면, 상단 위치를 화면에서 볼 수 없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려면, lslpp 명령을 pg 명령이나 more 명령과 파이프로 연결하여 사용하면 된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lslpp -l -a |pg  또는

     $lslpp -l -a |more

     

      ▒▒ 사용자 터미널용 제어 키 지정 나열 ▒▒

     stty 명령은 사용자 터미널 설정을 표시한다. 이들 설정의 대부분을 무시해도 좋지만, 중요한 정보는 사용자 터미널에 사용할 제어키이다. 예를 들어 프롬프트 상태에서 다음과 같이 입력한다.

    $ stty -a

    speed 9600 baud; 25 rows; 80 columns

    eucw 1:1:0:0, scrw 1:1:0:0:

    intr = ^C; quit = ^\; erase = ^H; kill = ^U; eof = ^D; eol = ^@

    eol2 = ^@; start = ^Q; stop = ^S; susp = ^Z; dsusp = ^Y; reprint = ^R

    discard = ^O; werase = ^W; lnext = ^V

    -parenb -parodd cs8 -cstopb hupcl cread -clocal -parext

    -ignbrk brkint ignpar -parmrk -inpck -istrip -inlcr -igncr icrnl -iuclc

    -ixon -ixany -ixoff imaxbel

    isig icanon -xcase echo echoe echok -echonl -noflsh

    -tostop echoctl -echoprt echoke -flusho -pending iexten

    opost -olcuc onlcr -ocrnl -onocr -onlret -ofill -ofdel tab3

    $

     

     위의 예에서, intr = ^C; quit = ^\; erase = ^H; 와 같은 행이 사용자 제어키 설정이다. ^H 키는 백스페이스 키이며 erase 는 키가 수행하도록 설정되는 함수이다. 마찬가지로 리스트가 너무 길면 pg 명령이나 more 명령과 함께 사용한다.

     

      ▒▒ 모든 사용자 환경 변수 나열 ▒▒

     env 명령을 통해 현재 환경 변수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의 모든 프로세스에 액세스할 수 있는 변수를 전역 변수라 한다.

     실행을 시작할 때 명령에 알려진 모든 변수(연관 값과 함께)가 실행 환경을 조성한다. 이 환경에는 명령이 상위 프로세스로부터 상속받은 변수 및 명령을 호출하는 명령행의 키워드 매개변수로서 지정된 변수에서부터 받은 변수도 포함된다. 쉘은 몇 가지 방법으로 환경과 상호작용을 한다. 시작될 때, 쉘은 환경을 탐색하여 매개변수에 대응하는 값을 주고 그것을 반출용으로 표시하면 발견된 각각의 이름에 대한 매개변수를 작성한다. 실행된 명령이 환경을 상속하게 된다.

     다음과 같이 사용할 수 있다.

    $env

    _=/usr/bin/env

    LANG=c

    LOGIN=test

    IMQCONFIGCL=/etc/IMNSearch/dbcshelp

    AIX_LOCKKEY=38

    PATH=/usr/bin:/etc:/usr/sbin:/usr/ucb:/home/test/bin:/usr/bin/X11:/sbin:.

    LC__FASTMSG=true

    IMQCONFIGSRV=/etc/IMNSearch

    CGI_DIRECTORY=/var/docsearch/cgi-bin

    LOGNAME=test

    MAIL=/usr/spool/mail/test

    LOCPATH=/usr/lib/nls/loc

    AIX_LOCKBITS=00

    DOCUMENT_SERVER_MACHINE_NAME=localhost

    USER=test

    ...

    ...

    ▒▒ 중략 ▒▒

    #

     

       ▒▒ 양방향 언어로 작업 ▒▒

     aixterm 명령은 양방향 언어인 아랍어 및 히브루어를 지원한다. 양방향 언어는 왼쪽에서 오른쪽, 오른쪽에서 왼쪽으로의 두 방향으로 읽고 쓸 수 있는 언어이다. 아랍 또는 히브루어를 지정하는 창을 열어 아랍어 및 히브루어 응용프로그램으로 작업 할 수 있다.

     정확한 구문은 명령어 사전을 참고하라.

     

     

     

    제 3 장 Command and Process

     

      명령은 조작을 수행하거나 또는 프로그램을 수행하기 위한 요청이다. 명령을 사용하여 운영 시스템에게 수행 하고 싶은 작업이 무엇인지 지시할 수 있다. 명령이 입력되면, 쉘로 해석되어 작업이 수행된다.

     실제 컴퓨터에서 수행중인 프로그램이나 명령은 프로세스이다. 운영 시스템은 동시에 서로 다른 많은 프로세스를 수행 할 수 있다. 또한 운영 시스템을 통해 사용자는 고유의 I/O 명령 및 기호를 사용하여 사용자 시스템의 입출력 데이터를 조작할 수 있다. 데이터를 수집할 위치를 지정하여 입력을 제어할 수도 있다. 예를들어, 데이터가 키보드(표준입력)에 입력될 때 입력을 읽거나 파일에서 입력을 읽을 수 있도록 지정할 수 있다. 데이터를 표시하거나 저장할 장소를 지정하여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들어, 화면(표준출력)으로 출력 데이터를 쓰고 또는 파일에 데이터를 쓸 수 있도록 지정할 수 있다.

     

     

     3-1. 명령 개요

     

     한 단어만 입력하여 실행되는 명령도 있다. 또한, 하나의 명령에서의 출력이 다른 명령에 대한 입력이 될 수 있도록 명령을 결합할 수도 있다. 이것을 파이핑이라 한다.

     플래그(옵션)는 명령의 활동을 더 상세히 정의한다. 플래그는 명령행에서 명령 이름과 함께 사용되는 수정자이며, 부통 대쉬"-"가 앞에 나온다.

     명령은 또한 그룹으로 묶여 파일에 저장될 수 있다. 이것을 쉘 프로시저 또는 쉘 스크립트라 한다. 이는 명령을 개별적으로 실행하는 대신 명령이 포함된 파일을 실행한다.

     

     3-1-1. 명령 구문

     한 단어만 타이프하여 입력되는 명령도 있지만 다른 명령들은 플래그 및 매개변수를 사용한다. 각각의 명령에는 필수 및 선택 플래그와 매개변수를 지정하는 구문이 있다. 명령의 일반적인 형식은 다음과 같다.

     

     commandName Flag(s) parameter(s)

     

     명령의 일반적인 규칙은 다음과 같다.

       명령, 플래그 및 매개변수 사이의 빈칸은 중요하다.

     

       두 개의 명령을 세미콜론(;)으로 분리하여 동일한 행에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CommandOne;CommandTwo

     

     쉘은 순차적으로 명령을 수행한다.

     

       명령은 대소문자를 구분한다. 쉘은 대문자와 소문자를 구별한다. 쉘에 있어서 print는 PRINT나 Print와 동일하지 않다.

     

       매우 긴 명령은 백슬러쉬(\) 문자를 사용하여 한 개 이상의 행에 입력할 수 있다. 백슬래쉬가 있으면 쉘은 행이 계속됨을 나타낸다. 다음은 두 행에 있는 명령의 예이다.

     

     $ls Mail info temp \ (Enter 키 입력)

    ▒▒ diary ....

     

      ▒▒ 문자는 2차 프롬프트($은 비루트 사용자의 디폴트 1차 프롬프트)이며 현재 행이 이전 행의 연속임을 나타낸다. csh는 2차 프롬프트를 제공하지 않고, 단어 경계에서 단어를 분리해야 하며, 기본 프롬프트는 % 이다.

     

       명령을 수행하려면, 프롬프트에서 명령 이름을 입력하고 Enter를 누른다.

     

    - 명령 이름 -

     모든 명령의 첫 단어가 명령 이름이다. 명령 이름만 있는 명령도 있다.

     

    - 명령 플래그 -

     명령 이름 뒤에 몇 개의 플래그가 올 수 있다. 플래그를 옵션이라고 할 때도 있다. 플래그는 빈칸 또는 탭으로 끊고, 보통 대쉬"-"로 시작한다. 예외적으로 ps, tar, ar 등은 플래그 앞에 대쉬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글래그는 명령의 작동을 변경 한다. 다음 명령을 예로 들면,

     

     $ls -a -F

     

     ls는 명령 이름이고, -a -F는 플래그 이다.

     명령이 플래그를 사용할 때는 명령 이름 다음에 놓인다. 명령에서 단일 문자 플래그는 한 개의 대쉬로 결합된다. 예를 들면, 이전 명령을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ls -aF

     

     어떤 환경에서는 실제로 매개변수가 대쉬로 시작하는 경우도 있다 이런 경우, 매개변수 앞에 분리문자 --를 사용한다. --는 명령에 뒤에 오는 것이 플래그가 아니라 매개변수임을 알려준다. 예를 들어, -tmp라는 디렉토리를 작성하기 위해 다음 명령을 입력한다.

     

     $mkdir -tmp

     

     시스템은 다음과 유사한 오류 메시지를 표시할 것이다.

     

     mkdir:Not a recognized flag: t

     Usage:mkdir [-p] [-m] Directory ...

     

     올바른 명령은 다음과 같다.

     

     $mkdir -- -tmp

     

     위와 같이 실행하면 새로운 디렉토리 -tmp가 작성된다.

     

    - 명령 매개변수 -

     명령 이름 뒤에 몇 개의 플래그가 오고 그 뒤에 매개변수가 올 수 있다. 매개변수를 인수 또는 피연산자라고 할 때도 있다. 매개변수는 명령 수행에 필요한 정보를 지정한다. 매개변수를 지정하지 않으면, 명령이 디폴트 값을 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ls -a temp

     

     ls는 명령 이름, -a는 플래그, temp는 매개변수이다. 이 명령은 디렉토리 temp안에 있는 모든 (-a)파일을 표시한다. 또한 매개변수가 없을 때에는 디폴트 값으로 현재 디렉토리의 파일을 표시한다. 다음과 같이 하나이상의 매개변수를 지정할 수도 있다.

     

     $ls temp mail

     

     위와 같이 실행하면 서로다른 두 디렉토리에 포함된 파일들을 모두 표시하게 된다.

     

     매개변수 또는 옵션 인수가 숫자값이거나 숫자값을 표함한 경우 그 숫자는 달리 지정되어 있지 않는 한 십진수로 해석된다. /usr/include/sys/limits.h에 정의된 대로 0에서 INT_MAX 까지 범위의 수는 구문상 수치값으로 인식된다.

     

     사용하려는 명령이 매개변수 또는 옵션 인수로 음수를 수용할 경우, /usr/include/sys/limits.h에서 정의한 대로 INT_MIN - INT_MAX 범위의 수를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이것이 범위 안의 모든 수가 의미론적으로 반드시 맞다는 뜻은 아니다. 어떤 종류의 인쇄 명령과 같이 더 작은 범위의 수를 허용하는 내장된 스펙을 갖는 명령도 있다. 오류가 발생할 경우, 오류 메시지로 인해 해당 값이 지원되는 범위를 벗어났다는 것은 알 수 있지만 해당 명령이 구문상 맞지 않다는 것은 알 수 없다.

     

     

     3-1-2. 사용법 문장 읽기

     사용법 문장은 명령 구문을 표현 할 수 있는 다른 방법이다. 구문 도표와 마찬가지로 사용법 문장은 명령행에서 명령을 입력하는 방법을 지시한다. 사용법 문장이 도료와 동일한 유형의 구문 정보를 제공하더라도 도표 형식으로 되어 있지는 않다. 오히려, 대괄호"[]", 중괄호"{}" 및 수직 표시줄"|" 같은 기호로 구성된다. 다음은 unget 명령에 대한 사용법 문장의 샘플이다.

     

     unget [ -r SID ] [ -s ] [ -n ] File ...

     

     굵은체 및 기울임체에 대한 규약은 구문 도표의 경우와 같다. 다음은 명령 사용법 문장에 사용되는 추가 규약이다.

       대괄호로 묶인 매개변수는 선택적이다.  중괄호로 묶인 매개변수는 필수적이다.  대괄호나 중괄호로 묶이지 않은 매개변수는 필수적이다.  수직 표시줄은 사용자가 한 개의 매개변수만을 선택할 수 있음을 뜻한다. 예를 들어, [ a | b ]는 a, b 또는 아뭓도 선택할 수 없음을 가르킨다. 마찬가지로 { a | b }는 a 또는 b를 반드시 선택해야 함을 가르킨다.  생략부호 ( ... )는 매개변수가 명령행에서 반복될 수 있음을 뜻한다.  대쉬 ( - ) 는 표준 입력을 나타낸다.

     

     3-1-3. 웹 기반 시스템 관리자 사용

     웹 기반 시스템 관리자는 국지적으로 접속된 표시장치에서 또는 웹 브라우저가 설치된 다른 시스템이나 개인용 컴퓨터에서 시스템을 원격으로 관리할 때 사용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이다. 다음과 같은 다양한 방법으로 웹 기반 시스템 관리자를 시작할 수 있다.

       상용 데트크탑 환경 (CDE)의 명령행 터미널에서 wsm 명령을 입력한다.  AIXwindows의 명령행 터미널에서 wsm 명령을 입력한다.  CDE 응용프로그램 관리자에서 시스템_관리 폴더로 이동하여 관리 콘솔 아이콘을 누른다.  구성설정된 개인용 컴퓨터의 HTML 3.2 호환가능한 웹 브라우저에서 시작할 수 있다.

     

     3-1-4. 유용한 Command

    ▒▒ 명령 또는 프로그램 찾기  ▒▒

     whereis 명령은  지정된 파일의 소스, 2진 및 매뉴얼 영역을 찾는다. 이 명령은 표준 위치 리스트에서 원하는 프로그램을 찾으려고 한다.

     문서가 없는 현재 디렉토리에서 파일을 찾으려면 다음과 같이 입력하고 Enter를 누른다.

     

     $whereis -m -u *

     

     또한 , Mail 이라는 이름이 들어 있는 모든 파일을 찾으려면 다음과 같이 입력한다.

     

     $whereis Mail

     

     다음과 유사한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Mail : /usr/bin/Mail /usr/lib/Mail.rc

     

     

    ▒▒ 명령에 대한 정보 표시 ▒▒

    man 명령은 명령, 서브루틴 및 파일에 대한 정보를 표시한다. man 명령의 일반 형식은 다음과 같다.

     

     $man CommandName

     

     pg 명령에 대한 정보를 얻으려면 다음과 같이 입력한ㄷ.

     

     $man pg

     

     시스템은 다음과 유사한 정보를 표시한다.

     

    pg Command

     

    Purpose

     

    Formats files to the display.

     

    Syntax

     

    pg [ -Number ] [ -c ] [ -e ] [ -f ] [ -n ] [ -p String ] [ -s ] [ +LineNumber ]

    [ +/Pattern/ ] [ File ... ]

     

    Description

     

    The pg command reads a file name from the File parameter and writes the file to

    standard output one screen at a time. If you specify a - (dash) as the File

    parameter, or run the pg command without options, the pg command reads standard

    input. Each screen is followed by a prompt. If you press the Enter key, another

    page is displayed. Subcommands used with the pg command let you review or search

    in the file.

     

     또한, InfoExplorer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man 명령이 제공하는 정보를 얻을 수 있다.

     

    ▒▒ 명령의 기능 표시 ▒▒

     whatis 명령은 catman -w 명령을 사용하여 작성한 데이터베이스에서, Command 매개변수에 지정된 대로 지정된 명령, 시스템 호출, 라이브러리 함수 또는 특수 파일 이름을 찾는다. whatis 명령은 매뉴얼 영역의 헤더 행을 표시한다. whatis 명령은 man -f 명령과 동일한 수행을 하게 된다.

     ls 명령의 수행 내용을 알아보려면 다음과 같이 입력한다.

     

     $whatis ls

     

     Enter 키를 누르면 다음과 유사한 정보를 확인 할 수 있다.

     

     ls(1) -Displays the contents of a directory.

     

     

    ▒▒ 이전에 입력된 명령 나열 ▒▒

     history 명령은 마지막으로 입력된 16개 명령을 나열하는 Korn 쉘 내장 명령이다. Korn 쉘은 보통 $HOME/.sh_history 라는 명령 히스토리 파일에 사용자가 입력한 명령을 저장한다. 이는 이전 명령을 반복 수행해야 할 때 시간을 절약하게 해준다. 디폴트는 Korn 쉘이 마지막 128개 명령의 텍스트를 저장하는 것이다. 히스토리 파일 크기가 너무 크면 Korn 쉘의 시작이 늦어질 수 있지만, 히스토리 파일 크기(HISTSIZE 환경 변수로 지정)의 제한은 없다.

    note : history 쉘 명령은 INet 편집기와 함께 사용되는 history 명령과 같지 않다. 또한 Bourne 쉘은 명령 내역을 지원하지 않는다는 것을 명심해야한다.

     이전에 입력했던 명령을 나열하려면 프롬프트 상에서 다음과 같이 입력하면 된다.

     

     $history

     

     아래와 같은 출력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35        ls

     36        smit

     37        stty -a

     38        tty

     39        lscons

     40        lsdisp

     41        lskbd

     42        ls -al

     43        ls |pg

     44        pwd

     45        man pg

     46        mail

     47        whereis Mail

     48        vi .sh_history

     49        clear

     50        history

     

     이전 다섯 개의 명령을 나열하려면 프롬프트에서 다음과 같이 입력한다.

     

     $history -5

     

     또한 이전 100 번째부터 사용한 모든 명령어들을 나열하려면 다음과 같이 입력한다.

     

     $history 100

     

     

    ▒▒ 쉘 history 명령을 사용한 명령 반복 ▒▒

     Korn 쉘 별명 r을 사용하여 이정 명령을 반복할 수 도 있다. r을 입력한 후 Enter를 누르면, 명령의 번호나 첫 번째 문자를 지정할 수 있다.  r 명령은 가장 최근에 입력된 명령을 다시 수행한다. 또한 r 명령을 매개변수와 함께 사용할 수 있는데, 다음과 같이 사용할 수 있다.

     

     $r ls

     

     위 명령은 지정된 문자 "ls"로 시작하는 가장 최근의 명령을 찾는다.

     

     

    ▒▒ 쉘 history 명령을 사용한 문자열 대체 ▒▒

     명령이 수행되기 전에 변경하기 위해 r 명령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수행하기 전에 Old=New 양식의 대체 매개변수를 사용하여 명령을 수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00 명령행이 ls *.txt 인데 sl *.exe를 수행하려는 경우, 프롬프트에서 다음과 같이 입력한다.

     

     $r txt=exe 100

     

     위와같이 입력후 Enter를 누르면 txt를 exe로 대체한 100행의 명령이 수행된다.

     

     

    ▒▒ 명령 내역 편집 ▒▒

     Korn 쉘 내장 명령 fc를 사용하여 명령 히스토리 파일 일부를 나열 또는 편집할 수 있다. 파일의 일부를 선택하여 나열하거나 편집하려면, 명령의 문자나 최초 문자 또는 번호를 지정한다. 단일 명령 또는 명령의 범위를 지정할 수 있다.

     Korn 쉘 내장 명령 fc에 대한 인수로서 편집 프로그램을 지정하지 않는 경우, FCEDIT 변수에 의해 지정된 편집기가 사용된다. FCEDIT 변수가 정의되어 있지 않은 경우, /usr/bin/ed 편집기가 사용된다. 편집기 종료시 편집된 명령이나 명령들이 인쇄되고 수행된다. printenv 명령을 사용하여 FCEDIT 변수 값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명령행100 이 "cd /usr/include/sys" 이고,  "cd /usr/tmp" 와 같은 명령을 실행하고 싶은 경우 프롬프트에 다음과 같이 입력한다.

     

     $fc 100

     

     이때, 사용자의 디폴트 편집기가 실행되어 명령행 100을 화면에 나타낸다. tmp에 include/sys를 변 경할 수 있고 편집기를 종료하면 편집된 명령이 수행된다.

     

     fc 명령에서 사용하려는 편집기를 지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usr/bin/vi 편집기를 사용하여 명령을 편집하려는 경우, 프롬프트에서 다음과 같이 입력한다.

     

     $fc -e vi 100

     

    또한 편집할 명령의 범위를 지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90에서 110 까지의 명령을 편집 하려는 경우, 프롬프트에서 다음과 같이 입력한다.

     

     $fc 90 110

     

     이때 사용자의 디폴트 편집기가 실행되어 명령행 90에서 110에 걸쳐 모두 화면에 나타낸다. 편집기를 종료하면 편집기에 나타나는 모든 명령은 순차적으로 수행된다.

     

     

    ▒▒ 명령 별명 작성 ▒▒

     alias 명령을 사용하여 명령, 파일 이름 또는 쉘 텍스트에 대한 단축 명령을 작성 할 수도 있다. 별명을 사용하면 작업을 빈번히 수행할 때 많은 시간이 절약된다. Korn 쉘 내장 명령 alias는 단어를 일부 명령에 대한 별명으로서 정의한다. 내장 명령 재정의에 별명을 사용할 수 있지만 전용어 재정의에는 사용할 수 없다.

     별명의 최초 문자는 메타문자 외의 인쇄 가능한 모든 문자가 될 수 있다. 나머지 문자들은 파일 이름으로 유효한 문자와 동일해야 한다. 별명을 작성하는 형식은 다음과 같다.

     

     alias Name=String

     

     Name 매개변수는 별명의 이름을 지정하고 String 매개변수가 문자열을 지정한다. String 에 공백이 있으면, 인용부호로 묶어야 한다. 예를 들어 ls -al 이라는 명령을 dir 로 대체해서 사용하고 싶다면 다음과 같이 해주면 된다.

     

     $alias dir="ls -al"

     

     위 명령 이후에 프롬프트에서 dir을 입력하면 ls -al을 입력하는 것과 마찬가지의 결과를 얻을 수 있다.

     현재 사용자에게 정의된 모든 별명을 표시하려면 프롬프트에서 alias를 인수 없이 입력하면 된다.

     

     3-1-5. 텍스트 포맷 명령에 대한 작업

     텍스트 포맷 명령을 사용하여, 유럽 언어에 사용되는 국제 확장 문자 집합으로 구성된 텍스트에 대해 작업 할 수 있다.

     

    ▒▒ 텍스트 형식으로 국제 문자 지원 ▒▒

     국제 확장 문자 집합은 영어 문자, 숫자 및 구두점으로 구성된 ASCII 부분집합 뿐 아니라, 다수 유럽 언어에 사용되는 문자와 기호를 제공한다.

     유럽 확장 문자 집합의 모든 문자는  ASCII 양식을 가진다. 이런 양식을 사용하여 입력에서 확장 문자를 표시하거나, 유럽 확장 문자 지원 키보드와 같은 장치로 문자를 직접 입력할 수 있다.

     다음의 텍스트 포맷 명령은 단일 바이트 문자를 사용하는 모든 국제 언어를 지원한다. 이런 명령은 /usr/bin/에 존재한다. 별표(*)로 식별되는 명령은 복수 바이트 언어에 대한 텍스트 처리를 지원한다.

     

    addbib*         hyphen              pic*                  pstext

    checkmm      ibm3812              ps4014             refer*

    checknr*       ibm3816             ps630               roffbib*

    col*               ibm5587G*         psbanne          soelim*

    colcrt             ibm5585H-T*     psdit                 sortbib*

    deroff*           indxbib*             psplot               tbl*

    enscript         lookbib*             psrev                troff*

    eqn*              makedev*          psroff                vgrind

    grap*            neqn*                psrv                  xpreview*

    hplj                nroff*

     

     위 리스트에 없는 텍스트 포맷 명령 및 매크로 패키지로는 국제 문자를 처리할 수 없다.

     

      ▒▒ 확장 단일 바이트 문자 입력 ▒▒

     입력 장치가 유럽 언어 확장 문자 집합의 문자를 지원할 경우, 문자를 직접 입력할 수 있다.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이 문자를 표시하는 다음과 같은 ASCII escape 순서를 사용한다.

     

     \[N] 형식이며, 여기서 N은 문자에 대한 2자리 또는 4자리 16진 코드이다.

    note : NCesc 양식 \▒▒ xx ▒▒은 더 이상 지원되지 않는다.

       

     확장 문자를 표함한 텍스트는 사용중인 언어 포맷 규약에 따라 출력된다. 특정 출력 장치에 대한 인터페이스용으로 정의되지 않은 문자는 출력 또는 오류 표시를 할 수 없다.

     매크로 패키지 및 명령의 이름이 영어에 기반을 두고 있더라도, 대부분의 이름은 유럽 확장 문자 집합의 문자로 된 입력(파일 이름 및 매개변수와 같이)이 가능하다.

     

     nroff 및 troff 명령과 그 프리프로세서의 경우, 명령 입력은 ASCII여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복구 할 수 없는 구문 오류가 발생한다. 단일 또는 복수 바이트의 국제 문자는 인용 부호로 묶고 포맷할 다른 텍스트가 없어야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pic 명령에서 매크로를 사용한다.

     

     define foobar % SomeText %

     

     define 지시문 다음에, 첫 번째 이름인 foobar는 ASCII여야 한다. 그러나 대체 텍스트 SomeText 는 비 ASCII 문자를 표함할 수 있다.

     

      ▒▒ 텍스트 포맷의 복수 바이트 문자 지원 ▒▒

     특정 텍스트 포맷 명령이 다중 바이트 언어로 된 텍스트 처리에 사용될 수 있다. 이런 명령은 위에서 살펴본 -텍스트 형식으로 국제 문자 지원- 아래의 리스트에서 별표(*)로 식별된다. 리스트에 없는 텍스트 포맷 명령은 국제 문자를 처리할 수 없다.

     

      ▒▒ 다중 바이트 문자 입력 ▒▒

     입력 장치가 지원할 경우에는 복수 바이트 문자를 직접 입력할 수 있다.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복수 바이트 문자를 ASCII양식 \[N]으로 입력 할 수 있으며, 여기서 N은 해당 문자에 대한 2, 4, 6, 7 또는 8 자리 16진 문자이다. 매크로 패키지 및 명령의 이름이 영어에 기반을 두고 있을 지라도 대부분의 이름은 모든 유형의 다중 바이트 문자로 된 입력(파일 이름 및 매개변수와 같이)이 가능하다.

     이미 단일 바이트 텍스트에 텍스트 포맷 명령 사용에 익숙할 경우, 다음 리스트는 다중 바이트 포케일에 고유 하거나 주목할 만한 문자를 요약한다.

       텍스트는 하이픈으로 연결되지 않는다.  다중 바이트 숫자 출력에 특수 형식 유형이 필요하다. 일본어 형식 유형을 사용할 수도 있다.  텍스트는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가득차게 수평으로 출력된다.  문자 공간은 일정하기 때문에 문자는 자동으로 열별로 정렬된다.  특정 출력 장치에 대한 인터페이스용으로 정의되지 않은 문자는 출력 또는 오류 표시를 할 수 없다.

     

     

     3-2. 프로세스 개요

     

     실제 컴퓨터에서 수행중인 프로그램이나 명령은 프로세스이다. 프로세스는 상위-하위 계층에 존재한다. 프로그램 또는 명령으로 시작되는 프로세스는 상위 프로세스이다. 서브프로세스는 상위 프로세스의 산출물이다. 상위 프로세스에는 여러 서브프로세스가 있을 수 있지만, 서브프로세스에는 단 하나의 상위만 있을 수 있다.

     

     시작될 때, 시스템은 프로세스 식별 번호(PID 번호)를 각각의 프로세스에 지정한다. 동일한 프로그램을 여러번 시작하면, 프로그램은 매번 서로 다른 PID 번호를 갖게 된다.

     

     프로세스가 시스템에서 시작될 때, 프로세스는 사용 가능한 시스템 자원의 일부를 사용한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스가 수행되는 중에, 운영 시스템에 내장되어 있는 스케줄러가 구축된 우선순위에 따라, 각각의 프로세스에 컴퓨터 시간의 공유를 제공한다. 이들 우선순위는 nice 또는 renice 명령을 사용하여 변경 될 수 있다.

     주: 루트 사용자 권한이 있는 일부 사용자만이 프로세스 우선순위를 보다 높은 프로세스 우선순위로 변경 할 수 있다. 모든 사용자는 nice 명령을 사용하여 시작한 프로세스나 renice 명령을 사용하여 이미 시작한 프로세스의 우선순위를 낮출 수 있다.

     

     3-2-1. 백그라운드 및 포어그라운드 프로세스

     시작 후 사용자와의 상호작용을 필요로 하는 프로세스가 포어그라운드 프로세스이다. 사용자와의 상호작용 없이 수행된 프로세스는 백그라운드 프로세스이다. 프로그램과 명령은 디폴트로 포어그라운드로 수행된다. 백그라운드에서 프로세스를 수행하려면, 앰퍼샌드(&)를 사용자가 프로세스를 시작하는 데 사용한 명령 이름의 끝에 놓아야 한다.

     

     3-2-2. 데몬

     daemon은 무인 수행 프로세스이다. daemon은 항상 백그라운드에 존재하며 언제든지 사용 가능하다. daemon은 일반적으로 시스템이 시작되면 시작되며 시스템이 정지할 때 까지 수행된다. daemon 프로세스가 시스템 서비스를 수행하여 언제든지 하나 이상의 작업이나 사용자를 지원할 수 있다. daemon 프로세스는 루트 사용자나 루트 쉘에 의해 시작되고 루트 사용자에 의해서만 정지될 수 있다.

     

     3-2-3. 좀비 프로세스

     좀비 프로세스는 더 이상 실행할 수는 없지만 프로세스 테이블에 여전히 인식되는 (즉, PID 번호를 갖고 있는) 폐기된 프로세스이다. 좀비 프로세스가 좀비 프로세스에 할당된 다른 시스템 영역을 갖고 있지는 않다. 좀비 프로세스는 종료하였거나 종료되었으며, 상위 프로세스가 종료하거나 시스템이 종료되고 재시작될 때까지 프로세스 테이블에 계속 존재한다. 좀비 프로세스는 ps 명령으로 나열될 때, ▒▒ defunct ▒▒ 로 나타난다.

     

     3-2-4. 프로세스 시작

     사용자가 프로그램 이름이나 명령 이름을 시스템 프롬프트에 입력하여 표시장치에서 포어그라운드 프로세스를 시작한다. 일단 포어 그라운드 프로세스가 시작되었으면, 프로세스는 완료될 때까지 사용자의 표시장치에서 사용자와 대화한다. 이는 프로세스가 종료 되었거나 사용자가 프로세스를 정지시킬 때까지는 표시장치에 다른 상호작용(예를 들어, 다른 명령 입력)이 발생할 수 없다는 의이미다.

     

    ▒▒ 포어그라운드에서 프로세스 시작 ▒▒

     포어그라운드에서 프로세스를 수행하려면 다음과 같이 해당 매개변수 및 플래그와 함께 명령 이름을 입력한다.

     

     $CommandName

     

    ▒▒ 백그라운드에서 프로세스 시작 ▒▒

     백그라운드에서 프로세스를 수행하려면 모든 해당 매개변수 및 플래그와 함께 명령 이름을 입력한 후 앰퍼샌트(&)를 입력하고, Enter를 누른다.

     

     $CommandName &

     

     프로세스가 백그라운드에서 수행중이면, 표시장치에 다른 명령을 입력하여 추가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백그라운드 프로세스는 수행하는데 시간이 오래 걸리는 명령에 매우 유용하다. 그러나, 이들은 프로세서가 수행하고 있는 총 작업량을 증가시키기 때문에 결국 백그라운드 프로세스도 시스템을 느리게 할 수 있다.

     

     대부분의 프로세스가 백그라운드로 수행 될 때도 이들의 출력을 표준 출력으로 지정한다. 재지정되지 않으면, 표준 출력이 표시장치로 이동한다. 백그라운드 프로세스로 인한 출력이 시스템에서 사용자의 다른 작업을 방해할 수 있으므로 일반적으로 백그라운드 프로세스의 출력을 파일이나 프린터로 재지정 하는 것이 좋다.

    note : 특정 환경에서는, 프로세스가 포어그라운드에서 수행될 때와 백그라운드에서 수행될 때 서로 다른 순서로 출력을 작성할 수도 있다. fflush 서브루틴을 사용하면 프로세스가 포어그라운드 또는 백그라운드에서 수행되는지 여부에 상관없이 올바른 출력을 얻을 수 있다.

      

     백그라운드 프로세스가 수행중인 동안에 ps 명령을 사용하여 명령의 상태를 검사할 수 있다.

     

     

     3-2-5. 프로세스 검사

     어느 때고 시스템이 수행중이면, 몇 개의 프로세스도 수행중이다. ps 명령을 사용하여 어떤 프로세스가 수행 중인지 알아보고 해당 프로세스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 ps 명령 ▒▒

     ps 명령은 어떤 프로세스를 나열할지 그리고 각각의 프로세스에 어떤 정보를 표시할지 지정하는 몇 개의 플래그를 갖고 있다.

     시스템에서 수행중인 모든 프로세스를 표시하려면 프롬프트에서 다음과 같이 입력한다.

     

     $ps -ef

     

     시스템은 다음과 유사한 정보를 표시할 것이다.

     

    USER    PID    PPID    C       STIME        TTY     TIME    CMD

    root          1          0    0       Jun 28           -       3:23     /etc/init

    root     1588    6963    0        Jun 28           -      0:02     /usr/etc/biod 6

    root     2280         1    0        Jun 28           -      1:39     /etc/syncd 60

    mary   2413  16998    2      07:57:30          -       0:05     aixterm

    mary 11632  16998    0      07:57:31          lft/1    0:01     xbiff

    mary 16260    2413    1     07:57:35        pts/1    0:00     /bin/ksh

    mary 16469          1   0     07:57:12           lft/1   0:00     ksh /usr/lpp/X11/bin/xinit

    mary 19402   16260 20      09:37:21        pts/1   0:00     ps -ef

    ...

    ...

     

     위 열의 표제는 다음과 같다.

     

     USER     사용자 로그인 이름

     PID         프로세스 ID

     C            프로세스의 CPU 활용

     STIME    프로세스의 시작 시간

     TTY        프로세스를 제어하는 워크스테이션

     TIME       프로세스의 총 실행 시간

     CMD       실행 명령

     

     위의 예에서, ps -ef 명령의 프로세스 ID는 19402이다. 상위 프로세스 ID는 16260 이고, /bin/ksh에서 수행되었다.

     

     시스템에서 수행중인 모든 프로세스의 상태를 표시하려면 다음 표와 같이 실행한다.

     

    $ps gv

       PID    TTY STAT  TIME PGIN  SIZE   RSS   LIM  TSIZ   TRS %CPU %MEM COMMAND

         0      - A    10:30    7   268  7784    xx     0  7528  0.0  6.0 swapper

         1      - A     1:41  203   964   620 32768    26    36  0.0  0.0 /etc/init

       516      - A    35971:47    0   264  7772    xx     0  7528 99.1  6.0 kproc

       774      - A     0:52    6   272  7784    xx     0  7528  0.0  6.0 kproc

      1032      - A    117:52    0   320  7820    xx     0  7528  0.3  6.0 kproc

      1290      - A     0:05    0   272  7796    xx     0  7528  0.0  6.0 kproc

      2142      - A     2:32  104   744   764    xx   102   104  0.0  1.0 /usr/dt/b

      2332      - A     0:00    0   272  7780    xx     0  7528  0.0  6.0 kproc

      2884      - A    61:12  782   392   300    xx     2     4  0.2  0.0 /usr/sbin

      3252      - A     0:00    0   616   888 32768   314   188  0.0  1.0 telnetd -

      3442  pts/2 A     0:00    1   380   668 32768   202   240  0.0  1.0 -ksh

      3810  pts/1 A     0:00    0   368   652 32768   202   240  0.0  1.0 -ksh

      4410      - A     0:00   74   716   512    xx    55    40  0.0  0.0 /usr/lib/

      4924      - A     0:00   85   584   424 32768    37    12  0.0  0.0 /usr/sbin

      5260      - A     0:27  115   592   528 32768    30    32  0.0  0.0 /usr/sbin

      5448      - A     0:00  128   908   644 32768    32    36  0.0  1.0 /usr/sbin

      5972      - A     0:21  182   572   376 32768    25    20  0.0  0.0 /usr/sbin

      6192      - A     0:00   38   604   428 32768    25    16  0.0  0.0 /usr/sbin

     ...

     ...

     ▒▒ 중략 ▒▒

    $

     

     위와 같이 각각의 활성중인 프로세스에 대한 많은 통계 수치를 나열하여 볼 수 있다.

     

     프로세스의 상태를 확인 하는 명령에는 이 외에도 smit 툴을 이용할 수도 있다. smit process 또는 smit monitors 명령을 입력하여 확인 해 볼 수 있다.

     

     

     3-2-6. 프로세스 관련 유용한 명령어

    ▒▒ 프로세스의 초기 우선순위 설정 ▒▒

     nice 명령으로 프로세스를 시작하여 프로세스의 초기 우선순위를 기본 시케줄링 우선순위 보다 낮은 값으로 설정 할 수 있다.

    주: 높은 우선순위에서 프로세스를 수행하려면 사용자는 루트 사용자 권한을 갖고 있어야 한다.

     

     프로세스의 초기 우선순위를 설정하려면 다음과 같이 입력한다.

     

     $nice -n Number CommandString

     

     여기서, Number는 0에서 39까지의 범위이며, 39가 가장 낮은 우선순위이다. 번호가 클수록 우선 순위는 낮아진다. 0을 사용하면, 프로세스는 기본 스케줄링 우선순위에서 수행된다. CommandString은 사용자가 수행하려는 명령, 플래그 및 매개변수 이다.

     이 명령은 smit nice 명령을 통해서도 가능하다.

     

    ▒▒ 수행중인 프로세스의 우선순위 변경 ▒▒

     명령행에서 renice 명령을 사용하여, 수행 중인 프로세스의 스케줄링 우선순위를 기본 시케줄링 우선순위보다 높거나 낮은 값으로 변경할 수 있다. 이 명령이 프로세스의 nice 값을 변경한다.

    note : 높은 우선순위에서 프로세스를 수행하거나 사용자가 시작하지 않은 프로세스의 우선순위를 변경하려면, 사용자는 루트 사용자 권한을 갖고 있어야 한다.

     

     수행중인 프로세스의 초기 우선 순위를 변경하려면, 다음과 같이 입력한다.

     

     $renice Priority -p processID

     

     여기서, Priority는 -20에서 20 까지의 범위의 수이다. 번호가 클수록 우선순위는 낮아진다. 0을 사용하면 프로세스는 기본 스케줄링 우선순위에서 수행된다. ProcessID는 사용자가 우선순위를 변경하려는 PID이다.

     

    ▒▒ 포어그라운드 프로세스 취소 ▒▒

     사용자가 포어그라운드 프로세스를 시작한 다음에 포어 그라운드 프로세스를 완료시키지 않기로 결정하면, INTERRUPT를 눌러서 이를 취소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Ctrl+C 또는 Ctrl+backspace 이다.

    note : INTERRUPT(Ctrl+C)는 백그라운드 프로세스를 취소하지 않는다. 백그라운드 프로세스를 취소하려면 kill 명령을 사용해야 한다.

     대부분의 간단한 명령들은 사용자가 명령을 취소할 시간을 갖기 전에 너무 빨리 수행되어 종료되기 때문에, 프로세스를 취소할 방법을 설명하는데 있어 좋은 예가 되지 못한다. 따라서 이 절의 예에서는 수행 시간이 몇 초 이상 되는 find / -type f 명령을 사용할 것이다. 이 명령은 사용자 시스템에 있는 모든 파일의 경로 이름을 표시한다.

     

     다음 예에서, find 명령은 프로세스를 시작한다. 프로세스를 수 초 동안 수행한 후, 사용자는 INTERRUPT 키를 눌러 프로세스를 취소할 수 있다.

     

    $find / -type f

    /var/adm/ras/codepoint.cat

    /var/adm/ras/errtmplt

    /var/adm/ras/bootlog

    /var/adm/ras/devinst.log

    /var/adm/ras/bosinst.data

    /var/adm/ras/bosinstlog

    /var/adm/ras/BosMenus.log

    /var/adm/ras/image.data

    /var/adm/ras/conslog

    /var/adm/ras/errlog

    /var/adm/ras/diag_log

    ^C$

     

     

     위의 예에서 ^C는 INTERRUP(Ctrl+C)를 의미한다.

     

    ▒▒ 포어그라운드 프로세스 정지 ▒▒

     프로세스를 정지시클 수는 있지만 프로세스 테이블에서 제거된 프로세스 ID를 갖지는 못한다. 키보드에서 Ctrl+Z로 포어그라운드 프로세스를 정지할 수 있다.

    note : Ctrl+Z는 Korn 쉘(ksh) 및 C 쉘(csh)에서는 작동하지만, Boune 쉘(bsh)에서는 작동하지 않는다.

     

    ▒▒ 정지된 프로세스 재시작 ▒▒

     사용자 시스템에 수행중이거나 정지되었지만 종료하지 않은 모든 프로세스를 표시하려면 "ps -ef"를 사용하여 가능하였다. 이 명령으로 사용자는 재시작하려는 프로세스를 찾고 프로세스 PID 번호를 확인해야 한다. 프로세스 PID를 확인 하였다면 다음 명령으로 CONTINUE 신호를 프로세스로 전송한다.

     

     $kill -19 PIDNumber

     

     이 명령은 백그라운드에서 프로세스를 재시작한다. 프로세스를 포어그라운드로 수행해야 할 경우 사용자는 다음 명령을 사용한다.

     

     $fg PIDNumber

     

     

    ▒▒ 이후 조작을 위한 프로세스 스케줄 ▒▒

     스케줄된 시간에 백그라운드에서 수행하려면 프로세스를 일괄처리 프로세스로 설정해야 한다. at 및 smit 명령을 통해 사용자는 나주에 수행될 명령 이름을 입력할 수 있고, 명령이 언제 수행될 지를 지정할 수 있다.

    note : /var/adm/cron/at.allow 및 /var/adm/cron/at.deny 파일에서 사용자가 at 명령을 사용할 수 있는지 여부를 제어한다. 루트 사용자 권한이 있는 사용자가 이들 파일을 작성, 편집 또는 삭제할 수 있다. 이 파일의 입력사항은 로그인 이름이 한 행에 하나씩 있다.

     

     at.allow 파일이 있을 경우, 파일에 로그인 이름으로 표시된 사용자만이 at 명령을 사용할 수 있다. 시스템 관리자가 at.deny파일에 사용자의 로그인 이름을 나열하여 사용자의 at 명령 사용을 명시적으로 중지시킬 수 있다. at.deny 파일만 있을 경우, 이름이 파일에 나타나지 않는 사용자는 at 명령을 사용할 수 있다.

     

     다음중 하나가 참이면 at 명령을 사용할 수 없다.

       at.allow 파일과 at.deny 파일이 없다.(루트사용자만 허용한다)  at.allow 파일은 있지만 파일에 사용자 로그인 이름이 나열되지 않은 경우  at deny 파일이 있고 파일에 사용자의 로그인 이름이 나열된 경우

     

     at.allow 파일이 없고 at.deny 파일은 없거나 공백인 경우, 루트 사용자 권한이 있는 사용자만 at 명령으로 작업을 실행 할 수 있다.

     

     at 명령 구문을 통해 사용자는 프로세스를 수행하려는 날짜 문자열, 시간과 요일 문자열 또는 증분 문자열을 지정할 수 있다. 어떤 쉘이나 대기행렬을 사용할지 지정할 수도 있다.

     

     자세한 구문은 명령어 사전을 찾아보기 바란다.

     

     

    ▒▒ 모든 스케줄된 프로세스 나열 ▒▒

     at 명령의 -l 플래그나 atq 명령으로 스케줄된 모든 프로세스를 나열할 수 있다. 두 개의 명령이 동일한 출력을 제공하지만, atq명령은 at 명령이 실행되었던 시간순으로 프로세스를 나열할 수 있고 대기행렬에 있는 프로세스의 수만을 표시할 수 있다.

     프롬프트에서 다음을 입력하여 확인 할 수 있다.

     

     $at -l

     

     이 명령은 사용자의 대기행령에 스케줄된 모든 프로세스를 나열한다. 사용자가 루트 사용자일 경우, 이 명령은 모든 사용자를 위해 스케줄된 모든 프로세스를 나열한다.

     

     $atq

     

     위 명령은 대기행렬에 스케줄된 모든 프로세스를 나열한다. 사용자가 루트 사용자일 경우, 사용자는 다음과 같이 입력하여 특정 사용자의 대기행렬에 스케줄된 프로세스를 나열 할 수 있다.

     

     $atq UserName

     

     대기 행렬에 스케줄된 프로세스의 수를 나열하려면 다음을 입력한다.

     

     $atq -n

     

     

    ▒▒ 프로세스를 스케줄에서 제거 ▒▒

     at 명령에서 -r 플래그를 사용하여, 스케줄된 프로세스를 제거할 수 있다. 명령행에서 스케줄된 프로세스를 제거하려면, 프로세스 번호를 알아야 한다. at -l 명령이나 atq 명령을 사용하여 프로세스 번호를 알 수 있다. 프로세스번호를 확인 하였으면 다음과 같이 실행한다.

     

     $at -r ProcessNumber

     

     이 작업은 smit rmat 명령을 통해서도 가능하다.

     

     

    ▒▒ 백그라운드 프로세스 제거 ▒▒

     INTERRUPT가 사용자의 포어그라운드 프로세스를 정지시키지 못하거나 백그라운드 프로세스를 시작한 후에 프로세스를 완료하지 않기로 결정했을 경우, kill 명령으로 프로세스를 취소할 수 있다.  kill 명령을 사용하여 프로세스를 취소하려면, 사용자가 PID 번호를 알아야 한다. 다음은 kill 명령의 일반 형식이다.

     

     $kill ProcessID

    note : 프로세스를 제거하려면, 사용자는 루트 사용자 권한이 있어야 하거나 프로세스를 시작한 사용자여야 한다. kill 명령에서 프로세스에 대한 디폴트 신호는 -15(SIGTERM)이다.

     

     

     

     3-3. SMIT (System Management Interface Tools)

     

     3-3-1. SMIT 의 개요

     

     SMIT는 시스템 관리 작업을 단순화 시키기 위해 고안된 대화식 인터페이스 프로그램으로, AIX에서는 SMIT를 통하여 대부분의 시스템 관리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

     smit 명령은 다른 명령 수행에 사용할 수 있는 하나의 도구이다. smit 명령의 매개 변수로 명령 이름을 입력하면 해당 명령에 대한 서브 메뉴 또는 패널로 이동 된다. 예를 들어 smit lsuser를 입력하면 시스템에서 사용자의 속성을 나열하는 모든 사용자 리스트로 직접 이동한다.

     SMIT는 메뉴를 계층적으로 표시한다. SMIT양식에서 정보를 입력하게 되면, SMIT는 그 정보를 이용하여 작업을 수행하기위한 명령파일을 작성한다. 여기서 사용된 명령들과 명령에 따라 display된 정보들은 로그파일로 남게 된다.

     SMIT는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사용의 용이성 -- SMIT는 작성할 명령에 대한 해당정보를 신속하게 수집하기 위해 메뉴, 대화양식, 기능키 등을 사용한다.

       *강력한 기능 -- SMIT에는 거의모든 시스템 관리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기능키 --SMIT는 간단하면서 유연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사용한다.

     

     3-3-2. SMIT의 사용 및 호출

     SMIT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프롬프트상에서 'smit'를 입력하기만 하면 된다. Xwindows 상에서 SMIT를 사용한다면 다음과 같은 두가지 모드로 사용 가능하다.

      *프롬프트상에서 smit 입력 -- HFT(High Function Terminal)에서 Xwindow를 사용시에 마우스 클릭만으로 메뉴이동이 가능한 윈도우 모드를 사용한다.

      *프롬프트상에서 smitty 입력 -- TTY 사용시나 HFT사용시에 같은 창에서 키보드 만으로 설정이 가능한 TEXT모드의 메뉴를 제공한다.

      AIX4.3 버전에서 기본 메뉴는 다음과 같인 나타난다.

     

                                           System Management

     

    Move cursor to desired item and press Enter.

     

      Software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Software License Management

      Devices

      System Storage Management (Physical & Logical Storage)

      Security & Users

      Communications Applications and Services

      Print Spooling

      Problem Determination

      Performance & Resource Scheduling

      System Environments

      Processes & Subsystems

      Applications

      Using SMIT (information only)

     

     

     

    F1=Help             F2=Refresh        F3=Cancel           F8=Image

    F9=Shell            F10=Exit            Enter=Do

     

     위와 같이 메뉴의 상단에는 top_menu가 자리한다. 그리고 아래 세부메뉴가 나온다. 맨아래 는 사용가능한 기능키들이 나오게 된다. 예를 들면 "F3"을 누르면 전 메뉴로 이동하고, "F10"을 누르면 위 화면에서 완전히 빠져나와 프롬프트 화면으로 나오게 된다. 자세한 도움말을 보고 싶다면 "F1"을 입력하면 된다.

     - SMIT는 세부메뉴로 바로 갈 수 있는 FastPath를 지원하는데, 예를 들면  시스템백업메뉴로 바로 가고 싶다면 다음과 같이 입력하면 된다.

     

     #smit mksysb   or   #smitty mksysb

     

     - SMIT에서는 각 설정메뉴의  필드 마다 사용유형을 구분 해놓은 기호가 붙어 있는 경우가 있다. 각 기호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

    괄호안에 입력할 수 있음.

    ▒▒ , ▒▒

    왼쪽이나 오른쪽에 내용이 더 있음.

    *

    값이 필요함. 필수 입력코드임.

    #

    숫자가 필요함.

    X

    16진 숫자가 필요함.

    /

    파일명이나, 경로명이 필요함.

    +

    옵션리스트가 있음.

     SMIT 메뉴중에는 옵션링(Option Ring)이라는 화면의 오른쪽에 다른 패널이 있는 경우가 있는데, 표시는 "+"로 나타나있다. 해당 항목에서 "F4"를 눌러 List를 열람하고, 선택할 수 있다. 필드값 변경은 "Tap" 키를 이용하여도 가능하다.

     - SMIT에서 모든 명령의 실행은 "Enter" 키를 사용한다. 명령이 수행되고, 완료되면 화면의 좌측 상단 Command 부분에 "OK" 또는 "Failed" 라는 메시지가 떨어지게 된다.

     

     3-3-3. SMIT로 작성된 파일

     - smit.log

     SMIT는 SMIT에서 행한 모든 것에 한 로그를 남긴다. 이 레코드의 파일명은 default로 smit.log 라는 이름을 갖지만, smit -l 옵션으로 파일명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mysmit.log로 바꾸고 싶다면 다음과 같이 입력하면 된다.

     

     #smit -l mysmit.log

     

     SMIT 로그파일에는 다음과 같은 정보를 담고 있다.

       *SMIT를 실행한 시간

       *실행된 메뉴의 단축경로

       *실제로 실행했는지 여부

       *실행된 결과

       ▒▒ 그림 ▒▒실제 smit.log 파일 형식

    [Feb 17 2003, 11:45:36]

        Starting SMIT

     

    (Menu screen selected as FastPath,

            id          = "top_menu",

            id_seq_num  = "050",

            next_id     = "commo",

            title       = "Communications Applications and Services".)

     

    (Menu screen selected,

            FastPath    = "commo",

            id_seq_num  = "050",

            next_id     = "commo",

            title       = "Communications Applications and Services".)

     

     

    [Feb 17 2003, 11:45:38]

        Exiting SMIT

     

     

    [Feb 17 2003, 12:26:57]

        Starting SMIT

     바로전에 언급한 SMIT 기능키중에는 F8=image 라는 것이 있다. 이는 지금 화면에 나온 그대로를 smit.log 파일에 그대로 옮겨 놓는 거와 같은 기능이다.

     - smit.script

     smit.script 파일은 smit가 수행한 실제 명령에대한 기록이다.레코드에는 다음과 같은 정보가 들어있다.

       * 명령이 수행된 시간

       * 모든옵션과 함께 수행된 실제 명령

     smit.script파일에 실행 퍼미션을 주어 실행하게되면 실제 smit를 통한 명령과 똑같은 수행을 하게된다.

     smit.log와 smit.script 파일은 각각 사용자의 홈 디렉토리에 위치해 있다.

     

     3-3-4. SMIT의 작업

     SMIT의 top_menu에서 각 항목의 기능은 다음과 같다.

      * Software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 프로그램 제품 선택 설치, 소프트웨어 필수 파일 데이터 확인, 향후 설치를 위한 백업작업, 프로그램 제품 선택 화면표시, 이상 파일셋의 제거, 시스템 유지보수 모드 설정 등.

      * Software License Management  --- 시스템의 라이선스에 관한 설정 및 표시

      * Devices  --- 장치 추가 및 변경, 제거, 표시

      * System Storage Management (Physical & Logical Storage)  --- 저널된 파일시스템, CDROM 파일시스템과 페이징 스페이스를 추가 변경, 삭제,표시. 파일시스템의 마운트와 언마운트, 파일시스템의 백업 및 복구 와 검증, 네트워크 파일시스템(NFS)과 네트워크정보시스템(NIS)에 대한 작업, 논리적 볼륨의 관리.

      * Security & Users  --- 사용자와 그룹의 추가와 설정, 제거, 표시.

      * Communications Applications and Services  --- TCP/IP, NFS, SNA 등의 통신 적용 업무에 대한 구성과 관리 작업.

      * Print Spooling  --- 인쇄작업의 시작과 , 취소, 상태표시, 인쇄작업이외의 큐(queue)처리, 큐와 큐장치 등과 가상인쇄기 등을 포함하는 국지 인쇄기 부속시스템을 구성, 큐와 큐장치 가상인쇄기등을 포함하는 네트웤 인쇄기의 부속 시스템을 구성.

      * Problem Determination  --- 시스템 오류 로그의 분석, 추적 데몬(Daemon)의 시작과 정지 그리고 결과표시, 시스템 이상 분석, 시스템 하드웨어 진단 분석.

      * Performance & Resource Scheduling  --- 시스템 실행시간 레벨설정, 선택된 시스템 활동 보고서 표시, 일괄 처리 작업 대기행렬 넣기.

      * System Environments  --- 컴퓨터를 끄거나 잠시 중단, 시스템의 시간설정, 시스템 매개변수의 구성설정, 키보드와 사용자 언어 환경등의 구성설정.

      * Processes & Subsystems  --- 현재 실행중인 작업 확인과 작업정지, 서브시스템의 사용과 정지, 프로세스와 프로세서간의 바인드와 언 바인드 등.

      * Applications  --- SMIT를 이용하여 관리하고 싶은 어플리케이션의 추가.

      * Using SMIT (information only)  --- SMIT의 사용에 대한 상세한 도움말.

     

     

     

    제 4 장 I/O redirect

     

     

     4-1. 표준 입력, 표준 출력 및 표준 오류

     

     명령이 수행을 시작할 때, 명령은 일반적으로 세 개의 파일이 표준 입력, 표준출력 및 표준 오류(종종 오류 출력이나 진단 출력으로 불린다)가 이미 열려있을 거라고 예상한다. 파일 설명자인 수는 이들 각각의 파일과 다음과 같이 연관된다.

     

    파일설명자 0     -- ▒▒ 표준 입력

    파일설명자 1     -- ▒▒ 표준 출력

    파일설명자 2     -- ▒▒ 표준 오류(진단) 출력

     

     서브 프로세스가 정상적으로 상위 프로세스에서 이들 파일을 상속한다. 세 개의 파일이 모두 워크스테이션(키보드에 0, 표시장치에 1과 2)에 최초로 지정된다. 제어가 명령에 전달되기 전에 쉘은 이 파일들이 어느 위치로든 재지정되도록 허용한다.

     명령을 입력할 때 파일 이름을 지정하지 않으면, 키보드가 표준 입력이며, 때로 stdin 이라 선언된다. 명령이 종료되면 결과가 화면에 표시된다.

     화면은 표준 출력이며, 때로 stdout 으로 선언된다. 기본으로 명령이 표준 입력에서 입력을 취하여 표준 출력으로 결과를 전송한다.

     때로 stderr 이라 선언되는 표준 오류에 오류 메시지가 들어간다. 기본으로 표준 오류는 사용자의 화면이 된다.

     이들 입출력의 조치는 변경할 수 있고, 파일을 입력으로 사용하고 명령의 결과를 파일에 기록하게 된다. 이를 I/O redirect 라 하며 이는 UNIX 운영시스템의 강력한 특징중의 하나이다.

     터미널로 정상적으로 이동한 명령의 출력을 화면 대신 파일에 쉽게 재지정 할 수 있다. 이는 출력 재지정이라하고 이는 사용자가 화면에서 읽기 어려운 많은 양의 출력을 갖고 있을 때나 파일들을 종합하여 좀더 큰 파일로 만들고 싶을 때 유용하게 쓰인다.

     출력 재지정 만큼 사용되ㅐ지 않더라도 정상적으로 키보드에서 행하는 명령에 대한 입력을 파일에도 가능하도록 재지정할 수도 있다. 이는 입력 방향 재지정이라고 한다. 입력 방향 재지정을 통해 사용자는 파일을 미리 준비하여 명령에서 그 파일을 읽도록 할 수 있다.

     

     

     4-1-1. 표준 입출력 재지정

     " ▒▒filename" 표기가 명령의 끝에 추가되면, 명령의 출력은 지정된 파일 이름에 기록된다. " ▒▒" 기호는 출력 재지정 연산자라고 한다.

     

      ▒▒ 출력을 파일로 재지정 ▒▒

     예를 들어, who 명령의 결과를 users 라는 파일에 전송하려면 다음과 같이 입력한다.

     

     $who ▒▒ users

    note :파일 users가 이미 존재한다면, set 내장 Ksh(Korn 쉘) 또는 csh(C쉘) 명령의 noclobber 옵션을 지정하지 않으면 겹쳐 쓰여진다.

     

     users 파일의 내용을 보려면 다음과 같이 입력한다.

     

     $cat users

     

    ▒▒ 출력 재지정 및 파일에 추가 ▒▒

     " ▒▒ ▒▒ filename" 표기를 명령 끝에 추가하면, 명령의 출력이 기존 데이터 위에 쓰여지지 않고 지정된 파일 이름에 추가가 된다. " ▒▒ ▒▒" 기호를 추가 재지정 연산자라 한다.

     

     예를 들어, file2를 file1에 추가하려면 다음과 같이 입력한다.

     

     $cat file2 ▒▒ ▒▒ file1

     

      주:파일 file1이 없으면, set 내장 ksh(Korn 쉘) 또는 csh(C 쉘) 명령의 noclobber 옵션을 지정하지 않는 한 파일은 새로 작성된다.

     

      ▒▒ 키보드에서 재지정하여 택스트 파일 작성 ▒▒

     단독으로 사용될 경우, cat 명령은 키보드에서 입력한 대로 받아들인다. 이 입력을 파일에 재지정할 수도 있다. 이 경우 Ctrl + D를 입력하여 텍스트의 끝임을 신호한다.

     

     $cat ▒▒ filename

     file message or text

     ^D

     

     

      ▒▒ 텍스트 파일 병합 ▒▒

     여러 파일을 연결하여 하나의 파일로 만드는 것을 병합이라고 한다.

     예를 들어, 시스템 프롬프트에서 다음과 같이 입력한다.

     

     $cat file1 file2 file3 ▒▒ file4

     

     위의 예에서는 지정된 순서대로 추가된 file1, file2, 및 file3로 구성된 file4를 작성한다.

     

     

     ▒▒ 표준 입력 방향 재지정 ▒▒

     ▒▒ filename 표기가 명령의 끝에 추가될 때, 명령의 입력은 지정된 파일 이름에서 읽혀진다 ▒▒ 기호는 입력 방향 재지정 연산자이다.

     

    note :정상적으로 키보드로부터 입력을 수용한 명령만이 입력을 재지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mail 명령을 사용하여 사용자 user1에게 text1 파일을 메시지로 전송하려면 다음과 같이 입력한다

     

     $mail user1 ▒▒ text1

     

     

      ▒▒ /dev/null 파일로 출력 폐기 ▒▒

     /dev/null 파일은 특수파일이다. 이 파일은 고유한 특성을 갖고 있다. 즉 항상 비어있다. 사용자가 /dev/null로 전송한 데이터를 폐기하는 용도로 쓰이고 이 특징은 사용자가 무시하려는 출력을 작성하는 명령이나 프로그램을 수행할 때 매우 유용하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화면에서 입력을 승인한 myprog 프로그램이 있는데 이 프로그램에서 수행중에 무시할 만한 메시지를 생성하였다. myscript 파일에서 입력을 읽고 표준 출력 메시지를 폐기하려면 다음과 같이 입력한다.

     

     $myprog ▒▒ myscript ▒▒ /dev/null

     

     위의 예에서 myprog는 myscript 파일을 입력으로 사용하고 모든 표준 출력을 폐기한다.

     

     

     4-1-3. 표준 오류 및 기타 출력 재지정

     표준 입출력 외에도, 명령은 진단 출력으로 알려진 오류 메시지나 상태 메시지와 같은 기타 출력 유형을 작성한다. 표준 출력과 마찬가지로, 표준 오류 출력은 재지정되지 않을 경우에는 화면에 기록된다.

     표준 오류나 기타 출력을 재지정하려면, 파일 설명자를 사용해야 한다. 파일 설명자가 표준 입력과 표준 출력 재지정에 지정될 수도 있지만 이미 디폴트 값이 있다.

     파일 설명자란 명령이 처음에 사용한 각각의 I/O파일과 연관되어 있는 번호이다. 다음 번호가 표준 입력, 출력 및 오류와 연관이 있다.

     

       0              표준입력(키보드)

       1              표준출력(표시장치)

       2              표준오류(표시장치)

     

     표준 오류 출력을 재지정하기 위해 파일 설명자 번호 2를 출력 앞에 입력하거나 재지정 기호( ▒▒ 또는 ▒▒ ▒▒) 그리고 파일 이름을 기호 다음에 추가해야 한다. 예를들어, 다음 명령은 testfile.c 컴파일에 사용되는 cc 명령에서 표준 오류 출력을 읽어 Error 파일 끝에 추가하게 된다.

     

      $cc testfile.c 2 ▒▒ ▒▒ Error

     

     파일 설명자 0에서 9사이의 번호를 사용하여 다른 출력 유형을 재지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cmd 명령이 출력을 파일 설명자 9에 기록하면, 다음과 같은 명령으로 그 출력을 savedata 파일로 재지정할 수 있다.

     

      $cmd 9 ▒▒ savedata

     

     명령이 하나 이상의 출력을 기록하면, 각각의 출력을 별도로 재지정할 수 있다. 명령이 표준 출력을 파일 설명자 1에 지정하며 표준 오류 출력은 파일 설명자2에 지정하고 데이터 파일은 파일 설명자9에서 구축한다고 가정한다. 다음의 명령행은 이들의 각각의 출력을 서로 다른 파일로 재지정한다.

     $command ▒▒ standard 2 ▒▒ error 9 ▒▒ data

     

     

     4-1-4. 인라인 입력 문서

     명령의 양식은 다음과 같다.

     

     $command ▒▒ ▒▒ eofstring

     

     패턴 대응 문자를 포함하지 않은 임의의 문자열 eofstring에서, 쉘은 eofstring(하나 이상의 탭 문자 다음에 오는)으로만 이루어진 행을 읽을 때까지는 후속 행을 표준 입력으로 간주한다. 최초 eofstring과 두 번째 eofstring 사이의 행은 인라인 입력 또는 here 문서로 간주된다.  하이픈(-)이 ▒▒ ▒▒ 재지정 문자 바로 뒤에 있을 경우, 쉘은 명령에 행을 전달하기 전에 here 문서의 각 행에서 선행 탭 문자를 제거한다.

     쉘이 문서를 포함하는 임의의 파일을 작성하고 파일을 명령에 전달하기 전의 내용으로 변수와 명령 대체를 수행 한다. 명령 대체에서 명령행의 일부인 파일 이름으로 패턴 대응을 수행한다. 모든 대체를 금지하려면, eofstring의 임의의 문자를 다음과 같이 인용해야 한다.

     

     $command ▒▒ ▒▒ \eofstring

     

     here 문서는 입력 데이터의 양이 적어서 별도의 파일에(예를 들어, 편집기 스크립트) 보관하기 보다는 쉘 프로시저에 두는 것이 더 편리한 경우에 데이터에 특히 유용하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입력할 수도 있다.

     

     $cat ▒▒ ▒▒ - xyz

           This message will be shown on the

            display with leading tabs removed.

            xyz

     

     이 특징은 쉘 프로시저에 매우 유용하다.

     

     4-1-5. 파이프 및 필터

     UNIX를  통해 하나의 명령 표준 출력을 다른 명령의 표준 입력으로 사용하여 두 개 이상의 명령을 연결할 수 있다. 이런 방법으로 연결된 명령의 집합이 파이프라인이다. 명령을 결합하는 연결이 파이프이다. 파이프는 한가지 목적의 많은 명령들을 강력한 하나의 명령으로 결합할 수 있게 하는 UNIX의 중요한 또 한가지 기능이다.

     파이프라인을 통해 하나의 명령에서 출력을 지정하여 다른 명령의 입력으로 사용할 수 있다. 명령은 파이프(|) 기호를 통해 연결된다.

     필터란 명령이 다른 명령의 입력을 받아들인 다음 수정하여 입력의 결과를 표준 출력으로 전송하는 것이다. 필터는 단독으로 사용될 수 있지만 파이프라인 으로 사용하는 것이 매우 유용하다. 가장 일반적인 필터는 다음과 같다.

     

    * sort

    * more

    * pg

     

     예를 들어, sl 명령이 현재 디렉토리의 내용을 하나의 스크롤링 데이터 스트림의 화면에 기록한다. 하나 이상의 화면 정보가 표시될 때, 일부 데이터는 넘어가서 볼 수 없다. 출력을 제어해서 내용을 한 화면씩 화면에 표시하려면 파이프라인을 사용하여 ls명령의 출력을 pg 명령에 지정할 수 있고 이 명령은 다음 예에서 보여주는대로 화면의 출력 양식을 제어한다.

     

     $ls |pg

     

     이 예에서, ls 명령의 출력은 pg 명령의 입력으로 간주된다.

     파이프라인은 한 방향으로만 조작된다.(왼쪽에서 오른쪽으로). 파이프라인에서 각각의 명령들은 별도의 프로세스로 수행되며 모든 프로세스는 동시에 수행된다. 읽을 입력이 없거나 다음 프로세스에 파이프가 가득차 있으면 프로세스는 일시 정지한다.

     다음은 grep명령을 사용한 파이프의 또다른 예이다.  grep이 특정한 패턴의 문자열을 포함하고 있는 행을 찾기 위해 파일을 탐색한다. 7월에 작성하였거나 수정한 모든 파일을 표시하려면, 다음과 같이 입력한다.

     

     $ls -l |grep Jul

     

     이 예에서, ls 명령의 출력은 grep 명령의 입력으로 간주된다.

     

     

     4-2. 관련 명령어

     

     4-2-1. 프로그램 출력을 표시 및 파일에 복사

     파이프와 함께 사용된 tee 명령이 표준 입력을 읽은 다음에 프로그램의 출력을 표준 출력에 기록하며 동시에 이를 지정된 파일이나 파일들로 복사한다. 사용자는 출력을 즉시 열람할 수 있고 동시에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시에 명령으로부터 출력을 보고 저장하려면 다음과 같이 입력한다.

     

     $ps -ef |tee program.ps

     

     이렇게 하면, ps -ef 명령의 표준 출력을 워크스테이션에 표시함과 동시에 program.ps 파일에 표준 출력의 사본을 저장한다. program.ps 파일은 이미 있는데 내장 set 명령의 noclobber 옵션이 지정되어 있지 않으면, 파일은 삭제되고 대체 된다.

     예를 들어, 명령의 출력을 열람하고 기존의 파일에 저장하려면, 다음과 같이 입력한다.

     

     $ls -l |tee -a program.ls

     

     이렇게 하면 ls -l 의 표준 출력이 워크스테이션에 표시됨과 동시에 program.ls 의 끝에 표준 출력의 사본이 추가된다. program.ls 파일은 없고 내장 set 명령의 noclobber 옵션이 지정되어 있지 않으면, 파일이 작성된다.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정보를 표시하며, program.ls 파일에 동일한 정보가 들어간다.

     

    -rw-rw-rw- 1 jones staff 2301 Sep 19 08:53 161414

    -rw-rw-rw- 1 jones staff 6317 Aug 31 13:17 def.rpt

    -rw-rw-rw- 1 jones staff 5550 Sep 10 14:13 try.doc

     

     tee 명령의 정확한 구문은 명령어 사전을 참고하면 된다.

     

     4-2-2. 사용자의 화면 지움

     clear 명령을 사용하여 메시지와 키보드 입력 화면을 비어있게 할 수 있다. 프롬프트에 다음과 같이 입력하면 된다.

     

     $clear

     

     위와 같이 실행하면 시스템이 화면을 지우고 프롬프트를 표시한다.

     

     4-2-3. 메시지를 표준 출력으로 전송

     echo 명령을 사용하여 메시지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준 출력에 메시지를 기록하려면, 프롬프트에서 다음과 같이 입력한다.

     

     $echo Message typing ...

     

     위와 같이 입력한 후 Enter를 누르면 화면에 다음과 같이 표시된다.

     

       Message typing ...

     

     예를 들어, echo 명령과 함께 패턴 대응 문자를 사용하려면, 프롬프트에서 다음과 같이 입력한다.

     

     $echo The back-up files are: *.bak

     

     위와 같이 입력 후 Enter를 누르면 시스템은 .bak 으로 끝나는 현재 디렉토리에서 파일 이름 앞에 The back-up files are: 메시지를 표시한다.

     echo 명령의 정확한 구문은 명령어 사전을 참고하기 바란다.

     

     4-2-4. 텍스트의 한 행을 파일에 추가

     추가 재지정 연산자와 함께 사용된 echo 명령으로 텍스트 한 행을 파일에 추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롬프트 상태에서 다음과 같이 입력한다.

     

     $echo Remember to backup mail files by end of week. ▒▒ ▒▒ notes

     

     위와 같이 실행 후 Enter를 누르면 위의 Remember to backup mail files by end of week. 메시지를 notes 파일의 끝에 추가한다.

     

     4-2-5. 화면을 파일에 복사

     VT100 터미널을 에뮬레이트하는 capture 명령을 사용하여 터미널에 인쇄된 모든 것을 사용자가 지정하는 파일에 복사할 수 있다.

     VT100 터미널을 에뮬레이트  하지 않고, script 명령을 통해 터미널에 인쇄된 모든 것을 사용자가 지정한 파일로 복사할 수 있다.

     두 개의 명령은 터미널 대화의 하드카피 레코드를 작성하는 데 유용하다.

     예를 들어, VT100을 에뮬레이트 하는 동안 터미널의 화면을 캡처하려면 프롬프트에서 다음과 같이 입력한다.

     

     $capture screen.01

     

     Enter를 누르면 시스템은 다음과 유사한 정보를 표시할 것이다.

     

     Capture command is started. The file is screen.01.

     Use ^P to dump screen to file screen.01.

     You are now emulating a vt100 terminal.

     Press Any Key to continue.

     

     데이터를 입력하고 화면 내용을 덤프한 후, Ctrl-D를 누르거나 exit를 입력한 다음 Enter 키를 눌러 capture 명령을 정지시면 시스템은 다음과 유사한 정보를 보여줄 것이다.

     

     Capture command is complete. The file is screen.01.

     You are NO LONGER emulating a vt100 terminal.

     

     cat 명령을 사용하여 사용자의 파일 내용을 확인 하면 된다.

     예를 들어, 터미널의 화면을 캡처하려면 프롬프트에서 다음과 같이 입력한다.

     

     $script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정보를 표시할 것이다.

     

     Script command is started. The file is typescript.

     

     화면에 표시된 모든 것이 현재 typescript 파일로 복사 된다.

     script 명령을 정지하려면, Ctrl-D를 누르거나 exit를 입력한 후 Enter를 누른다. 그러면 다음과 같은 정보를 표시할 것이다.

     

     Script command is complete. The file is typescript.

     

     cat 명령을 사용하여 사용자의 파일 내용을 확인 할 수 있다.

     

     4-2-6. 큰 문자의 텍스트를 사용자 화면에 표시

     banner 명령은 ASCII 문자를 큰 문자로 사용자의 화면에 표시한다. 출력의 각 행 길이는 대문자나 소문자 최대 10자이다.

     예를 들어, 프롬프트 상에서 다음과 같이 입력한다.

     

     $banner Hellow Guy!

     

     Enter를 누르면 시스템에는 Hellow Guy! 가 큰 문자로 화면에 나올 것이다.

     

     

     

    제 5 장 Filesystem and Directory

     

     

     5-1. 파일 시스템

     

     파일 시스템은 파일 및 디렉토리의 계층 구조(파일 트리)이다. 이 구조 유형은 맨 위에 루트가 있고, 밑에 가지가 있는 거꾸로 된 나무 모양이다. 이 파일 트리는 디렉토리를 사용하여 데이터와 프로그램을 그룹으로 편성하므로 많은 디렉토리와 파일을 한번에 관리할 수 있다.

     일부 작업은 파일 시스템 내의 각 디렉토리에서 보다 파일 시스템 위에서 더욱 효과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전체 파일 시스템을 백업, 이동 또는 보안 할 수 있다.

     파일 시스템의 기본 유형을 저널 파일 시스템(JFS)이라 한다. 이런 파일 시스템은 구조적 일관성 유지를 위해 데이터베이스 저널링 기술을 사용한다. 이 저널링 기술 사용으로 파일 시스템이 비정상적으로 정지될 때 파일 시스템이 손상되는 것을 막아준다.

     

     매우 중요한 일부 시스템 작업은 특별히 파일 시스템으로 작업해야 한다.

     * 논리적 볼륨에 파일 시스템 영역 할당

     * 파일 시스템 작성

     * 시스템 사용자에게 사용 가능한 파일 시스템 영역 만들기

     * 파일 시스템 영역 사용법 모니터

     * 시스템 장애시 데이터 유실에 대비한 파일 시스템 백업

     * 지속적인 상태로 파일 시스템 유지

     이와같은 작업은 시스템 관리자가 수행하여야 한다.

     

     5-1-1. 파일 시스템 유형

     운영 시스템은 여러 파일 시스템 유형을 지원한다. 지원되는 유형은 다음과 같다.

     

     *저널 파일 시스템 (JFS)      -    기본 파일 시스템 유형으로, 파일 시스템 명령 전체 집합을 지원한다.

     *네트워크 파일 시스템(NFS)  -   원격 시스템에 있으면서 국지 시스템에 파일이 상주하는 것처럼 액세스하는 파일 시스템 유형

     *CD-ROM 파일 시스템(CDRFS)  -   정상 파일 시스템 인터페이스(열기, 읽기 및 닫기)를 통한 CD-ROM 내용 액세스를 허용하는 파일 시스템 유형

     

     5-1-2. 파일 시스템 구조

     독립형 시스템에서 다음의 파일 시스템은 기본으로 생성된다.

     

    /dev/hd1

    /home

    /dev/hd2

    /usr

    /dev/hd3

    /tmp

    /dev/hd4

    /(root)

    /dev/hd9var

    /var

     

     파일 트리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 동일한 하드웨어 구조의 기계에서 공유할 수 있는 파일은 /usr 파일 시스템에 있다.

       * 스풀 및 메일 파일과 같이 클라이언트 전용 변수 파일은 /var 파일 시스템에 있다.

       * /(root) 파일 시스템에는 시스템 운용에 필요한 중요한 파일과 디렉토리가 있다. 예를 들어, 장치 디렉토리(/dev)나 /mnt와 같이 파일 시스템을 루트 파일 시스템에 마운트 할 수 있는 마운트 지점같은 것들이 있다.

       * /home 파일 시스템은 사용자의 홈 디렉토리를 위한 마운트 지점이다.

       * 서버의 경우, /export 디렉토리에는 페이징 공간 파일, 클라이언트 전용(공유되지 않는) 루트 파일 시스템, 덤프, 홈 및 디스켓이 없는 클라이언트용 /usr/share 디렉토리 뿐 아니라 반출된 /usr 디렉토리도 있다.

     

     다음 리스트는 /(root) 파일 시스템의 하위 디렉토리의 일부 내용에 대한 정보이다.

     

       /bin   -   /usr/bin 디렉토리에 대한 심볼 링크. 이전 UNIX 파일 시스템에서는, 사용자 명령이 /bin 디렉토리에 있었지만. 이 새로운 파일 구조에서는 /usr/bin에 있다.

       /dev   -   국지 장치를 위한 특수 파일용 장치 노드를 포함한다. /dev 디렉토리는 테이프 장치, 프린터, 디스크 보류 및 터미널에 대한 특수 파일을 포함한다.

       /etc   -    각 장치에 대한 다양한 구성 파일을 포함한다. /etc/hosts 파일이나 /etc/passwd 파일등이 있다.  /etc 디렉토리에는 시스템 관리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파일이 있다. /etc 디렉토리에 상주했던 대부분의 명령이 이제는 /usr/sbin 디렉토리로 옮겨 왔지만 호환성을 위해 실행 파일의 새로운 위치에 대한 심볼 링크를 포함한다. 다음은 그 예이다.

                  (예: /etc/chown은 /usr/bin/chown에, /etc/exportvg는 /usr/sbin/exportvg에 대한 심볼 링크이다.)

       /export   -   원격 클라이언트에 대한 서버의 디렉토리 및 파일을 포함한다.

       /home    -   사용자 홈 디렉토리를 포함하는 파일 시스템에 대한 마운트 지점 역할을 한다. /home 파일 시스템은 각각의 사용자의 파일 및 디렉토리를 포함한다. 독립형 기계에서 별도의 국지 파일 시스템은 /home 디렉토리 위에 마운트 된다. 네트워크에서, 서버는 몇 개의 기계에서 액세스되어야 하는 사용자 파일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런 경우, 서버의 /home 디렉토리 사본은 /home 파일 시스템에 원격적으로 마운트 된다.

       /lib   -   이름의 형식이 lib*.a 인 구조 독립형 라이브러리가 있는 /usr/lib 디렉토리에 대한 심볼 링크

       /sbin   -   시스템을 부트하고 /usr 파일 시스템을 마운트 할 때 필요한 파일이 있다. 부팅중에 사용되는 대부분의 명령은 부트 이미지 RAM 디스크 파일 시스템이기 때문에 /sbin 디렉토리에 상주하는 명령은 극소수이다.

       /tmp    -   시스템 작성 임시 파일을 포함하는 파일 시스템에 대한 마운트 지점 역할을 한다.

       /u        -   /home 디렉토리에 대한 심볼 링크

       /usr    -   변경되지 않고 시스템에서 공유될 수 있는 파일 (실행 및 ASCII 문서)을 포함하는 파일 시스템을 위한 마운트 지점의 역할을 수행한다. 독립형 시스템은 별도의 국지 파일 시스템을 /usr 디렉토리 위에 마운트 시킨다. 디스크가 없거나 디스크가 적은 기계의 원격 서버의 디렉토리를 /usr 파일 시스템 위에 마운트 한다.

       /var     -   각각의 기계를 연결 변환하는 다양한 파일에 대한 마운트 지점 역할을 한다. 포함하고 있는 파일이 커지기 쉬운 파일이므로, /var 파일 시스템은 파일 시스템으로 구성된다. 예를들어, 임시 작업파일을 포함하는 /usr/tmp 디렉토리에 대한 심볼 링크이다.

     

     5-1-3. 파일 시스템의 사용 가능한 영역 표시

     df 명령은 파일 시스템의 총 공간 및 사용 가능 공간에 대한 정보를 표시한다. filesystem매개변수는 파일 시스템이 상주하는 장치 이름, 파일 시스템이 마운트된 디렉토리 또는 파일 시스템의 상대 경로 이름을 지정한다. filesystem 매개변수를 지정하지 않을 경우, df 명령은 현재 마운트된 모든 파일 시스템에 대한 정보를 표시한다. 파일 또는 디렉토리가 지정될 경우, df 명령은 현재 마운트된 모든 파일 시스템애 대한 정보를 표시한다. 파일 또는 디렉토리가 지정될 경우, df 명령은 해당 파일이나 디렉토리가 상주하고 있는 파일 시스템에 대한 정보를 표시한다.

     보통 df 명령은 수퍼 블록에 있는 프리 카운트를 사용한다. 특정 예외 조건 아래에서는, 이런 카운트에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f 명령이 수행되는 동안 파일 시스템이 수정되는 중이라면, 프리 카운트가 정확하지 않을 수 있다.

     

    note: 네트워크 파일시스템(NFS)과 같은 원격 파일 시스템은 서버가 정보를 제공하지 않으면 열이 공백으로 나올 때도 있다. 예를 들어, 마우늩된 모든 파일 시스템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려면, 다음과 같이 입력한다.

     $df

    /, /usr, /site 및 /usr/venus 디렉토리가 별도의 파일 시스템에 상주하도록 시스템이 구성설정된 경우, df 명령의 출력은 다음과 같다.

       $df

       Filesystem    512-blocks      Free    %Used    Iused    %Iused   Mounted on

       /dev/hd4           98304         67440     32%       1576        7%         /

       /dev/hd2         3522560        53160     99%     61452       14%        /usr

       /dev/hd9var        16384       10648      36%        860       42%        /var

       /dev/hd3           49152        44584      10%          96        2%         /tmp

       /dev/hd1           16384          8272      50%        107        6%         /home

     

     예를 들어, 현재 디렉토리가 상주하는 파일 시스템의 사용 가능 공간을 표시하려면, 다음과 같이 입력한다.

       $df .

     

     5-2. 디렉토리  

     

     디렉토리는 파일 또는 다른 디렉토리에 액세스할 때 필요한 정보만을 포함하는 하나의 독특한 파일 유형이다. 결과적으로 디렉토리는 파일의 다른 유형보다 적은 공간을 차지한다. 또한 파일 시스템 구조를 우연성 있고 깊이있게 만든다.  디렉토리를 사용하여 파일 및 다른 디렉토리를 그룹화할 수 있고, 파일 시스템을 모듈 방식의 계층에 편성할 수 있다. 다른 파일 유형과는 달리, 디렉토리를 제어하는 특수한 명령 세트가 있다.

     디렉토리에는 디렉토리 항목이 있다. 각 항목에는 파일 또는 서브 디렉토리 이름 및 색인 노드 참조 번호(i-node number)가 있다. 디스크 공간 사용의 속도를 높이고 향상시키기 위해, 파일의 데이터는 컴퓨터 메모리의 다양한 위치에 저장된다. i-node 번호에는 파일과 관련된 데이터의 모든 분산된 블록을 찾을 때 사용하는 주소가 있다. 또한 i-node 번호는 수정 및 액세스 시간, 액세스 모드, 링크 수, 파일 소유자 및 파일 유형 등 기타 파일 정보를 기록한다. ln 명령으로 디렉토리 항목을 작성하여 한 파일의 여러 이름을 동일한 i-node 번호에 링크할 수 있다.

     디렉토리가 시스템의 모든 사용자가 사용할 수 없는 정보를 포함할 때도 많기 때문에, 디렉토리 액세스는 보호 될 수 있다. 디렉토리의 사용권한을 설정하여 디렉토리에 대한 액세스 제어를 할 수 있고, 또한 사용자가 있다면 그들로 하여금 디렉토리의 정보를 변경할 수 있게 할 것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5-2-1. 디렉토리 유형

     디렉토리는 운영 시스템, 시스템 관리자 또는 사용자가 정의할 수 있다. 시스템 정의 디렉토리는 명령과 같은 시스템 고유의 파일을 포함한다. 파일 시스템 계층의 최상위에는 시스템 정의 /(root) 디렉토리가 있다. / 디렉토리에는 항상 다음과 같은 표준 시스템 관련 디렉토리를 포함한다.

     */dev    -   I/O 장치를 위한 특수 파일이 들어 있다.

     */etc     -   시스템 초기화 및 시스템 관리를 위한 파일이 들어 있다.

     */home -   시스템 사용자를 위한 로그인 디렉토리가 들어 있다.

     */tmp    -   임시 파일 및 지정된 날짜가 지나면 삭제될 수 있는 파일이 들어 있다.

     */usr    -   lpp, include 및 다른 시스템 디렉토리가 있다.

     */usr/bin   -   사용자 실행 가능 프로그램이 들어 있다.

     

     로그인 또는 홈 디렉토리($HOME)와 같은 디렉토리는 시스템 관리자에 의해 정의되고 조정된다. 운영 시스템에 로그인할 때는 로그인 디렉토리가 현재 디렉토리가 된다. 사용자가 작성한 디렉토리는 사용자 정의 디렉토리라고 한다. 이러한 디렉토리를 이용하면 파일 편성 및 유지 보수에 도움이 된다.

     

     5-2-2. 디렉토리 작성

     디렉토리에는 파일, 하위 디렉토리 또는 파일과 하위 디렉토리의 조합이 들어 있을 수 있다. 하위 디렉토리는 디렉토리 내에 있는 디렉토리 이다. 하위 디렉토리를 포함하는 디렉토리가 상위 디렉토리이다.

     디렉토리를 추적 및 찾는 운영 시스템에서, 각각의 디렉토리는 작성된 상위 디렉토리에 대한 항목인 .. 및 디렉토리 그 자체에 대한 항목인 . 을 갖는다. 대부분의 디렉토리 나열에서 이러한 파일은 숨겨져 있다.

     

     ▒▒ 디렉토리 트리 ▒▒

     상위 디렉토리, 하위 디렉토리 및 파일의 구조를 파일 시스템이라고 한다. 디렉토리 구조는 역 트리에 비유 될 대가 많다. /(슬래쉬) 기호로 표시되는 루트 디렉토리는 디렉토리 트리의 기준이며 최상위에 있다 하위 디렉토리 및 파일은 루트 디렉토리 아래로 분기된다.

     디렉토리의 파일 시스템 구조는 복잡해지기 쉽다. 파일 및 디렉토리 구조를 가능한 한 단순하게 유지하는 것과 파일 및 디렉토리를 인식하기 쉬운 이름으로 만드는 것은 수월한 작업을 위해 권장되는 사항이다.

     

     ▒▒ 상위 디렉토리 ▒▒

     /(root)를 제외한 각 디렉토리에는 한 개의 상위 디렉토리가 있고 하나 이상의 하위 디렉토리가 있을 수 있다.

     

     ▒▒ 홈 디렉토리 ▒▒

     로그인 하면, 시스템은 사용자를 홈 디렉토리 또는 로그인 디렉토리에 위치시킨다. 홈디렉토리는 시스템 관리자가 각각의 사용자에 대해 설치한다. 홈 디렉토리는 개인용 파일을 보관하는 곳이다. 보통 사용자 자신을 위해 만든 디렉토리는 홈 디렉토리의 하위 디렉토리가 된다. 언제든지 홈 디렉토리로 돌아가려면 프롬프트에서 cd 명령을 입력한 후 Enter를 누르면 된다.

     

     ▒▒ 작업 디렉토리 ▒▒

     사용자는 항상 한 다렉토리 안에서 작업하게 된다. 현재 작업중인 다렉토리를 현재 또는 작업 디렉토리라 한다. pwd(작업 디렉토리 표시) 명령은 사용자의 작업 디렉토리 이름을 알려준다. cd 명령으로 작업 디렉토리를 변경할 수 있다.

     

     5-2-3. 디렉토리 명명 규약

     각 디렉토리 이름은 저장되어 있는 디렉토리 내에서 고유해야 한다. 이름이 고유해야 또한 디렉토리가 파일 시스템에서 고유한 경로 이름을 가지고 있음을 보장할 수 있다. 또한 디렉토리는 파일 명명규약에 설명된 파일과 같은 명명 규약을 따른다.

     

     5-2-4. 디렉토리 경로 이름

     각 파일 및 디렉토리는 파일 시스템 트리 구조 전반에 걸쳐 경로 이름이라고 하는 고유한 경로에 의해 이를 수 있다. 경로 이름은 파일 시스템 내에서 디렉토리 또는 파일의 위치를 지정한다.

    note : 경로 이름은 1023문자를 초과할 수 없다.

    파일 시스템은 두 가지 유형의 경로 이름을 사용한다.

    절대 경로 이름   :  /(root) 디렉토리에서부터 경로를 추적한다. 절대 경로 이름은 항상 /(슬래쉬) 기호로 시작한다.

    상대 경로 이름   :  현재 디렉토리에서 상위 또는 하위 디렉토리 또는 파일에 걸쳐 경로를 추적한다.

     

     절대 경로 이름은 /(root) 디렉토리에서부터 아래 방향으로 디렉토리 또는 파일의 완전한 이름을 말한다. 파일 시스템 어디에서 작업하든지 해당 절대 경로 이름을 지정하여 파일 또는 디렉토리를 찾을 수 있다. 절대 경로 이름은 루트를 표시하는 /(슬래쉬)로 시작한다.  경로 이름 /A/D/9는 9의 절대 경로 이름이다. 최초 /(슬래쉬)는 탐색의 시작 위치인 /(root) 디렉토리를 표시한다. 경로 이름의 나머지는 A, 그 다음 D, 마지막으로 9의 탐색을 지시한다.

     9라는 이름의 파일 두 개가 있을 때 이는 파일에 대한 절대 경로 이름이 파일 시스템 내에서 고유한 이름을 파일에 지정하기 때문에 가능하다. 경로 이름 /A/D/9 및 /C/E/G/9는 9라는 고유한 두 파일을 지정한다.

     전체 경로 이름과는 달리 상대 경로 이름은 현재의 작업 디렉토리를 기준으로 해서 디렉토리 또는 파일을 지정한다. 상대 경로 이름의 경우, .. 표기법을 사용하여 파일 시스템 계층의 위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 표시(..)는 상위 디렉토리를 나타낸다. 상대 경로 이름은 현재 디렉토리에서 시작 경로를 지정하므로 /(슬래쉬)로 시작하지 않는다. 상대 경로 이름은 현재 디렉토리의 파일 또는 파일 시스템의 현재 디렉토리의 위 또는 아래 레벨의 파일 또는 디렉토리의 경로 이름을 지정할 때 사용된다. D가 현재 디렉토리일 경우, 10에 액세스하기 위한 상대 경로 이름은 F/10 이지만, 절대 경로 이름은 항상 /A/D/F/10 이다. 또한 3을 액세스하기 위한 상대 경로 이름은 ../../B/3 이다.

     또한 . 표기법을 사용하여 현재 디렉토리의 이름을 나타낼 수 있다. 점(.) 표기법은 보통 현재 디렉토리 이름을 읽는 프로그램을 수행할 때 사용된다.

     

     5-2-5. 디렉토리 약어

     약어는 특정 디렉토리 지정에 빠르고 편리한 방법을 제공한다. 다음은 약어 리스트 이다.

    .

    현재 작업 디렉토리

    ..

    현재 작업 디렉토리의 상위 디렉토리

    ~

    홈 디렉토리(bourn 쉘에는 적용안됨)

    $HOME

    홈 디렉토리

     

     

     5-3. 디렉토리 처리 프로시저

     

     디렉토리와 그 내용을 가지고 작업하는 데에는 다양한 방법이 있다.

     

     5-3-1. 디렉토리 작성

     mkdir 명령은 디렉토리 매개변수에 의해 지정된 한 개 이상의 새로운 디렉토리를 작성한다. 각각의 새로운 디렉토리에는 표준 입력항목 . 및 .. 이 포함된다. 새로운 디렉토리에 대한 사용권한을 -m Mode 플래그로 지정할 수 있다.

     새로운 디렉토리가 실행되는 경우, 파일 시스템의 다른 위치에 절대 경로 이름을 지정하지 않는 한 현재 또는 작업 디렉토리 내에 작성된다.

     예를 들어, 현재 작업 디렉토리에 기본 사용권한을 갖는 Test라는 새로운 디렉토리를 작성하려면, 다음과 같이 입력한다.

     $mkdir Test

     예를 들어, rwxr-xr-x 사용권한이 있는 Test 라는 새로운 디렉토리를 이전에 작성된 /home/demo/sub1 디렉토리에 작성하려면, 다음을 입력한다.

     $mkdir -m 755 /home/demo/sub1/Test

     예를 들어, 기본 사용권한이 있는 Test 라는 새로운 디렉토리를 /home/demo/sub2 디렉토리에 작성하려면, 다음과 같이 입력한 후 Enter를 누른다.

     $mkdir -p /home/demo/sub2/Test

     -p 플래그는 /home, /home/demo 및 /home/demo/sub2 디렉토리가 기존에 없다면 작성한다.

     

     5-3-2. 디렉토리 이동 또는 재명명

     mvdir 명령은 디렉토리를 이동 또는 재명명한다.

     예를 들어, 디렉토리를 이동하려면 다음과같이 입력한 후 Enter를 누른다.

     $mvdir book manual

     이 경우 manual 이라는 디렉토리가 존재한다면 book 디렉토리가 manual 디렉토리 아래로 이동한다. 또는 book 디렉토리가 manual 로 재 명명 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디렉토리를 이동하여 재명명 하려면, 다음과 같이 입력한다.

     $mvdir book3 proj4/manual

     위와 같이 실행하면 book3는 proj4라는 디렉토리로 이동되고 이름이 manual 로 다시 지정된다.(manual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5-3-3. 현재 디렉토리 표시

     pwd 명령은 표준 출력에 /(root) 디렉토리로부터 현재 디렉토리의 표준 전체 경로이름을 쓴다. 모든 디렉토리는 /(슬래쉬)로 분리된다. /(root) 디렉토리는 첫 번째 /(슬래쉬) 로 표현되며, 명명된 최종 디렉토리는 현재 디렉토리가 된다.

     예를 들어, 현재 디렉토리를 표시하려면, 다음과 같이 입력한 후 Enter를 누른다.

     $pwd

     다음과 유사한 현재 디렉토리의 전체 경로 이름이 표시된다.

     /home/User1

     

     5-3-4. 다른 디렉토리로 변경

     cd 명령은 현재의 디렉토리에서 다른 디렉토리로 이동시켜 준다. 사용자는 지정된 디렉토리의 실행(탐색) 사용권한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Directory 매개변수를 지정하지 않은 경우, cd 명령을 사용하면 로그인 디렉토리로 이동한다.(kshbsh 환경에서는 $HOME 또는 csh 환경에서는 $home). 디렉토리 이름을 전체 경로 이름으로 지정한 경우, 이 디렉토리 이름이 현재 디렉토리가 된다. 전체 경로 이름은 /(root) 디렉토리를 가리키는 /(슬래쉬), 현재 디렉토리를 가리키는 . 과 상위 디렉토리를 가리키는 .. 으로 시작한다. 디렉토리 이름이 전체 경로 이름이 아닐 경우, cd 명령은 $CDPATH 쉘 변수(또는 $cdpath csh 변수)에 의해 지정된 경로 중 하나에 관련된 경로를 탐색 한다. 이 변수는 $PATH 쉘 변수(또는 $path csh 변수)와 동일한 구문 및 유사한 의미를 갖는다. 예를들어, 홈 디렉토리로 변경하려면, 다음을 입력한 후 Enter를 친다.

     $cd

     예를 들어, /usr/include 디렉토리로 변경하려면, 다음을 입력한다.

     $cd /usr/include

     위와 같이 실행하면 현재 디렉토리에서 /usr/include로 작업 디렉토리 위치가 변경된다.

     현재 디렉토리에서 한 레벨 아래의 sys 디렉토리로 내려가려면 다음과 같이 입력하면 된다.

     $cd sys

     위와 같이 실행하면 현재 디렉토리가 /usr/include이고 이 디렉토리에 sys라는 하위 디렉토리가 있을 경우, /usr/include/sys가 현재 디렉토리가 된다.

     디렉토리 트리에서 한 레벨 위로 가려면, 다음과 같이 입력한다.

     $cd ..

     특수 파일 이름 ( .. )은 현재 디렉토리 바로 위의 디렉토리 즉, 상위 디렉토리를 말한다.

     

     5-3-5. 디렉토리 복사

     cp 또는 copy명령은 SourceFile 또는 SourceDirectory 매개변수에 지정된 파일이나 디렉토리의 목차 사본을 TargetFile 또는 TargetDirectory 매개변수로 지정된 파일이나 디렉토리에 작성한다. TargetFile로 지정된 파일이 존재할 경우, 사본은 파일의 원래 내용 위에 겹쳐쓴다. 두 개 이상의 SourceFile을 복사하려면, 목표는 디렉토리이어야 한다.

     SourceFile의 사본을 디렉토리에 두려면, 기존 디렉토리의 경로를 TargetDirctory 매개변수에 지정한다. 경로 끝에 새로운 파일 이름을 지정하지 않는한, 파일은 디렉토리에 복사되어도 각자의 이름을 유지한다. 또한 cp 명령은 -r또는 -R 플래그를 지정할 경우 전체 디렉토리를 다른 디렉토리에 복사한다.

     디렉토리내에 있는 모든 파일을 새로운 디렉토리에 복사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이 실행한다.

     $cp /home/janet/clients/*  /home/nic/customers

     위에서는 clients 디렉토리에 있는 파일들이 customers 디렉토리에 복사된다.

     모든 파일 및 하위 디렉토리를 포함하여 하나의 디렉토리를 다른 디렉토리에 복사하려면 다음과 같이 입력한다.

     $cp -R /home/nick/clients  /home/nic/customers

     그러면 모든 파일, 하위 디렉토리 및 하위 디렉토리의 파일을 포함하여 clients 디렉토리가 customers 디렉토리 아래에 복사된다.

     

     5-3-6. 디렉토리 내용 표시

     ls 명령을 사용하여 디렉토리의 내용을 표시할 수 있다.

    ▒▒ ls 명령 ▒▒

     ls명령은 플래그로 요청한 정보와 함께 지정된 디렉토리 내용 및 지정된 파일의 이름을 표준 출력에 쓴다. 파일 또는 디렉토리를 지정하지 않을 경우, ls 명령은 현재 디렉토리의 내용을 표시한다. 디폴트로. ls 명령은 파일 이름의 알파벳 순으로 모든 정보를 표시한다. 루트 권한이 있는 사용자가 명령을 실행할 경우, 디폴트로 -A 플래그를 사용하여 . 과 ..을 제외한 모든 항목이 나열된다. 점(.)으로 시작하는 파일을 포함하여 파일에 대한 모든 항목을 표시하려면, ls -a 명령을 사용한다.

     다음은 출력의 형식을 정하는 세가지 주요 방법이다.

    * -l 플래그를 사용하여 행당 한 항목을 나열한다.

    * -C 또는 -x 플래그를 지정하여 여러 열에 항목을 나열한다. -C 플래그는 tty로 출력될 때 디폴트 형식이다.

    * -m 플래그를 지정하여 쉼표로 분리되게 항목을 나열한다.

     출력 행에서 문자 위치 수를 결정하기 위해 ls 명령은 $COLUMNS 환경 변수를 사용한다. 이 변수를 설정하지 않으면, 명령은 terminfo 파일을 읽는다. 이 두가지 방법으로도 ls 명령이 문자 위치 수를 결정할 수 없을 경우 디폴트 값 80을 사용한다.

     

     -e와 -l 플래그로 표시된 정보중 최초 문자(퍼미션의 맨 앞문자)가 의미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d

    디렉토리.

    b

    블록 특수 파일.

    c

    문자 특수 파일.

    l

    심볼 링크 파일.

    p

    선입선출(FIFO) 파이프 특수 파일.

    s

    국지 소켓

    -

    보통 파일.

     다음 9개 문자는 각각 3 문자로 분류된 3개의 집합으로 나누어진다. 최초 3개의 문자는 소유자의 사용권한을 나타낸다. 다음의 3개 문자는 소유 그룹에 대한 사용권한이다. 마지막 3개의 문자 집합은 파일에 액세스할 수 있는 기타 다른 사용자의 사용권한이다. 각 집합의 3개의 문자는 해당 파일에 대한 읽기, 쓰기 및 실행 권한을 표시한다. 디렉토리의 실행 사용권한으로 사용자는 지정된 파일에 대해 디렉토리를 탐색할 수 있다.

     각각의 사용권한의 문자 표시는 다음가같이 표시한다.

    r

    읽기 권한 부여

    t

    다른 사용자들이 디렉토리에 대한 쓰기 권한이 있더라도 디렉토리 소유자 또는 파일 소유자만이 해당 디렉토리 내의 파일을 삭제 또는 재명명할 수 있음.

    w

    쓰기(편집) 권한 부여.

    x

    실행(탐색) 권한 부여.

    -

    상응하는 권한이 부여되지 않음.

     

     -e 플래그로 표시된 정보는 추가된 11번째 문자가 다음과 같이 해석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l 플래그와 같다.

    +

    파일이 확장된 보안 정보를 가지고 있음을 가리킨다. 예를 들어, 파일이 모드에서 ACL, TCB 또는 TP 속성을 확장했을 수 있다.

    -

    파일이 확장된 보안 정보를 가지지 않음을 가리킨다.

     

     디렉토리의 파일 크기가 나열될 때, ls 명령은 간접 블록을 포함한 블록의 전체 계수를 나열한다.  예를 들어, 현재 디렉토리의 모든 파일을 나열하려면 다음을 입력한다.

     $ls -a

     이는 . .. 그리고 . 으로 시작 또는 시작하지 않는 기타 파일 등을 나열한다.

     

     5-3-7. 디렉토리 삭제 또는 제거

     rmdir 명령은 시스템에서부터 directory 매개변수에 의해 지정된 디렉토리를 제거한다. 디렉토리를 제거하려면 비어 있어야 하고( . 및 .. 만 포함), 상위 디렉토리에 대해 쓰기 사용권한이 있어야 한다. ls -a Directory 명령을 사용하여 디렉토리가 비었는지 미리 검사해야 한다.

     디렉토리를 비우고 제거하려면 다음과 같이 입력한다.

     $rm mydir/* mydir/.*

     $rmdir mydir

     이는 mydir 의 내용을 제거한 후, 빈 디렉토리를 제거한다. rm 명령은 디렉토리 . 과 .. 제거 시도에 대한 오류 메시지를 표시하고, rmdir 명령이 이들과 디렉토리 자체를 제거한다.

     rmmydir/*  mydir/.* 은 먼저 점으로 시작하지 않는 이름을 가진 파일을 제거한 후, 점으로 시작하는 이름을 가진 파일을 제거함을 주의해야 한다. ls 명령은 -a 플래그를 지정하지 않으면, 보통 점으로 시작하는 파일들을 나열하지 않기 때문에 점으로 시작하는 파일 이름이 디렉토리에 있다는 것을 인식하지 못할 수 있다.

     예를 들어, /tmp/jones/demo/mydir 디렉토리 구조와 그 아래의 모든 디렉토리들을 제거하려면, 다음을 입력하라.

     $cd /tmp

     $rmdir -p jones/demo/mydir

     이는 /tmp 디렉토리로부터 jones/demo/mydir 디렉토리를 제거한다. 디렉토리가 비어있지 않거나 그 디렉토리에 쓰기 권한이 없다면, 제거될 때 적절한 오류 메시지와 함께 명령이 종료 된다.

     

     5-3-8. 디렉토리 내용 비교

     dircmp 명령은 Directory1 과 Directory2 매개변수로 지정된 두 디렉토리를 비교하고 그 내용에 대한 정보를 표준 출력으로 쓴다. 우선 , dircmp명령은 각각의 디렉토리에 있는 파일 이름들을 비교한다. 같은 파일 이름이 양쪽에 나타나면, dircmp 명령은 두 파일의 내용을 비교한다.

     출력에서, dircmp 명령은 각 디렉토리에 고유한 파일을 나열한다. 그런 다음 양쪽 디렉토리에서 이름은 같고 내용은 다른 파일을 나열한다. 플래그가 지정되지 않은 경우, 양쪽 디렉토리에서 이름과 내용이 같은 파일을 나열한다.

     예를 들어, proj.ver1 과 proj.ver2 디렉토리의 파일들 간의 차이점을 요약하려면, 다음을 입력한다.

     $dircmp  proj.ver1  proj.ver2

     그러면 proj.ver1 과 proj.ver2 디렉토리 사이의 차이점이 요약되어 표시된다. 한 디렉토리, 다른 디렉토리, 양쪽 디렉토리에 있는 파일들을 별도로 나열한다. 양쪽 디렉토리에 있는 파일이 발견될 경우, dircmp 명령은 두 개의 사본이 일치하는지 기록해 둔다.

     예를 들어, proj.ver1 과 proj.ver2 디렉토리 사이의 차이점의 세부사항을 표시하려면 다음을 입력한다.

     $dircmp -d -s  proj.ver1  proj.ver2

     -s 플래그는 일치하는 파일에 관한 정보를 보이지 않게 한다. -d 플래그는 양쪽 디렉토리에서 발견된 파일을 비교하여 구별해 놓은 diff 리스팅을 보여준다.

     

     

    제 6 장 File

     파일은 운영 시스템에서 정보를 입/출력할 때 사용된다.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모두에 대한 액세스를 표준에 맞춘다. 파일 내용이 변경되거나 쓰여지면 입력이다. 파일 내용이 읽혀지거나 또는 다른 파일로 전송되면 출력이다. 예를들어, 파일을 하드 카피로 출력하기 위해, 시스템은 텍스트 파일에서 정보를 읽고, 읽은 정보를 프린터 표시 파일에 작성한다.

     

     6-1. 파일 유형

     파일의 기본 유형에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가 있다.

     * 정규파일  - 데이터(텍스트, 2진 및 실행가능한)를 저장한다.

     * 디렉토리  - 다른 파일 및 액세스에 사용되는 정보를 포함한다.

     * 특수파일  - FIFO(선입선출) 파이프 파일 또는 물리적 장치를 정의한다.

     파일 시스템에서 인식하는 파일 유형은 이 세가지 중 하나에 해당한다. 그런, 운영 시스템은 이 기본 유형을 변형하여 사용한다.

     

     ▒▒ 정규 파일 ▒▒

     정규 파일이 가장 흔한 파일이다. 정규 파일의 다른 이름은 보통 파일이다. 정규 파일은 데이터를 저장한다.

     ▒▒ 텍스트 파일 ▒▒

     텍스트 파일은 사용자가 읽을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하는 정규 파일이다. 이 정보는 ASCII로 저장된다. 이런 텍스트 파일을 표시 및 인쇄할 수 있다. 텍스트 파일의 행에는 NUL 문자가 있으면 안되며, 개행 문자(NL)를 포함하여 길이가 {LINE_MAX} 바이트를 초과할 수 없다.

     텍스트 파일 항은 제어 또는 인쇄 불가능(NUL이외) 문자가 포함되는 것을 막을 수 없다. 그러므로, 텍스트 파일을 입력 또는 출력으로서 나열하는 표준 유틸리티는 특수 문자를 원할히 처리할 수 있거나 이러한 한계에 대해 명시적으로 각각의 섹션에서 설명한다.

     ▒▒ 2진 파일 ▒▒

     2진 파일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하는 정규 파일이다. 2진 파일은 시스템에 작업 완료를 지시하는 실행 파일이 될 수도 있다. 명령 및 프로그램이 실행가능 즉 2진 파일에 저장된다. 특수 컴파일 프로그램은 ASCII텍스트를 2진 코드로 변환한다.

     텍스트 파일과 2진 파일 사이의 유일한 차이점은 텍스트 파일에는 {LINE_MAX}바이트 미만의 행이 있고 NUL 문자는 없으며, 각각의 개행 문자로 종료 된다는 점이다.

     ▒▒ 디렉토리 파일 ▒▒

     디렉토리 파일은 모든 유형의 파일에 액세스하기 위해 시스템에서 필요로 하는 정보를 포함하지만, 실제 파일 데이터가 들어 있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디렉토리는 정규 파일보다 적은 공간을 차지하고, 파일 시스템 구조를 더욱 유연성 있고 깊이 있게 만들어 준다. 각 디렉토리 항목은 파일 또는 하위 디렉토리를 나타낸다. 각 항목에는 파일 이름 및 파일의 색인 노드 참조 번호(i-node 번호)가 있다. i-node 번호는 파일에 지정된 고유 색인 노드를 가리킨다. i-node 번호는 파일과 연관된 데이터의 위치를설명한다. 디렉토리는 별도의 명령 집합에 의해 작성 및 제어된다.

     ▒▒ 특수 파일 ▒▒

     특수 파일은 프로세스에 의해 작성된 시스템 또는 임시 파일에 대한 장치를 규정한다. 특수 파일에는 FIFO(선입선출법), 블록 및 문자 등의 세 개의 기본 유형이 있다. FIFO 파일을 파이프라고도 한다. 파이프는 다른 프로세스와의 통신을 임시로 허용하기 위해 한 프로세스에 의해 작성된다. 이런 파일은 최초 프로세스가 끝나면 사라진다. 블록 및 문자 파일이 장치를 정의한다.

     모든 파일은 파일의 읽기, 변경 또는 실행할 수 있는 사용권한의 집합(액세스 모드라고 함)을 갖는다.

     

     6-1-1. 파일 명명 규약

     파일 이름은 저장되어 있는 디렉토리 내에서 고유해야 한다. 파일이 파일 시스템에서 고유한 경로 이름을 가지고 있음을 보장한다. 파일 명명 지침은 다음과 같다.

     * 파일 이름은 최대 255까지 가능하며, 문자, 숫자 및 밑줄이 포함될 수 있다.

     * 운영 시스템은 대소문자를 구분한다. 즉, 파일 이름에서 대문자와 소문자를 구별한다. 따라서 FILEA, fileA와 Filea는 같은 디렉토리에 있더라도 서로 다른 세 개의 파일이다.

     * 파일 이름은 가능한 설명적이고 의미가 있어야 한다.

     * 디렉토리는 파일과 동일한 명명 규약을 따른다.

     * 특정 문자는 운영 시스템에 특별한 의미를 가지므로, 파일 이름을 정할 때 피해야 한다. 이러한 문자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파일 이름이 . 으로 시작되면 보통의 디렉토리 리스트에서는 보이지 않는다. ls 명령을 -a 플래그와 함께 사용하면, 숨겨진 파일이 정규 파일 및 디렉토리와 함께 나열된다.

     

     6-1-2. 파일 경로 이름

     파일 시스템의 각 파일과 디렉토리에 대한 경로 이름은 트리 구조에서 해당 경로 앞에 나오는 모든 드렉토리 이름으로 이루어진다.

     파일 시스템의 모든 경로가 /(root) 디렉토리에서 비롯하므로, 파일 시스템의 각 파일에는 절대 경로 이름이라 하는 루트 디렉토리와의 고유한 관계가 있다. 절대 경로 이름은 /(슬래쉬) 기호로 시작한다. 예를 들어 어떤 파일 시스템안에 h 라는 파일은 /B/C/h 라는 절대 경로 이름을 가질 수 있다. 이런 파일 들은 절대경로인 /B/h와 /B/C/h 가 서로 다르므로, 시스템 안에서 h 라느 파일은 각기 고유한 이름을 갖는다. 경로 이름은 마지막 구성요소를 제외하고 디렉토리만 구성된다.경로 이름의 마지막 구성요소는 파일 이름이다.

     또한 파일 경로 이름은 1023 문자를 초과할 수 없다.

     

     6-1-3. 와일드 카드 문자 및 메타 문자를 사용한 패턴 대응

     와일드 카드를 사용하면 한 문자로 여러 개의 파일을 편리하게 지정할 수 있다. 두 와일드 카드 문자는 별표(*)와 물음표(?)이다. 메타 문자로는  좌우 대괄호([]), 하이픈(-) 및 느낌표(!) 가 있다.

     ▒▒ * 와일드 카드 ▒▒

     일련 또는 단일 문자를 대응하는데 *를 사용한다. * 는 문자가 없는 경우를 포함하여 모든 문자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디렉토리에  test1, test2, test3, file1, file2, file3, file4, afile1, afile2 등의 파일이 있을 때, file로 시작하는 파일만을 참조하려면  file*을 사용하면 된다.

     ▒▒ ? 와일드 카드 ▒▒

     하나의 문자에 대응하려면 ?를 사용한다. ?는 단일 문자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file?을 입력하면 이에 대응하는 file1 file2 file3 ...등이 선택된다. file로 시작하고 두 문자로 끝나는 파일만 참조하려면 file?? 과 같이 사용하면 file10 file11 ... 등이 선택된다.

     ▒▒ [] 쉘 메타 문자 ▒▒

     메타 문자는 원하는 단어를 [ ] 에 넣는 또다른 유형의 총칭 문자 표기법을 사용한다. ? 의 사용과 비슷하지만, 이 문자는 대응에 특정 문자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에서 하이픈(-)을 사용하여 값의 범위를 지정할 수 ㅇ도 있다. 모든 알파벳을 지정하려면, [[:alpha:]]를 사용한다. 모든 알파벳 소문자를 지정하려면, [[:lower:]]를 사용한다.

     1이나 2로 끝나는 파일만 참조하려면 다음과 같이 입력한다.

     *file[12]

     위와 같이 실행하면  aaafile1, afile2, bbfile1, file2 .. 등과 같이 1이나 2로 끝나는 파일만 선택된다. 또한 숫자로 시작하는 파일만을 참조할 수 있는데 [0123456789]* 또는 [0-9]*를 사용하면 된다.

     a로 시작되지 않는 파일만을 참조하려면, [!a]*를 사용한다.

     

     6-1-4. 패턴 대응 대 정규식

     정규식에서는 문자열 집합에서 특정 문자열을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정규식의 사용은 일반적으로 텍스트 처리와 연관이 있다.

     정규식은 가능한 문자열을 광범위하게 표현할 수 있다. 많은 정규식이 현재 로케일에 따라 다르게 해석되기 때문에, 국제화 기능은 로케일 전반에 걸쳐 문맥상 불변성을 제공한다.

     다음은 파일 대응 패턴 및 정규식을 비교한 예이다.

    Pattern Matching

    Regular Expression

    *

    .*

    ?

    .

    [!a]

    [^a]

    [abc]

    [abc]

    [[:alpha:]]

    [[:alpha:]]

     

     

     6-2. 파일 처리 프로시저

     

     시스템에서 파일 작업을 하는 데에는 많은 방법이 있다. 보통 문서 편집기로 텍스트 파일을 작성할 수 있다. UNIX 환경에서는 vi 및 ed편집기를 가장 많이 사용한다. 또한 운영 시스템에는 자체 문서 편집기 인 INed도 있다. 사용 가능한 문서 편집기가 여러 개 잇으므로, 사용하기 편한 편집기로 편집하면 된다.

     파일을 작성하거나 수정한 후, 파일의 서로 다른 버전을 구분하거나 같은 파일에 서로 다른 이름을 지정하기 위해 파일을 한 디렉토리에서 다른 디렉토리로 복사하거나 이동해야 할 수 있다. 또한 다른 프로젝트에 대해 작업할 때는 새로운 디렉토리를 작성해야 할 수도 있다. 또한 특정 파일을 삭제해야 할 수도 있고, 디렉토리에 이전 또는 필요없는 정보를 포함한 파일이 있으면 혼란스러워지기 쉽기 때문에 필요없는 파일을 삭제하여 시스템에서 기억장치 영역의 빈 공간을 늘려주어야 한다.

     

     6-2-1. 파일 삭제

     더 이상 필요하지 않은 파일은 rm 명령으로 제거할 수 있다. rm 명령은 파일을 제거하기 전에 사용자 확인을 요청하지 않는다. rm을 사용하여 파일 그룹을 삭제하거나 리스트에서 삭제할 파일을 선택할 수 있다.

     rm 명령은 디렉토리에서 지정된 파일의 항목을 제거한다. 제거하고자 하는 파일에 대한 읽기 또는 쓰기 사용권한은 필요하지 않는다. 그러나, 파일을 포함하는 디렉토리에 대한 쓰기 권한은 가지고 있어야 한다.

     예를 들어, myfile 파일을 삭제하려면 다음과 같이 입력한다.

     $rm myfile

     또한 mydir 디렉토리에서 모든 파일을 하나씩 제거하려면 다음과 같이 입력한다.

     $rm -i mydir/*

     위의 명령을 실행 한 후, 각 파일 이름이 표시되고 삭제하기 위해서는 y를 입력한 후 Enter를 누르면 된다. 보존하기 위해서는 그냥 Enter를 누른다.

     

     6-2-2. 파일 이동 및 재명명

     mv 명령은 하나의 디렉토리에서 다른 디렉토리로 파일 및 디렉토리를 이동하거나 파일 또는 디렉토리를 재명명한다. 새로운 이름을 지정하지 않고 새로운 디렉토리로 파일 또는 디렉토리를 이동할 경우, 원래 이름을 유지한다.

    note : mv 명령은 -i 플래그를 지정하지 않으면 기존 파일을 겹쳐 쓸 수 있다. -i 플래그는 파일에 겹쳐 쓰기하기 전에 확인할 것을 프롬프트 한다. -f 플래그는 프롬프트를 표시하지 않는다.. -f와 -i 플래그 그 둘을 함께 지정할 경우, 지정된 마지막 플래그가 유효한다.

     예를 들어, 다른 디렉토리로 파일을 이동한 후 새로운 이름을 지정하려면 다음과 같이 입력한다.

     $mv intro manual/chap1

     위와 같이 하면 intro가 manual/chap1로 이동한다. intro라는 이름은 현재 디렉토리에서 제거되고, 같은 파일이 manual 디렉토리에 chap1로 나타난다.  

     예를 들어, 같은 이름으로 파일을 다른 디렉토리로 이동하려면 다음과 같이 입력한다.

     $mv chap3 manual

     또한 파일의 이름을 재명명 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test1.a를 test로 바꾸려면 다음과 같이 실행한다.

     $mv test1.a test

     위에서 test라는 파일이 이미 있다면 이전 내용은 test1.a의 내용으로 대체된다.

     

     6-2-3. 파일 복사

     cp 또는 copy 명령은 SourceFile 또는 SourceDrectory 매개변수로 지정된 파일이나 디렉토리의 내용 사본을 TargetFile또는 TargetDirectory 매개변수로 지정된 파일이나 디렉토리에 작성한다. TargetFile로 지정된 파일이 존재할 경우, 경고없이 사본은 파일의 원래 내용 위에 겹쳐쓴다. 두 개 이상의 SourceFile을 복사하고 있을 경우 목표는 한 개의 디렉토리이어야 한다.

     새로운 대상에 같은 이름을 갖는 파일이 존재할 경우 복사된 파일은 새로운 대상의 파일 위에 겹쳐쓴다. 그러므로, 같은 이름의 파일이 대상 디렉토리에 존재하지 않도록 파일의 사본에 새로운 이름을 지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디렉토리에 SourceFile의 사본을 넣으려면, TargetDirectory 매개변수에 기존 디렉토리 경로를 지정한다. 경로 끝에 새로운 파일 이름을 지정하지 않는한, 파일은 디렉토리에 복사되어도 각자의 이름을 유지한다. 또한 -r 또는  -R 플래그를 지정한 경우 cp 명령은 전체 디렉토리를 다른 디렉토리로 복사한다. 특수 장치 파일도 복사할 수 있다. 이 복사에 선호되는 옵션은 -R 플래그이다. -R을 지정하면 특수 파일이 새로운 경로 이름 아래에 다시 생성된다. -r 플래그를 지정하여 cp 명령이 특수 파일을 정규 파일에 복사하도록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prog.c를 prog.bak 으로 복사하려면 다음과 같이 입력한다. 이때, prog.bak 파일이 이미 존재할 경우 prog.bak 파일의 내용은 prog.c 파일의 사본으로 대체된다.

     $cp prog.c prog.bak

     또한 현재 디렉토리(/home/mydir)의 모든 파일을 다른 디렉토리(home/eibm/testdir)로 복사하려면 다음과 같이 입력한다.

     $cp /home/mydir/*  /home/eibm/testdir

     디렉토리 내의 특정 파일(test1, test2, jones, lewis)을  다른 디렉토리(/home/eibm)로 복사 하려면 다음과 같이 입력한다.

     $cp test1 test2 jones lewis  /home/eibm

     파일 복사에 패턴 대응 문자를 사용할 수도 있다.

     $cp programs/*.c  .

     위의 예에서는   programs 디렉토리에서 .c로 끝나는 파일이 .(점)으로 표시되는 현재 디렉토리로 복사된다. c와 마지막 점 사이에 빈칸을 입력한다.

     

     6-2-4. 파일 찾기

     find 명령은 지정된 path가 있는지 디렉토리 트리를 반복적으로 탐색하고 다음 텍스트에서 지정된 항목을 조건을 사용하여 작성된 부울식과 일치하는 파일을 찾는다. find 명령의 출력은 Expression 매개변수에 의해 지정된 조건에 따라 결정된다.

     예를 들어, 파일 시스템에서 .profile 이라는 이름을 가진 모든 파일을 나열하려면 다음과 같이 입력한다.

     $find / -name .profile

     전체 파일 시스템을 탐색하여 .profile에 언급된 모든 파일의 완전 경로 이름을 쓴다.  /(슬래쉬)는 find 명령에 /(root) 디렉토리와 그 모든 서브 디렉토리를 탐색하도록 지시한다. 시간을 절약하려면, 파일이 있을 거라 생각되는 디렉토리를 지정하여 탐색을 제한 하는 것이 좋다.

     예를 들어, 현재 디렉토리 트리에서 0600의 특정 사용권한 코드를 갖는 파일을 나열하려면 다음과 같이 입력한다.

     $find . -perm 0600

     그러면 오직 소유자의 읽기 및 소유자 쓰기 사용권한을 갖는 파일 이름이 나열된다. 점(.)은 find 명령에 현재 디렉토리 및 그 서브 디렉토리를 탐색하도록 지시한다. 사용권한 코드에 대한 설명은 chmod 명령을 참조한다.

     예를 들어, 어떤 사용권한 코드를 갖는 파일이 있는지 디렉토리를 탐색하려면, 다음과 같이 입력한다.

     $find manual clients proposals -perm -0600

     그러면 소유자 읽기 및 소유자 쓰기 사용권한 및 가능한 기타 사용권한을 갖는 파일 이름이 나열된다. manual, clients 및 proposals 디렉토리와 서브 디렉토리가 탐색된다. 위의 예에서, -perm 0600은 0600에 정확히 일치하는 사용권한 코드를 갖는 파일만 탐색하였다. 그 다음 예에서의 -perm -0600은 0600에 의해 지정된 액세스 사용권한 코드를 갖는 파일 및 0600 이상의 레벨을 갖는 파일을 선택한다. 이는 또한 0622 과 2744 등도 탐색됨을 의미한다.

     위의 예 이외에도 다음과 같은 형식으로 찾을 수 있다.

     $find . -ctime 0

     $find . -type f -links +1

     위의 예중 -ctime 0 은 현재로부터 24시간전의 기간동안 변경되었던 모든 파일을 나열한다. 아래는  두 개 이상의 링크(-links +1)를 갖는 보통 파일 (-type f)의 이름을 나열한다.

    note: 모든 디렉토리에 최소한 두 개의 링있다. 상위 디렉토리에 있는 입력항목과 자신의  .  입력 항목이 그것들이다.

     SCCS 디렉토리에서 이름이 SCCS인 디렉토리 또는 파일을 제외하고 현재 디렉토리 또는 그 아래에 있는 모든 파일의 경로 이름을 인쇄하려면 다음과 같이 입력한다.

     $find . -name SCCS -prune

     길이가 정확히 414 바이트인 모든 파일을 탐색하려면 다음과 같이 입력한다.

     $find . -size 414c

     

     6-2-5. 파일 유형 표시

     file 명령은 File 또는 -f FileList 매개변수로 지정된 파일을 읽고, 각 파일에 대해 일련의 테스트를 수행하여 파일을 유형별로 분류한다. 그런다음, 명령은 표준 출력에 파일 유형을 쓴다.

     파일이 ASCII로 나타날 경우, file 명령은 처음의 512 바이트를 검사하고 사용 언어를 결정한다. 파일이 ASCII가 아닐 경우, file 명령은 2진 데이터 파일 또는 확장 문자를 포함한 텍스트 파일인지 결정하기 위해 좀더 시도해야 한다.

     File 매개변수가 실행 또는 오브젝트 모듈 파일을 지정하고 버전 번호가 0보다 클 경우, file 명령은 버전 스템프를 표시한다. file 명령이 /etc/magic 파일을 사용하여 파일종유 설명자(magic number)를 가진 파일인지 즉, 유형을 나타내는 수치 똔는 문자열 상수를 포함하는 파일인지 식별한다.

     예를 들어, myfile 이라는 파일에 포함된 정보 유형을 표시하려면 다음과 같이 입력한다.

     $file myfile

     위와 같이 실행하면 myfile의 파일 유형(예:디렉토리, 데이터, ASCII 텍스트, C 프로그램 소스 및 아카이브)를 표시한다. 파일 이름 리스트가 있는 filename.lst 의 각 파일 유형을 표시하려면 다음과 같이 입력한다.

     $file -f filenames.lst

     현재 디렉토리의 모든 파일 이름이 포함되도록 filenames.lst 파일을 작성하여 편집을 원한다면 다음과 같이 입력한 후 편집하면 된다.

     $ls ▒▒ filenames.lst

     

     6-2-6. 파일 내용 표시

     pg, more 및 page 명령을 사용하면 파일의 내용을 열람하고 파일이 표시되는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cat 명령을 사용하여 화면에 한 개 이상의 파일 내용을 표시할 수도 있다. pg 명령과 cat 명령을 조합하여 한 번에 한 화면씩 파일 내용을 읽을 수 있다.  또한 입출력 방향 재지정을 사용하여 파일의 내용을 표시할 수 있다.

     

     ▒▒ pg 명령 ▒▒

     pg 명령은 File 매개변수의 파일 이름을 읽어 한 번에 한 화면씩 표준 출력에 쓴다. 하이픈(-)을 File 매개변수로 지정하거나 옵션없이 pg 명령을 수행할 경우, pg 명령은 표준 입력을 읽는다. 각각 화면에는 프롬프트가 나온다. Enter키를 누르면, 다른 화면이 표시된다. pg 명령과 함께 부속 명령이 사용되면 이미 전달했던 것을 검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번에 한 페이지씩 myfile 파일 내용을 보려면 다음과 같이 입력한다.

     $pg myfile

     

     ▒▒ more 또는 page 명령 ▒▒

     more 또는 page 명령은 한 번에 한 화면씩 연속 텍스트를 표시한다. 한 화면 다음에 멈추고, 화면 하단의 파일 이름 및 완료 퍼센트(예: myfile(7%))를 인쇄한다. 그런다음 Enter를 누를 경우, more 명령은 추가 행을 표시한다. 스페이스 바를누를 경우, more 명령은 다른 텍스트 화면을 표시한다.

    note : 일부 터미널 모델상에서는 다음 데이터 화면을 표시하기 전에 more 명령이 스크롤링 대신 화면을 지운다

     예를들어, myfile 파일을 보려면 다음과 같이 입력한다.

     $more myfile

     

     ▒▒ cat 명령 ▒▒

     cat 명령은 순서대로 각 File 매개변수를 읽고 표준 출력에 쓴다.

     예를 들어, notes 파일의 내용을 표시하려면 다음과 같이 입력한다.

     $cat notes

     파일이 24행 보다 길 경우, 파일의 일부는 화면에서 스크롤된다. 한 번에 한 페이지씩 파일을 나열하려면, pg 명령을 사용한다.

     여러개의 파일 notes, notes2, notes3 등의 파일 내용을 표시하려고 할 때 다음과 같이 실행하면 된다.

     $cat  notes  notes2  notes3

     

     6-2-7. 텍스트 파일에서 문자열 찾기

     grep 명령은 Pattern 매개변수에 의해 지정된 패턴을 찾고, 일치 행을 표준 출력에 쓴다.

     예를 들어, pgm.s 파일에서 패턴 대응문자 *, ^ , ?, [, ], (, \), \{, \} 가 있는 패턴을 탐색하려면 다음과 같이 입력한다.

     $grep "^[a-zA-Z]" pgm.s

     위의 예에서는 한 개의 문자로 시작하는 pgm.s의 모든 행이 표시된다.

     sort.c 파일에서 패턴에 대응되지 않는 모든 행을 표시하려면 다음과 같이 입력한다.

     $grep -v bubble sort.c

     ls 명령 출력에서 staff 문자열과 일치하는 행을 표시하려면 다음과 같이 입력한다.

     $ls -l |grep staff

     

     6-2-8. 텍스트 파일 분류

     sort 명령은 File 매개변수에 의해 지정된 파일의 행을 알파벳 또는 순차적으로 분류하고 그 결과를 표준 출력에 쓴다. File 매개변수가 두 개 이상의 파일을 지정할 경우, sort 명령은 파일들을 한 개의 파일로 병합하고 알파벳순으로 만든다.

    note : sort 명령은 대소문자를 구별하고 대문자가 소문자 앞에 오도록 한다.

     예를 들면 파일 names 의 내용이 다음과 같다고 하자.

    marta

    denise

    joyce

    endrica

    melanie

     또한 파일 states 의 내용이 다음과 같다고 할 때,

    texas

    colorado

    ohio

     

     위에서, names 파일의 내용을 분류하여 표시하려면 다음과 같이 입력한다.

     $sort  names

     그러면 다음과 유사한 정보를 표시한다.

    denise

    endrica

    joyce

    marta

    melanie

     

     두 파일 names 와 states 의 내용을 분휴하여 표시하려면 다음과 같이 입력한다.

     $sort  names  states

     그러면 시스템은 다음과 유사한 정보를 표시한다.

    colorado

    denise

    endrica

    joyce

    marta

    melanie

    ohio

    texas

     names 파일이ㅡ 원래 내용응ㄹ 분류된 내용으로 대체하려면 다음과 같이 입력한다.

     $sort -o names names

     

     6-2-9. 파일 비교

     diff 명령은 텍스트 파일을 비교한다. 단일 파일 또는 디렉토리의 내용을 비교할 수 있다.

     diff 명령을 정규 파일에서 수행하고 서로 다른 디렉토리의 텍스트 파일을 비교할 때, diff 명령은 그 파일을 일치시키려면 파일에서 어떤 행을 변경해야 하는지 알려준다.

     예를 들어, 두 파일(chap1.bak 과 chap1)을 비교하려면 다음과 같이 입력한다. 이는 chap1.bak과 chap1 파일 사이의 차이점이 표시된다.

     $diff  chap1.bak  chap1

     예를 들어, 공백 문자 양의 차이를 무시하고 두 파일을 비교하려면 다음과 같이 입력한다.

     $diff -w prog.c.bak prog.c

     위의 예에서 두 행이 단어 사이의 빈칸 및 탭의 수에서만 다를 경우, diff -w 명령은 이 두 행을 동일하게 인식한다.

     

     6-2-10. 파일에서 단어, 행 및 바이트 계수확인

     디폴트에 의해, wc 명령은 File 매개변수에 의해 지정된 파일의 행, 단어 및 바이트 수를 계산한다. File 매개변수에 대해 파일이 지정되지 않은 경우, 표준 입력이 사용된다. 이 명령은 표준 출력에 결과를 쓰고 명명된 모든 파일의 총 수를 센다. 플래그가 지정될 경우, 플래그의 순서는 출력의 순서를 결정한다. word는 공백, 탭 또는 개행 문자로 분리된 한 문자열로 정의된다.

     파일이 명령행에 지정되면, 파일의 이름이 계수와 함께 인쇄된다.

     예를 들어, chap1 파일의 행, 단어 및 바이트 계수를 표시하려면 다음과 같이 입력한다.

     $wc chap1

     다시 바이트와 단어 계수만을 표시하려면 다음과 같이 입력한다.

     $wc -cw chap*

     이는 이름이 chap 로 시작되는 파일의 행 및 단어의 수를 표시하고 총 수를 표시한다.

     

     6-2-11. 파일의 최초 행 표시

     head 명령은 지정된 파일 또는 표준 입력의 처음 몇 행을 표준 출력에 쓴다. 플래그가 head 명령과 함게 지정되지 않을 경우, 처음 10행이 디폴트로 표시된다.

     예를 들어, Test 파일의 첫 5행을 표시하려면 다음과 같이 입력한다.

     $head -5 Test

     

     6-2-12. 파일의 마지막 행 표시

     tail 명령은 File 매개변수에 의해 지정된 파일을 지정된 지점부터 표준 출력에 쓴다.

     예를 들어, notes 파일의 마지막 10행을 표시하려면 다음과 같이 입력한다.

     $tail notes

     notes 파일의 끝에서부터 읽기를 시작할 행의 수를 지정하려면 다음과 같이 입력한다.

     $tail -20 notes

     notes 파일을 200 번째 바이트에서 시작하여 한 번에 한 페이지씩 표시하려면 다음과 같이 입력한다.

     $tail -c +200 notes |pg

     accounts 파일의 크기가 늘어나는 것을 보려면 다음과 같이 입력한다.

     $tail -f accounts

     위와 같이 실행하면 accounts 파일의 마지막 10행이 표시된다. tail 명령은 accounts 파일에 행이 추가되면 계속해서 표시한다. 키(Ctrl-C)를 눌러 정지시킬 때까지 표시가 계속된다.

     

     6-2-13. 텍스트 파일의 영역 자르기

     cut 명령은 파일의 행에서부터 선택된 바이트, 문자 또는 필드를 표준 출력에 쓴다.

     예를 들어, 파일의 각 행의 몇 개의 필드를 표시하려면, 다음과 같이 입력한다.

     $cut -f1,5 -d: /etc/passwd

     그러면 시스템 암호 파일에 대한 로그인 이름 및 전체 사용자 이름이 표시된다. 이는 콜론으로 분리된(-d) 최최 및 5번째 필드(-f1,5)이다.

     예를 들어, /etc/passwd 파일이 다음과 같다.

    su:*:0:0:User with special privileges:/:/usr/bin/sh

    daemon:*:1:1::/etc:

    bin:*:2:2::/usr/bin:

    sys:*:3:3::/usr/src:

    adm:*:4:4:System Administrator:/var/adm:/usr/bin/sh

    pierre:*:200:200:Pierre Harper:/home/pierre:/usr/bin/sh

    joan:*:202:200:Joan Brown:/home/joan:/usr/bin/sh

     

     위의 예에서 cut 명령은 다음의 결과를 만든다.

    su:User with special privileges

    daemon:

    bin:

    sys:

    adm:system Administrator

    pierre:Pierre Harper

    joan:Joan Brown

     

     6-2-14. 텍스트 파일 영역 붙이기

     paste 명령은 최대 12개 파일의 행을 한 파일로 병합한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텍스트를 포함하는 names라는 파일이 있다.

    rache1

    jerry

    mark

    linda

    scott

     

     places라는 파일은 다음과 같은 텍스트를 포함하고 있다.

    New York

    Austin

    Chicago

    Boca Raton

    Seattle

     

     그리고 dates 라는 파일은 다음과 같은 텍스트를 포함하고 있다.

    February  5

    March  13

    June  21

    July  16

    November  4

     

     names, places 및 dates 파일의 텍스트를 함께 붙이려면 다음과 같이 입력하면 된다.

     $paste names places dates ▒▒ npd

     위와 같이 실행 하게되면 한 열에는 names 파일의 데이터가, 다른 열에는 places 파일의 데이터가, 세 번째 열에는 dates 파일의 데이터가 들어가는 npd 파일이 작성된다. npd 파일에는 다음과 같은 데이터가 들어 있을 것이다.

     reche1             New York              February  5

     jerry                 Austin                   March  13

     mark                Chicago                June  21

     linda                Boca Raton           July  16

     scott                Seattle                   November  4

     탭 문자가 각 행이 이름, 장소 및 데이터를 분리한다. 탭 정지가 8열마다 한 번씩 설정되기 때문에 열이 항상 끝까지 가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탭 이외의 문자로 열을 분리하려면 다음과 같이 입력한다.

     $paste -d"!@" names places dates ▒▒ npd

     이것은 열 분리자를 ! 및 @로 대체한다. names, places 및 dates 파일이 위의 예에서와 같은 내용이라면 npd 파일의 내용은 다음과 같을 것이다.

     rache1!New York@February  5

     jerry!Austin@March  13

     mark!Chicago@June  21

     linda!Boca Raton@July  16

     scott!Seattle@November  4

     

     현재 디렉토리를 4개의 열로 나열하려면 다음과 같이 입력한다.

     $ls |paste - - - -

     각 하이픈(-)은 paste 명령에 표준 입력에서 읽은 데이터가 포함된 열을 작성하도록 지시한다. 첫 행은 첫 번째 열에, 두 번째 행은 두 번째 열에, 이런 식으로 들어간다.

     

     6-2-15. 텍스트 파일에 행 번호 붙이기

     nl 명령은 지정된 파일을 읽고(디폴트에 의해 표준 입력으로), 입력에서 행에 번호를 붙이고 표준 출력에 번호를 붙인 행을 쓴다.

     예를 들어, 공백이 아닌 행에만 번호를 붙이려면 다음과 같이 입력한다.

     $nl chap1

     그러면 본문의 공백이 아닌 행에만 번호를 붙인 chap1의 번호 붙은 리스팅이 표시된다.

     예를 들어, 모든 행에 번호를 붙이려면, 다음과 같이 입력한다.

     $nl -ba chap1

     그러면 chap1 파일의 공백 행을 포함한 모든 행에 번호가 붙는다.

     

     6-2-16. 텍스트 파일에서 열 삭제

     colrm 명령은 파일에서 지정한 열을 제거한다. 표준입력에 의한 입력이다. 출력은 표준 출력으로 보내진다.

     하나의 매개변수와 함께 호출될 경우, 각 행에서 지정된 열에서부터 마지막 열까지가 제거된다. 두 개의 매개 변수와 함께 호출될 경우, 첫 번째 지정된 열에서부터 두 번째 지정된 열까지의 열이 제거된다.

    note : 열에 번호는 1열부터 부여한다.

     예를 들어, text.fil 파일에서 열을 제거하려면 다음과 같이 입력한다.

     $colrm 6 ▒▒ text.fil

     이는 text.fil 이 123456789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 화면에 12345를 표시할 것이다.

     

     

     6-3. 파일 및 디렉토리 링크

     

     링크는 파일 이름과 파일의 내부 표시인 색인 노드 참조 번호(i-node 번호) 사이의 연결이다. 디렉토리 항목에 i-node 번호와 쌍을 이루는 파일 이름이 있으므로, 모든 디렉토리 항목이 링크이다. i-node 번호는 사실 파일 이름을 식별하는 것이 아니라 파일을 식별한다. 링크를 사용하면 어떤 i-node 번호나 파일도 여러 이름으로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i-node 번호 798에는  Omaha 사무실의 6월 영업에 대한 메모가 있다. 현재, 이 메모에 대한 디렉토리 항목은 다음과 같다.

     i-node 번호             파일 이름

      798                         memo

     이 정보는 sales 및 omaha 디렉토리에 저장된 정보와 관련되므로, 필요할 경우 정보를 공유하기 위해 링크를 사용한다. ln 명령을 사용하여, 링크가 이들 디렉토리에 작성된다. 파일은 현재 세 개의 파일 이름을 갖고 있다.

      i-node 번호           파일 이름

      798                        memo

        798                        sales/june

        798                        omaha/junesales

     pg 또는 cat 명령을 사용하여 세 파일 이름 중에서 임ㅁ의의 파일 내용을 볼 경우, 동일한 정보가 표시된다. 세 파일 이름 중 읨의의 파일에서 i-node 번호의 내용을 편집하면, 모든 파일 이름으로 표시되는 데이터 내용을 변경사항을 반영한다.

     

     6-3-1. 링크 유형

     링크는 ln 명령으로 작성된다. 링크의 두 가지 유형은 다음과 같다.

    하드 링크

    파일 이름에서 파일 데이터로의 액세스를 허용한다. 하드 링크는 파일의 존재를 확인한다. 최종 하드 링크를 제거하면, i-node 번호와 그 데이터가 삭제된다. 하드링크는 동일한 파일 시스템안에있는 파일 사이에서만 작성될 수 있다.

    심볼 링크

    새 파일 이름으로 다른 파일 시스템에 있는 데이터로의 액세스를 허용한다. 심볼 링크는 경로 이름을 포함하는 파일의 특별한 유형이다. 프로세스가 심볼 링크를 만나면, 프로세스는 그 경로를 탐색한다. 심볼 링크는 파일 시스템에서 파일이 삭제되는 것을 보호하지 않는다.

     

    note : 링크가 많이 작성되었더라도 파일을 작성한 사용자는 그 파일의 소유권을 보유한다. 파일의 소유자나 루트 사용자만이 그 파일의 액세스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그런, 링크된 파일 이름에서 해당 파일로 적절한 액세스 모드를 사용하여 파일을 변경할 수 있다.

     해당 파일의 i-node 번호에 대한 하드 링크가 하나 있을 경우, 파일이나 디렉토리가 있다. ls -l 명령에 의해 표시된 긴 리스트에서, 각각의 파일 및 하위 디렉토리와의 링크 수를 볼 수 있다. 어떤 링크가 먼저 작성되었는지에 상관 없이 모든 하드 링크는 운영 시스템이 동일하게 간주한다.

     

     6-3-2. 파일 링크

     ln 명령으로 파일을 링크하는 것은 여러 장소에서 동일한 데이터를 가지고 작업할 수 있는 편리한 방법이다. 링크는 원래 파일에 대체 이름을 제공함으로써 작성된다. 링크를 사용하면 메일 리스트나 데이터베이스와 같은 큰 파일을 복사하지 않고도 여러  사용자가 공유할 수 있다. 링크가 디스크 영역을 절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나의 파일에서 이루어진 변경이 링크된 모든 파일에 자동으로 반영된다.

     ln 명령이 SourceFile 매개변수에 지정된 파일을 TargetFile 매개변수에 의해 지정된 파일이나 TartgetDirectory 매개변수에 의해 지정된 다른 디렉토리에서 동일한 파일 이름과 링크한다. 기본적으로, ln 명령은 하드 링크를 작성한다. ln 명령을 사용하여 심볼 링크를 작성하려면, -s 플래그를 지정하면 된다.

     사용자가 파일을 새 이름에 링크하면 하나의 파일만 나열할 수 있다. 디렉토리에 링크하면, 하나 이상의 파일을 나열 할 수 있다.

     TargetFile 매개변수는 선택적이다. 목표 파일을 지정하지 않으면, ln 명령은 사용자의 현재 디렉토리에 새 파일을 작성한다. 새 파일이 SourceFile 매개변수에 지정된 파일 이름을 상속한다.

    note : -s 플래그를 사용하지 않고 파일 시스템에 걸쳐 파일을 링크할 수 없다.

     예를 들어, chap1 파일에 다른 링크를 작성하려면 다음과 같이 입력한다.

     $ln  -f  chap1  intro

     그러면 chap1이 새 이름 intro로 링크된다. -f 플래그를 사용할 경우, intor 파일이 아직 없으면 해당 파일이 작성된다. intro가 있으면, 파일은 chap1에 대한 링크로 대체된다. 그러면 chap1 및 intro 파일 이름이 모두 같은 파일을 참조한다. 하나의 파일에서 이루어진 임의의 변경이 다른 파일에도 나타난다.

     예를 들어, index 파일을 manual 이라는 다른 디렉토리의 같은 이름에 링크하려면 다음과 같이 입력한다.

     $ln  index  manual

     그러면 index를 새 이름 manual/index에 링크한다.

     예를 들어, 패턴 대응 문자와 함께 ln 명령을 사용하려면 다음과 같이 입력한다.

     $ln  manual/*  .

     그러면 manual 디렉토리의 모든 파일이 현재 디렉토리, . 으로 링크되고, manual 디렉토리에서와 같은 이름이 파일에 지정된다.

    note : 별표와 마침표 사이에 공백을 입력해야 한다.

     예를 들어, 심볼 링크를 작성하려면 다음과 같이 입력한다.

     $ln -s /tmp/toc toc

     그러면 현재 디렉토리에 심볼 링크 toc가 작성된다. toc 파일은 /tmp/toc 파일을 가리킨다. /tmp/toc 파일이 있을 경우, cat toc명령이 그 내용을 나열한다.

     TargetFile 매개변수를 지정하지 않고 동일한 결과를 얻으려면 다음과 같이 입력한다.

     $ln -s /tmp/toc

     

     6-3-3. 링크 파일 제거

     rm 명령은 지시한 파일 이름에서 링크를 제거한다. 여러 개의 하드 링크된 파일 이름 중에서 하나가 삭제될 때, 다른 이름으로도 남아 있기 때문에 파일이 완전히 삭제되지는 않는다. i-node 번호에 대한 최종 링크가 제거되면 데이터도 제거된다. 이때 i-node 번호는 시스템에 의해 재사용 가능하다.

     

     

     6-4. DOS 파일

     

     AIX에서도 DOS 파일에 대해 작업할 수 있다. 작업하려는 DOS 파일을 디스켓에 복사하고, 올바른 명령을 사용하여 시스템의 기본 운영 시스템 디렉토리로 해당 파일을 올바른 형식으로 읽어 들이고 DOS 형식으로 디스켓에 되돌려 보낼 수도 있다.

    note : 와일드 카드 문자 * 와 ? 는 기본 운영 시스템 쉘이라 해도 이런 명령에 대해 작용하지 않는 다. 파일 이름의 확장자를 기정하지 않을 경우, 파일 이름은 공백 확장자를 지정한 것과 같다.

     

     6-4-1. 기본 운영 시스템 파일로 DOS 파일 복사

     dosread 명령으로 특정 기본 운영 시스템 파일로 지정된 DOS 파일을 복사할 수 있다.

    note : DOS 파일 명명 규정에는 한 가지 예외가 있다. 기본 운영 시스템에서 백슬래쉬(\) 문자는 특별한 의미를 가질 수 있으므로, DOS 경로 이름에서 서브 디렉토리를 지정할 때 /(슬래쉬)를 분리 문자로 사용한다.

     예를 들어, DOS 디스켓에서 기본 운영 파일 시스템으로 chap1.doc라는 텍스트 파일을 복사하려면 다음과 같이 입력한다.

      $dosread -a  chap1.doc  chap1

     그러면 디폴트 장치 /dev/fd0 의 DOS 텍스트 파일 CHAP1.DOC이 현재 디렉토리의 기본 운영 시스템 파일 chap1로 복사된다.

     예를들어, DOS 디스켓에서 기본 운영 파일 시스템으로 2진 파일을 복사하려면 다음과 같이 입력한다.

     $dosread -D /dev/fd1 /survey/test.dta /home/fran/testdata

     그러면 /dev/fd1의 DOS 데이터 파일 \survey\test.dta 가 기본 운영 시스템 파일 /home/fran/testdata에 복사된다.

     

     6-4-2. DOS 파일로 기본 운영 파일 복사

     doswrite 명령은 지정된 기본 운영 시스템 파일을 지정된 DOS 파일에 복사한다.

     예를 들어, 기본 운영 파일 시스템에서 DOS 디스켓으로 chap1이라는 텍스트 파일을 복사하려면 다음과 같이 입력한다.

     $doswrite -a chap1 chap1.doc

     그러면 현재 디렉토리의 기본 운영 시스템 파일 chap1이 /dev/fd0의 DOS 텍스트 파일 chap1.doc 으로 복사된다.

     예를 들어, 기본 운영 파일 시스템에서 DOS 디스켓으로 /survey/test.dta 라는 2진 파일을 복사하려면 다음과 같이 입력한다.

     $doswrite -D/dev/fd1 /home/fran/testdata /survey/test.dta

     그러면 기본 운영 시스템 데이터 파일 /home/fran/testdata 가 /dev/fd1의 DOS 파일 \survey\test.dta 에 복사된다.

     

     6-4-3. DOS 파일 삭제

     dosdel 명령은 지정된 DOS 파일을 삭제한다.

     dosdel 명령은 디스크를 검사하기 전에 파일 또는 디렉토리 이름의 소문자를 대문자로 변환한다. 모든 파일 이름은 상대 경로가 아닌 전체 경로 이름일 것으로 간주되므로 처음에 /(슬래쉬)를 추가하지 않아도 된다.

     예를 들어, 디폴트 장치(/dev/fd0)에 있는 file.ext라는 DOS 파일을 삭제하려면 다음과 같이 입력한다.

     $dosdel file.ext

     

     6-4-4. DOS 디렉토리의 내용 나열

     dosdir 명령은 지정된 DOS 파일 또는 디렉토리에 관한 정보를 표시한다.

     dosdir 명령은 디스크를 검사하기 전에 파일 또는 디렉토리 이름의 소문자를 대문자로 변환한다. 모든 파일 이름이 전체(상대적이 아님) 경로 이름일 것이라고 간주하기 때문에 처음에 /(슬래쉬)를 추가하지 않아도 된다.

     예를 들어, /dev/fd0 에 있는 DOS의 디렉퇼를 읽으려면 다음과 같이 입력한다.

     $dosdir

     이 명령은 다음과 같이 파일 이름들과 디스크 공간 정보를 리턴한다.

     TEST1.TXT

     TEST2.TXT

     EIBM_LEC.TXT

     EIBM_LEC1.TXT

     Free space : 216330 bytes

     

     

    posted by 좋은느낌/원철